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bastes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5초

Study on the Copepod Ectoparasites of Sebastes melanops (Girard) and Sebastes crameri (Jordan) in Aquarium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66-367
    • /
    • 2003
  • Nineteen rockfishes representing two species in the family Scorpaenidae were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in July 2003 and examined for parasitic copepods. The parasitic copepods were taken from the gills of Sebastes crameri and fins of S. melanops. With regard to the prevalence of copepod 22.2% of the fishes were infected by C. uncinata, and 30.0% by N. robusta. Intensity of infections of Clavella uncinata to Sebastes melanops, showed a range of 4 to 6 with a mean of 5.0 per fish while Neobrachiella robusta to S. crameri was 1 to 6 with a mean of 2.7.

New Record of Sebastes nudus and Redescription of Sebastes pachycephalus (Pisces: Scorpaenidae) from Korea

  • Yu, Hyo Jae;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29-136
    • /
    • 2014
  • Using the criteria of previous study,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66 specimens of the Sebastes pachycephalus complex collected from Korea between 2008 and 2013. As a result, the 37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Sebastes nudus, and the remaining specimens as Sebastes pachycephalus. Sebastes nudus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scales below the base of the dorsal fin spines; the absence of dark spots on the dorsal, anal, and caudal fins; and the presence of distinct yellow or brownish-red markings on the dorsum (when fresh). The most similar species S. pachycephalus differs from S. nudus in having minute scales below the base of the dorsal fin spines. We propose the new Korean name "Hwang-jeom-gae-bol-rak" for S. nudus, and redescribe S. pachycephalus.

볼낙(Sebastes inermis) 방광(膀胱)의 Adrenotropic Receptor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drenotropic Receptors of the Isolated Urinary Bladder from Sebastes Inermis)

  • 손용석;홍기환;박중양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5-119
    • /
    • 1969
  • The authors studied the adrenotropic receptors of isolated urinary bladder from Sebastes inermis, using adrenergic activators such as epinephrine, nor-epinephrine, isoproterenol and phenylephrine and adrenergic blocking agents such as phenoxybenzamine, pronethalol and propranolol. The studies have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pontaneous motility of isolated bladder from Sebastes inermis was inhibited by epinephrine nor-epinephrine, isoproterenol and phenylephrine. 2) The inhibitory effect of phenylephrine on the Sebastes inermis bladder was blocked by phenoxybensamine. 3) The inhibitory effect of isoproterenol was blocked by pronethalol and propranolol. 4) The effect of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on the Sebastes inermis bladder was usually not blocked by either kind of blocking agent alone, but was blocked by a combination of ${\alpha}\;and\;{\beta}$ blockades. 5)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Sebastes inermis bladder has alpha and that both receptors, and that both receptors subserve retaxation or inhibition.

  • PDF

한국 동해 중부해역에 서식하는 볼락속(Sebastes) 어류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of the Genus Sebastes (Scorpaeniformes, Sebastidae) Inhabiting the Middle East Sea, Korea)

  • 장요순;황선완;이은경;김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6-239
    • /
    • 2021
  • 좀볼락 (Sebastes minor), 세줄볼락 (Sebastes trivittatus), 황볼락 (Sebastes owstoni) 및 노랑볼락 (Sebastes steindachneri)은 한국 동해 중부 이북해역에 서식하는 동해안 특산 어종이다. 이들 동해안 특산 볼락류의 분자진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좀볼락과 세줄볼락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미토게놈)를 해독하였고, 한반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16종 볼락의 미토게놈과 비교하였다. 좀볼락 및 세줄볼락의 미토게놈 전체 크기는 각각 16,408 bp 및 16,409 bp이었으며, 37개의 유전자 (13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 2개의 리보솜 RNA 유전자 및 22개의 tRNA 유전자)와 1개의 비암호화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동해안 특산 볼락에 속하는 좀볼락, 세줄볼락, 황볼락 및 노랑볼락의 미토게놈을 분석한 결과, 유전체 구조, 뉴클레오티드 구성, 유전자 배열 등에서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비암호화 영역인 조절영역에 잘 보존된 "ATGTA" 모티프(motif) 2개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특정 염기서열의 반복(tandem repeats)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 동해안 특산 볼락류 4종의 미토게놈 염기서열 간에 차이는 단백질 코딩 유전자 영역보다 조절영역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볼락속 어류의 미토게놈 정보를 이용하여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16종의 볼락을 4개의 클러스터(cluster)로 그룹화할 수 있었고, 이 중에서 동해안 특산 볼락류 4종은 3개의 클러스터에 속해 있었다. 황볼락(S. owstoni)은 흰꼬리볼락(S. longispinis), 우럭볼락(S. hubbsi), 개볼락(S. pachycephalus), 황점볼락(S. oblongus), 황해볼락 (S. koreanus), 조피볼락 (S. schlegelii) 및 탁자볼락(S. taczanowskii)과 동일한 클러스터에 속하고, 세줄볼락 (S. trivittatus)은 누루시볼락 (S. vulpes)과 동일한 유전적 분기군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특산 볼락류 4종 중에서 좀볼락(S. minor)과 노랑볼락(S. steindachneri)은 동일한 클러스터로 분류되어 유연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동해 중부해역에 서식하는 볼락류의 진화양상을 이해하거나, Sebastidae 어류의 유전적 진화연구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피볼낙(Sebastes schlegeli)에 유행(流行)한 Lymphocystis병에 대(對)하여 (Studies on Lymphocystis Diseases in Sebastes schlegeli)

  • 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3-76
    • /
    • 1988
  • There prevailed lymphocystis disease with 1 to 2cm in size in the skin and pins of cultured Sebastes schlegeli in fish farms in Tongyoung-gun, Sanyang-myeon, Kon-ri from summer, 1987 to fall, 1988.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each fish farm, this disease prevailed widely from immature fish to mature fish, less than 10cm to 30cm in body length with about 8 through 80% of infection rate. Sebastes schlegeli with the lymphocystis disease showed combined nipple-shaped mass by doubly, triply propagated lymphocystis. But the author considered that lymphocystis disease was not a direct cause of death of Sebastes schlegeli, the fish showed marked inflammation by seconary infection of pathogenic organisms.

