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 malignancie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Efficacy and Safety of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s for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Yuan, Dong-Mei;Li, Qian;Zhang, Qin;Xiao, Xin-Wu;Yao, Yan-Wen;Zhang, Yan;Lv, Yan-Ling;Liu, Hong-Bin;Lv, Tang-Feng;Song, Y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661-1675
    • /
    • 2016
  • Objectives: Can addition of 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s (NK1-RAs) be considered as an ideal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chemotherapy-induced nausea and vomiting (CINV)? Researchers differ on this question. Materials and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that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NK1-RAs in preventing CINV. The primary end point was complete response (CR) in the acute, delayed, and overall phases after chemotherapy. Subgroup analyses evaluated the types of NK1-RAs, routines of administration, types of malignancies, regimens used in combination with NK1-RAs, and age of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ies. The incidences of different types of adverse events were also extracted to estimate the safety of NK1-RAs. Results: A total of 38 RCTs involving 13,923 patients were identified. The CR rate of patients receiving NK-RA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s during overall phase (70.8% vs 56.0%, P<0.001), acute phase (85.1% vs 79.6%, P<0.001), and delayed phase (71.4% vs 58.2%, P<0.001). There were three studies including patients of children or adolescents, the CR rat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overall phase: OR=2.807, P<0.001; acute phase: OR=2.863, P =0.012; delayed phase: OR=2.417, P<0.001). For all the other outcomes, patients in the NK1-RAs groups showed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cidence of nausea: 45.2% vs 45.9%, P<0.001; occurrence of vomiting: 22.6% vs 38.9%, P<0.001; usage of rescue drugs: 23.5% vs 34.1%, P<0.001). The pooled side effects from NK1-RA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previous reports and the toxicity rates in patients less than eighteen years old also did not diff between the two groups (P=0.497). However, we found that constipation and insomnia were more common in the patients of control groups, whereas diarrhea and hiccups were more frequently detected in patients receiving NK1-RAs. Conclusions: NK1-RAs improved the CR rate of CINV. They are effective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The use of NK1-RA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of diarrhea and hiccups, while de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nstipation and insomnia.

Polymorphisms in Genes of the De Novo Lipogenesis Pathway and Overall Survival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Undergoing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 Wu, You-Sheng;Bao, Deng-Ke;Dai, Jing-Yao;Chen, Cheng;Zhang, Hong-Xin;Yang, YeFa;Xing, Jin-Liang;Huang, Xiao-Jun;Wan, Shao-G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051-1056
    • /
    • 2015
  • Aberrant expression of genes in de novo lipogenesis (DNL) pathway were associated with various cancers, including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DNL gene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prognosis of some malignancies. However, the effects of SNPs in DNL genes on overall survival of HCC patients receiving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treatment are still unknown. In present study, nine SNPs in three genes (ACLY, ACACA and FASN) in DNL pathway were genotyped using the Sequenom iPLEX genotyping system in a hospital-based cohort with 419 HCC patients treated with TAC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CC overall survival were evaluated by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 under three genetic models (additive, dominant and recessive). Although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results in total analysis (all p>0.05), our stratified data showed that SNP rs9912300 in ACLY ge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of HCC patients with lower AFP level and SNP rs11871275 in ACACA ge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verall survival of HCC patients with higher AFP level. We further identifi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AFP level and SNP rs9912300 or rs11871275 in the joint analysis. Conclusively, our data suggest that genetic variations in genes of DNL pathway may be a potential biomarker for predicting clinical outcome of HCC patients treated with TACE.

상피성 난소암 세포에서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저해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o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s)

  • 양가람;윤경미;오현호;김민성;황태호;안원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834-839
    • /
    • 2017
  • Propolis는 꿀벌들이 나무로부터 수집한 천연물로서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은 여러 가지 유용성분들이 혼합된 것과 관련이 있다. 난소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들은 초기에 수술적 기법과 항암요법에 우수하게 반응하지만, 항암제 내성에 의한 재발이 발생하게 되면 항암요법제에 의한 반응률이 매우 저조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따라서, 난소암의 높은 치사율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항암보조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인 A2780를 이용하여 Austalian propolis의 항암 효과와 활성기전을 조사하였다. Propolis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난소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며. Flow cytometric 분석을 통해 G0/G1기에서 세포 주기 억제와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ustalian propolis의 인간 난소암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유암환자의 제 특징 및 유암에 관한 태도와 그 인식도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ir Understandings and Attitude towards the Disease)

