• 제목/요약/키워드: Second molar impac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5초

매복된 하악 제2유구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MANDIBULAR SECOND PRIMARY MOLAR)

  • 김민정;이상호;이난영;장향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3-308
    • /
    • 2011
  • 치아 매복이란 치아 맹출 경로에 존재하는 물리적 장벽으로 인하여 치아 맹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맹출 시기까지 치아가 맹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치아 매복의 병인론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지만, 치아의 유착이 가장 유력한 원인 요소로 제시되고 있다. 치아 매복은 임상적으로 악궁 내 공간의 소실, 인접치의 경사, 대합치의 정출, 하방에 위치한 치배의 변위, 낭성 변이나 감염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매복된 유구치에 대한 치료로 조기 발거 혹은 공간 소실이 발생한 경우 교정적으로 공간확장술을 시행한 후 외과적 발치를 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매복된 치아가 정상적인 형태이고 유착되지 않은 경우라면 외과적 노출 후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우측 제2유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3세 9개월 된 남아를 대상으로 매복된 유구치 상방에 존재하는 치은 조직을 절제한 후 교정적 견인을 시행함으로써, 유치열기에 양호한 교합관계를 얻었을 뿐 만 아니라, 이후 정기 검진을 통해 혼합치열기의 올바른 치아배열 및 맹출을 유도하였음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맹출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치료 (TREATMENT OF MAXILLARY FIRST MOLARS WITH ERUPTION FAILURES)

  • 권순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1-287
    • /
    • 2009
  • 유치열이 혼합치열기를 거쳐 영구치열로 교환되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는 맹출장애가 흔히 관찰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맹출시기를 놓치게 되면 심미적 문제 인접치아의 전위 및 치근흡수, 부정교합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치아 중 제1대구치는 특히 교합 및 발육에 중요하게 관여하며 기능적, 형태적으로 건전한 교합의 발육 및 유지에 필수적인 치아이다. 그러므로 이들 이상증례를 조기에 파악하고 문제점에 대응하는 것은 보다 적절한 교합관리에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는 크게 맹출지연, 매복, 일차정체 및 이차정체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매복의 원인 중 물리적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우선 이를 제거하고 치아발육 상태에 따라 제거 후 관찰, 외과적 노출 또는 교정적 견인 등으로 치료가능하며 이소맹출에 의 한 매복일 경우 brass wire, pendulum applinace, 제2유구치 발치후 공간 유지 및 공간확보 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증례들은 혼합치열기의 환아로서 맹출장애를 보이는 상악제1대구치의 진단 및 그에 따른 치료를 통해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 구개측 매복 견치의 교정적 치료 (ORTHODONTIC TREATMENT OF PALATALLY IMPACTED GAMINE)

  • 장영일;손영화;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09-519
    • /
    • 1994
  • Upper canine is described as 'cornerstone' of maxilla, and its importance is implicated by long root and good alveolar support. The incidence of impaction of upper canine is the second most frequent next to the third molar because i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develop, and has a complicated path of eruption, and erupts lately. Generally, the patient who has a palatally impacted canine visit the clinic primarily due to a missing of canine after 12-13 years old. Palatally impacted canine is different from labially impacted canine in its cause and treatment process. It is due to malposition or anomalous lateral incisor rather than arch length deficiency. Once the impaction is identified, the first stage of the treatment is to localiz the lesion by radiographic examinations or others and according to severity, orthodontic traction, or transpla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comprehensiv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of malocclusion should be estsblished. Properly managed impacted canine can provide funtion and esthetic through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of extraction of canine is not indicated.