  • PDF

볼락류 Sebastes melanops 아가미에 단생 흡충류 Microcotyle sebastis의 부착에 관하여 (Attachment of the Microcotyle sebastis (Monogenea: Microcotylidae) to the Gills of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 Chun, Kae-Sh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2-105
    • /
    • 2002
  • 2001년 9월 19일부터 동년 10월 3일까지 Hartfield Marine Science Center Aquarium에서 구입한 볼락류 Sebastes melanops 7마리의 아가미에 부착한 단생 흡충류를 조사하였다. 파악기와 정소 수를 근거로 한 불락류(S. melanops)의 단생 흡충류는 Microcotyle sebastis였다.M. sebastis의 감염률은 42.9%이었고 감염강도는 1-11(평균 2.0)을 나타내었다. 단생 흡충류의 감염부위는 주로 감염어 아가미의 제 2차와 제 3차 새변이었다. 따라서, 아가미의 제 2차와 제 3차 새변 표면은 M. sebastis의 분포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볼락류 Sebastes crameri 아가미에서 검출된 단생흡충류인 Trochopus australis와 요각류인 Neobrachiella robusta의 분포도 (Distribution of Trochopus australis and Neobrachiella robusta in Gills of Darkblotched Rockfishes, Sebastes crameri)

  • Chun, Kae-Sh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7-79
    • /
    • 2003
  • 뉴포트 어시장에서 채집한 볼락류인 Sebastes crameri로부터 17개체의 아가미 기생물을 발견하였다. 그중 9개체는 단생흡충류인 Trochopus australis이고 나머지 8개체는 요각류인 Neobrachiella robusta였다. 이 기생물의 가장 많이 발견되는 부위는 볼락류의 제 2 아가미새궁과 배측 후부였다. 단생류인 T. australis는 주로 제 2 아가미 새궁에서 요각류인 N. robusta는 제 1 아가미새궁에서 발견되었으나 요각류는 제 4 아가미새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기생물의 아가미 부착은 주로 제 1, 2 새궁의 배후측에, 그러나 제 3, 4 아가미새궁의 전복측과 중앙에는 적게 분포되어 있었다.

고군산군도 연안 어류상 (The Fish Fauna of the Kokunsan Island,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2
    • /
    • 1993
  • 1989년부터 1993년까지 고군산군도의 어류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12목 50과 81속 102종을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중에 많은 개체가 채집된 종은 밴댕이 Herengula zunasi, 멸치 Engraulis japonica, 민태 Johnius grypotus,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과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의 8종이었다. 채집된 12목 어류중에 농어목, 횟대목 그리고 가자미목의 3개 목에 포함된 어류가 약 7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과별로는 망둑어과가 1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중에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꽃돛양태 Repomucenus ornatipinnis, 참돛양태 Repomucenus koreanus, 황점복 Takifugu flavidus, 황복 Takifugu obscurus 등 5종은 황해에만 출현하는 고유종들이다. 본 조사 지역에서 15개체가 채집된 Sebastes sp.는 Sebastes hubbsi 그리고 Sebastes longispinnis와 유사하지만 등지느러미 기조수, 측선공수, 새파수와 체색에서 한국에 출현하는 Sebastes속 어류 어느 종과도 달라서 분류학적으로 주목되었다.

  • PDF

볼락류 Sebastes spp.에 있어서 선충류 아니사키스 유충의 감염 (Infection of Parasitic Anisakis Type Larvae (Nematoda) from Some Rockfishes, Sebastes spp.)

  • Chun, Kae-Shi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06-209
    • /
    • 2002
  • 2002년 2월부터 3월까지 오레건 주에 위치한 오레건 해안 수조와 뉴포트 어시장으로부터 16마리의 볼락류 Sebastes spp.를 채집하여 검사한 결과, 3종의 볼락류로부터 총 157개체의 아니사키스 유충이 검출되었으며 50.0%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3종의 볼락류인 Sebastes flavidus, S. crameri, S. pinniger로부터 Anisakis simplex유충 110 개체, Contracaecum app. 유충 30개체 그리고 Pseudoteryanova decipiens 유충 17개체가 각각 검출되었다. 아니사키스 유충의 감염부위는 장관, 장간막과 위벽이었다. A. simplex 유충은 S. crameri에서 60%, S. flavidus와 S. pinniger에서 각각 33.3%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Contracaecum spp. 유충과 P. decipiens 유충은 S. pinniger에서 33.3%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A. simplex 유충의 감염강도는 5. flavidus, S. crameri 그리고 S. pinniger에서 1에서 87이었고 Contracaecum spp.유충과 P. decipiens 유충은 S. pinniger에서 0에서 30까지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