  • 노유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0-38
    • /
    • 1977
  • Breast cancer is one of the most feared health problems in women ; Recent studies revealed that it had come up to be the second most in this country and high prevalent disease in the western countries among breast disease in women. However, early detection of the cancer mass is known to be easier than in many other malignanc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atients of breast cancer ; by the structural variables, menstrual, marital, and child bearing, and also their understandings and attitude towards the disease. A hundred any in- and out- patients of 51. Mary's Hospital and National Atomic Institute, Seoul were sampled. Data were gathered through direct interview by the researcher from February 1976 to January 1977 and the clinical records were used as references. Results are as follows ; 1. Breast cancer revealed to be most prevalent in the forties ; average age of 45.2 years. 2. The average age of menarche revealed to be 15.4 years ; the largest group were the 16-20 years (N=75, 68.2%). In 55 cases (50%) menstruation were normal, 38 (34.5%) postmenopausal and only in 17 (15.5%), menstruation revealed irregularity. 3. The average marital age revealed to be 22.3 years ; the largest group were 21-25 group (N=43, 39.1%). The average duration of marital life revealed to be 24.7 years ; 11-20 years group were the largest (M=34, 30.9%). 4. Most of the patients revealed to have pregnancy experiences(N=100, 90.9%) ; the average rate of experience were 5, 3 times the largest group were 3.4 times group(N= 32, 29.1%). 54 patients (49.1%) revealed to have had abortion experience ; the average were 3.4 times. 5. The largest group(N=77, 70%) had been breast feeding : followed by mixed feeding (N=12, 10.9%) and artificial feeding(N=10, 9.1%). 6. Personal health history revealed that in 20 patients (18.2%) revealed to have the past history of Purulent mastitis, 5 patients(4.5%) of breast cancer and 3 patients(2.7%) of uttering cancer family history. 7. In the one half (N=56, 50.9%, they had some information about breast cancer :27 (24.5%) by mass media, 12 (10.9%) through personal contacts and 17 (15.5%) were not able to classify the source of information. 8. In 55 cases (50%) the canoe, mass were discovered incidentally, in 39 cases (35.5%) by manual detection by self, in 10 cases (9%) by others and in 6 cases(5.5%) by observing subjective symptoms. 9. The average duration lapsed between the discovery of cancer mass and the visit to the hospital revealed to be 9.4 month. Chief reason for the delay revealed to be the non-chaplaincy due to the absence of pain(N=50, 45.5 %) followed by the administration of herb and commercial medication (N=19, 17.3%). 10. The left side breast was more affected than the right side breast, represent by 60 cases in the left and 39 cases in the right. The most frequent site of the breast cancer was the upper- outer quadrant in 53 cases (47.7%), and followed by the center in 20 cases(18 %), and the upper inner quadrant, in 19 cases (17.1%). There was / cases of bilateral carcinoma. The most prominent symptom was painless mass.

  • PDF

고페리틴혈증의 원인과 적혈구 수혈 (Causes of Hyperferritinemia and Red Blood Cell Transfusion)

  • 김미선;김선형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3-281
    • /
    • 2018
  • 배경: 만성 적혈구 수혈 환자에서 철과잉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페리틴 검사를 시행하는데, 페리틴은 체내 저장철의 양을 반영하지만, 염증, 감염 등에서도 비특이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페리틴혈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페리틴이 증가한 원인을 분석하고 적혈구제제 수혈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본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페리틴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시행한 페리틴 검사에서 1,000 ng/mL이상의 결과를 보인 경우를 고페리틴혈증으로 정의하고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페리틴 검사와 함께 시행된 혈청 철, TIBC (Total iron bind capacity), CRP (C-reactive protein) 검사결과와 진단명 등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고페리틴혈증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해당 기간 동안 고페리틴혈증 결과를 보인 건은 238명 환자에서 417건이었다. 질환별로는 혈액종양질환이 31명에서 125건(30.0%)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염질환이 두번째로 많았다. 철과잉이 의심되는 경우는 33명 환자에서 119건이었으며, 이 중 검사 시행 전 1년 동안 적혈구제제수혈이 8단위를 초과한 경우는 12명(76건)이었다. 결론: 고페리틴혈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실제 철과잉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저질환의 영향이 있었고 만성 적혈구제제 수혈과도 연관이 있었다. 체내 철 저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페리틴 외에 CRP, 철 포화도를 함께 측정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습관적인 철분제제 처방, 잦은 수혈 처방시에 철과잉 발생 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Diagnosing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Sonazoid Contrast-Enhanced Ultrasonography: 2023 Guidelines From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and the Korean Society of Abdominal Radiology