  • PDF

A Retrospective Clinical Investigation of Delayed Eruption of Premolars in the Mandible

  • Sookyung Park;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Young-Jae Kim;Hong-Keun Hyun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9-482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ptions for the delayed eruption of mandibular premolars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spontaneous eruption using panoramic radiography. The prevalence of delayed mandibular premolar eruption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comprising 254 patients (aged 9 - 15 years), was 5.19%,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most affected (4.39%) compared to the first premolars (0.76%).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al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Among the treated mandibular premolars, primary molar-related lesions were identified as the leading cause (7.85%) of delayed tooth eruption.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based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Teeth with Nolla stage 7 or lower had a treatment duration of 22.89 ± 11.96 months, whereas those with stage 8 or higher had a 15.02 ± 6.34 month duration. The deeper the tooth was located in the bone, the longer the treatment period became. The treatment dur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 and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reatment durations for affected mandibular premolars increased with the depth of impaction angle of inclination. In this study, the treatment duration for delayed erup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Nolla stage, eruption stage, and treatment method. Variations in the impaction depth and inclination angle across various treatment approaches, as explored in this study, might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the selection of the most suitable management options for delayed tooth eruptions.

양측성 제1대구치 이소맹출 치료의 치험례 (TREATMENT OF BILATERAL ECTOPIC ERUP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S)

  • 오미희;이수언;최성철;김광철;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8-52
    • /
    • 2013
  •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치아가 비정상적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 제2유구치 원심면의 비정상적 조기흡수를 야기한다.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인구의 3~4% 정도에서 나타나며 주로 상악에서 호발한다. 이소맹출한 치아의 66% 정도는 별다른 치료 없이 자발적으로 맹출 경로를 개선하는데 반해 비가역적 이소맹출의 경우에는 능동적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치간이개와 원심경사. 치간이개는 매복 정도가 최소인 경우 시행할 수 있으며, 매복이 심한 경우에는 원심경사가 필요하다.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보고들은 편측성 이소맹출의 치료방법에 대해 다루었으며 양측성 이소맹출의 치료에 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증례들은 양측성 제1대구치 이소맹출을 보이는 환아들로 modified bilateral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심한 총생 : 비발치로 가능한가? (Severe crowding : Is nonextraction treatment possible?)

  • 정민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6호
    • /
    • pp.326-332
    • /
    • 2019
  • Extraction treatmen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treat crowding or lip protrusion patients and still extraction decision is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decision dur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f the amount of crowidng is severe, premolar extraction is often considered. Because of their location, premolar extractions would seem to allow for the most straightforward relief of crowding and the improvement of soft tissue profile. But patients and their parents often prefer nonextraction approach if possible and such a preference gives us serious question about the boundary of nonextraction treatment. Because Orthodontic Mini-Implant (OMI) become popular these days, distalization of posterior teeth can be obtained easily without patient's compliance. For this reason, many orthodontists are trying to treat crowding patient with nonextraction than before. But sometime, unexpected side effects are observed including unesthetic profile, impaction of second molar and long treatment time. All the tools for space gaining - extraction, arch expansion, molar distalization and interproximal enamel reduction - have their limitations and indications. Possible side effects and limitation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during the treatment planning. Although Korean patients usually require extraction more often than US or European patients, more knowledge about the tools for space gaining would help us to decrease the rate of extraction and the problems during treatment of crowding patients.

  • PDF

복잡 치아종의 외과적 적출후 미맹출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SPONTANEOUS ERUPTION GUIDANCE OF UNERUPTED TOOTH AFTER SURGICAL REMOVAL OF COMPLEX ODONTOMA)