  • Woo Kyoung Jeong;Hyo-Jin Kang;Sang Hyun Choi;Mi-Suk Park;Mi Hye Yu;Bohyun Kim;Myung-Won You;Sanghyeok Lim;Young Seo Cho;Min Woo Lee;Jeong Ah Hwang;Jae Young Lee;Jung Hoon Kim;Ijin Joo;Jae Seok Bae;So Yeon Kim;Yong Eun Chung;Dong Hwan Kim;Jeong Mi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6호
    • /
    • pp.482-497
    • /
    • 2023
  • Sonazoid, a second-generation ultrasound contrast agent, was introduced for the diagnosis of hepatic nodules. To clarify the issues with Sonazoid contrast-enhanced ultrasonography for the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and Korean Society of Abdominal Radiology collaborated on the guidelines. The guidelines are de novo, evidence-based, and selected using an electronic voting system for consensus. These include imaging protocols, diagnostic criteria for HCC, diagnostic value for lesions that are inconclusive on other imaging results, differentiation from non-HCC malignancies, surveillance of HCC, and treatment response after locoregional and systemic treatment for HCC.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침윤억제 기전 (Mechanism of Anti-Invasive A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

  • 신소연;김용조;송경섭;;김나영;정소연;박지훈;서강식;허준영;권현주;박종일;박승길;권기량;윤완희;황병두;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1-571
    • /
    • 2010
  • 대장암은 미국 등 서양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번째로 많이 발병이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omega}3$-PUFAs를 많이 섭취한 인종에서 대장암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최근 ${\omega}3$-PUFAs는 수종의 암에 대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DHA 등 ${\omega}3$-PUFA의 항침윤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및 EPA는 대장암 세포주 SW480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AA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며 TUNEL assay로 apoptotic cell death가 확인 되었다. DHA는 $\beta$-catenin 단백 및 TCF/LEF luciferase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SW480 세포의 침윤능은 DHA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DHA처리 후 MMP-9 및 MMP-2 mRNA양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되었다. NF-kB 및 p-IkB 단백질양도 DHA의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F-kB promoter의 활성도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omega}3$-PUFA는 대장암에서 NF-kB 신호전달 차단에 의한 MMP-2 및 MMP-9 발현을 억제하여 침윤을 억제하여 항암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omega}3$-PUFA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국한성 두경부 혈관 중심위 림프종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치료법과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의 비교 (Combin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versus Radiotherapy alone in the Management of Localized Angiocentric Lymphoma of the Head and Neck)

  • 장세경;김귀언;이상욱;박희철;표홍렬;김주항;문성록;이형식;최은창;김광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17-23
    • /
    • 2002
  • 목적 : 국한성 두경부 혈관 중심위 림프종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치료법과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의 치료성적을 비교하여 화학방사선 병용치료법의 임상적 유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6년부터 1995년까지 연세암센타에서 병기 I, II기의 두경부 혈관 중심위 림프종으로 치료받은 143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단독(104예)의 경우 20~70 Gy (중앙값 50.4 Gy)를 병소 부위에 국소적으로 조사하였고 화학방사선 병용치료(39예)의 경우에는 1~6회(중앙값 3회)의 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병소 부위에 국소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방법에 따른 반응율, 치료실패양상, 후유증, 생존율 등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 치료에 대한 높은 반응율에도 불구하고 국소치료실패가 치료실패양상의 가장 흔한 원인이었고 화학요법의 시행에 따른 치료실패양상의 변화는 없었다. 치료방법에 따른 환자들의 순응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혈구포식세포 증후군(hemophagocytic syndrome), 패혈증, 난치성 출혈(intractable bleeding), 2차 암(new primary cancer) 등의 발생 빈도는 화학방사선 병용치료법을 시행한 경우에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을 시행한 경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방사선 단독으로 치료한 경우의 5년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38%와 32%로 저조하였고 화학요법의 시행에도 생존율의 향상은 없었다. 완전관해 여부가 단변량과 다변량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었고 화학요법의 병용 여부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 국한성 두경부 혈관 중심위 림프종의 치료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치료법이 방사선치료 단독요법보다 유용하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자연 유산에서 드물게 관찰된 Jumping translocation 2례 (Rarely Observed Jumping Translocation in Spontaneous Abortion)

  • 이연우;이봄이;박주연;최은영;오아름;이신영;류현미;강인수;양광문;박소연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82-86
    • /
    • 2010
  • Jumping translocation (JT)은 여러 세포주에서 하나의 공여 염색체가 둘 이상의 수여 염색체와 염색체 재배열을 보이는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으로 종양 세포인 림프성 혈액암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획득성(acquired) JT에 비해 체질성(constitutional) JT는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자연 유산된 수태산물에서 관찰된 체질성 JT 2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1은 임신 7주 유산아 조직의 세포유전학적 검사에서 핵형분석 결과는 46,XY,add(18)(p11.1)[61]/45,XY,der(18;21)(q10;q10)[32]/46,XY,-18,+mar[16]/46,XY,i(18)(q10)[9]/45,XY,der(15;18)(q10;q10)[6]/46,XY,+1,dic(1;18)(p22;p11.1)[2]/45,XY,der(13;18)(q10;q10)[1]/46,XY[32]로 관찰되었다. 공여 염색체는 18번이고 수여 염색체는 1, 13, 15, 18, 21번이었다. 증례2는 임신 6주째 자연 유산된 유산아 조직으로부터 세포 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핵형은 46,XY,der(22)t(9;22)(q12;q13)[22]/46,XY,der(22)t(1;22)(q21;q13)[13]/46,XY,add(22)(q13)[5]/46,XY[23]고 관찰되었다. 공여 염색체는 22번이고 수여 염색체는1, 9번이었다. 2례모두de novo였고 acrocentric 염색체를 수반하였으며 절단점은 대부분 중심절과 중심절 주위, 말단체에 존재하였다. 본 증례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는 체질성 JT로서 임신 초기 세포 분열 단계에서 발생했고 다양한 세포주에서 나타난 비정상 핵형으로 인해 정상적인 배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자연 유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생체골의 열전도성 및 열처리된 골의 염전력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Heat Conductivity of Human Bone and Torsional Strength of Pasteurized Porcine Tibia)

  • 박일형;김신근;신동규;인주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6
    • /
    • 1995
  • 인체골 4 시편(specimen)과 돼지 경골 25쌍을 이용하여, 생체골의 열전도성 측정과 열처리후 열처리온도와 시간에 따른 골의 염전력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체골에 있어서 골수강을 제거하지 않고 $60^{\circ}C$의 항온식염수에서 열처리하면, 골심부의 온도가 $20^{\circ}C$에서 $58^{\circ}C$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경골근위부가 32분 50초, 대퇴골 원위부가 30.분, $80^{\circ}C$ 항온조에서는 경골근위부가 12분 50초, 대퇴골 원위부가 11분 10초 소요되었다. 돼지 경골간부의 피질골내부(endosteum)에 열전대를 부착하고 뼈 양끝을 밀봉하여 같은 실험을 행한 결과 $50^{\circ}C$까지는 시간에 비례해서 일정한 비율로 온도상승이 이루어 졌으며, $20^{\circ}C$에서 $58^{\circ}C$에 이르는 시간이 $60^{\circ}C$ 항온조에서는 7분, $70^{\circ}C$에서는 3분 30초, $80^{\circ}C$에서는 2분이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골수강을 제거 후 장골의 간부(shaft) 만을 항온조에 달굴때는 골구강내에도 데워진 심염수로 가득차게 되므로 상기 시간의 절반이 못되는 짧은 시간내에 피질골의 내부가 $58^{\circ}C$에 이르리라고 판단되었다. 골수강을 소파하지 않은 돼지 경골을 각각 4쌍씩 우측만을 $60^{\circ}C$ 35분, $80^{\circ}C$ 15분 열처리한 후 실험군의 최대염전력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7.0%, -5.1%, -3.2%, -4.2%의 변화가 있었고, $80^{\circ}C$ 15분 열처리후는 -4.3%, -3.8%, -1.4%(1예는 실험 오류로 제외됨)의 변화가 있었다. 골수강을 완전 제거한 되재 경골을 각각 4쌍씩 우측만을 $60^{\circ}C$, $70^{\circ}C$, $80^{\circ}C$에서 15분 열처리 후 실험군의 최대염전력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3.4%, -4.2%, -0.7%, +2.7%의 변화가 있었고, $70^{\circ}C$ 15분 열처리후는 -2.8%, -3.9%, -2.1%(1예는 실험 오류로 제외됨)의 변화가 있었으며, $80^{\circ}C$ 15분 열처리후는 +5.2%, -4.4%, -2.9%, -0.3%의 염전력 변화가 있었다. 그러므로 골수강을 제거하지 않고 $80^{\circ}C$ 35분, $60^{\circ}C$ 15분 열처리 하거나, 골수강을 완전소파 후 $60^{\circ}C$ 15분, $70^{\circ}C$ 15분, $80^{\circ}C$ 15분 열처리해서는 각군사이에 염전력의 유의한 차이는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돼지 경골의 경우 $60^{\circ}C$ 항온에서는 35분까지, $80^{\circ}C$이하의 항온에서는 15분까지 열처리하여도 골강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