  • 박성연;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9-494
    • /
    • 2003
  • 치아종은 치성 종양 중 가장 흔한 형태로 대체로 병소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성장이 제한적이다. 보통 10대 이전에 주로 진단되며 종종 영구치의 매복이나 맹출 지연을 유발한다. 형태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구별된다. 복잡 치아종은 치성 조직이 조직화되지 않은 덩어리로 형태학적으로 정상 치아 형태를 닳지 않으며 전체 치아종의 약 25%, 악골내 발생하는 치성 종양의 약 22%를 차지하고 남성에서 하악 구치부에 호발한다. 치아종의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으나, 아마도 해당 부위의 국소적인 외상, 감염, 유전적 원인이 관여 할 것이라 추측된다. 치아종의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인 외과적 적출술이 추천되며 재발은 거의 없다. 본 증례는 상악 제 1대구치의 매복을 일으킨 복잡 치아종으로 진단된 두 어린이에게서 병소의 외과적 적출술 및 개창술을 시행하고 관찰한 결과 약 2년후 제 1 대구치가 자발적으로 맹출함을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 이두영;송제선;이제호;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6-232
    • /
    • 2010
  • 영구치의 매복은 다양한 빈도로 보고되며, 인구 집단의 약 5.6~18.8%에서 발생한다. 그 중에서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장애 빈도는 약 0.06%, 하악 제1대구치는 약 0.01%로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영구 대구치는 기능적으로 저작을 위한 중요한 교합적 지지를 제공하며 안면의 조화로운 성장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영구 대구치의 매복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는 구치부의 개방교합과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의 치근흡수와 기울어짐, 낭종의 형성, 심할 경우 하안면고경의 감소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매복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외과적노출술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외과적노출술 후에 추가적인 인위적 아탈구로 자발적맹출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자발적맹출이 관찰되지 않으면 교정적 강제 견인이나 외과적재위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발치 후 보철치료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맹출장애를 보이는 치아의 조기진단과 치료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늦은 시기에 발견될 경우 자발적 맹출력이 감소되어 치료의 성공률도 감소하고, 치료기간도 증가하며 임상적으로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경우 우선적으로 맹출유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 두 증례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 대하여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 후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상반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Spontaneous bone regeneration after surgical extraction of a horizontally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a retrospective panoramic radiograph analysis

  • Kim, Eugene;Eo, Mi Young;Nguyen, Truc Thi Hoang;Yang, Hoon Joo;Myoung, Hoon;Kim, Soung M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4.1-4.10
    • /
    • 2019
  • Background: The mandibular third molar (M3) is typically the last permanent tooth to erupt because of insufficient space and thick soft tissues covering its surface. Problems such as alveolar bone loss, development of a periodontal pocket, exposure of cementum, gingival recession, and dental caries can be found in the adjacent second molars (M2) following M3 extraction. The specific aims of the study were to assess the amount and rate of bone regeneration on the distal surface of M2 and to evaluate the aspects of bone regeneration in terms of varying degree of impaction. Methods: Four series of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were obtained from the selected cases, including images from the first visit,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6 weeks, and 6 months after extraction. ImageJ software® (NIH, USA) was used to measure linear distance from the region of interest to the distal root of the adjacent M2. Radiographic infrabony defect (RID)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radiographic bone height and cementoenamel junction with distortion compensation.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ID and time, and a Spearman correlation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ederson's difficulty index (DI) and RID. Results: A large RID (> 6 mm) can be reduced gradually and consistently over time. More than half of the samples recovered nearly to their normal healthy condition (RID ≤ 3 mm) by the 6-month follow-up. DI affected the first 6 weeks of post-extraction period and onl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final RID. Conclusions: Additional treatments on M2 for a minimum of 6 months after an M3 extraction could be recommended. Although DI may affect bone regeneration during the early healing period,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elucidate any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ing process. The DI does not cause any long-term adverse effects on bone regeneration after surgical extraction.

저위교합된 제 2유구치에 대한 치험례 (MANAGEMENT OF INFRAOCCLUDED MANDIBULAR SECOND PRIMARY MOLARS: CASE REPORT)

  • 곽소연;박기태;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5-480
    • /
    • 2009
  • 저위교합이란 치아가 출은한 이후 유착 등의 원인으로 맹출이 정지되어 주위 인접치 보다 교합평면이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저위교합은 인접치들의 경사, 저위교합된 부위의 공간상실, 대합치의 정출, 해당부위 치아우식 감수성의 증가, 후속 영구치의 맹출경로 변위, 매복, 회전 등의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 및 정기검진을 통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위교합된 유구치는 대부분 영구 계승치가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정상 탈락한다. 그러나 저위교합된 유구치의 탈락이 지연되고 저위교합의 정도가 심화되어 해당부위의 공간상실이 발생하면, 공간부족으로 인하여 후속 영구치의 매복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정적으로 공간확장술을 시행한 후 외과적 발치를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는 하악 제 2유구치의 저위교합이 관찰된 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공간에 대한 평가 후 필요한 경우 공간확장술을 시행하고 발치를 시행함으로써 저위교합으로 인해 발생된 문제점을 개선하고, 추후에 발생될 합병증을 예방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