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water inflow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9초

동해의 가을철 저염수 분포 및 유동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of Autumn Low-salinity Water in the East Sea)

  • 이동규;이재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7-218
    • /
    • 2017
  • Seawater with salinity of 32.5 psu or less is observed in the southern Japan/East Sea (JES) every autumn. It is confined to a surface layer 30-45 m in depth that expands to cover the entire JES in October. Two sources of "autumn low-salinity water" have been identified from historical hydrographic data in the western JES: East China Sea (ECS) water mixed with fresh water discharge from the Yangtze River (Changjiang) and seawater diluted with melted sea ice in the northern JES. Low-salinity water inflow from the ECS begins in June and reaches its peak in September. Low-salinity water from the northern JES expands southward along the coast, and its horizontal distribution varies among years. A rare observational study of the entire JES in October 1969 indicated that water with salinity less than 33.0 psu covered the southwestern JES; the lowest salinity water was found near the Ulleung Basin. In October 1995,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alinity observed in a meridional section revealed that water with salinity of 33.6 psu or less was present in the area north of the subpolar front.

다변량 해석에 의한 마산만 저층수의 수질평가 (Water Quality Evaluation o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by Multivariate Analysis)

  • 이무강;황정욱;최영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3
    • /
    • 1996
  • During the last two decades, many industrial complexes for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have been established along the Korean coastline, thereby increasing the pollution materials burden on the coastal environment of seawater. Masan Bay is one of the most polluted coastal areas in Korea and the main soures of pollutants are domestic and industrial wastewater from Masan, Changwon.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relationships among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and to examin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o pollutions of seawater by factor analysis. 'rife factor loading, 1 is showed higher increasing inclination after 1989 year in station 1. The variance of pollutant materials is showed 43.7% in which the coastal inflow water is indicated external loadings(factor 1 : NO3--N, TN, factor 4 : SiO2-Si) corresponded to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water, and earth-sands i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And the internal loadings(factor 2 : SS, salinity, factor 3 . W.T., DO) are explained 33.8%'corresponded the phenomena of sedimentary layer and oxygen concentration. Therefore, The external loadings are explained by the higher factor pollutantal variance in Masan bay.

  • PDF

원자력 발전소에서 쓰나미 방지용 댐퍼 개발을 위한 유동해석 (A Fluid Analysis to develop the Damper for Tsunami Prevention in Nuclear Power Plant)

  • 진도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amper that protects against the dangers of tidal waves since there's no function to block the inflow of large amounts of water into the inside When natural disasters such as tidal waves occur. Therefore, it intended to derive the design data by simulating through flow analysis in order to predict the pressure that a dampe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manually or automatically receives. It examined the preceding researches first and conducted the flow analysis, to predict the force of the damp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uilding's outside to prevent the inflow of seawater into the inside when natural disaster occurring. As a result, it showed that, in the event of a tsunami, it moved about 170m and the time impacting the damper occurred within about eight seconds, and, at the moment, the damper door was pressured about 17bar. Also, it could identify that the load was approximately 900kN and the force by the fluid was applied to the damper door.

여자만의 수질관리를 위한 허용유입부하량 산정 (Assessment of Permissible Inflow Loa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Yeoja Bay, Korea)

  • 김형철;이원찬;김종구;홍석진;김경미;조윤식;박성은;김진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5-356
    • /
    • 2011
  • 여자만은 유기물 오염이 점차 진행되어 가고 있으며, 해역의 수질관리를 위하여 유역으로부터 유입하는 육상기인 오염물질을 GIS 기법을 이용하여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해역의 환경용량을 초과하여 유입하는 육상오염물질의 양을 박스모델로 계산하여 삭감부하량과 허용유입부하량을 평가하였다. 여자만의 수질을 해역생활환경기준 I등급으로 회복하기 위한 허용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은 배출부하의 39.3%, 총인은 30.8%를 삭감해야 하고, 총질소의 경우 6.9%의 낮은 배출부하 삭감률을 나타내었다. 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발생부하량 현황을 볼 때 토지계가 차지하는 오염부하 비중이 높고, 배출부하량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여자만의 해양환경 보호와 개선을 위해서는 육상기원 오염물질 중 점오염원 뿐만 아니라 축산계 및 토지계 부하 등 비점원 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지하수의 Br : Cl 함량비를 이용한 울산지역 해수침입 연구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trusion in the Ulsan Area Using Br : Cl Weight Ratios of Groundwater)

  • 조병욱;이병대;윤욱;임현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39-347
    • /
    • 2003
  • 울산광역시에 대한 해수침입 가능성을 171개 지하수 수질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에서 Cl의 함량이 높은 지역은 남구의 태화강 주변 저지대로서 최대 11,300 mg/L이고, 동구 해안일대는 지질학적 특성 때문에 상당히 낮은 Cl 함량을 보인다. Cl의 함량이 낮을수록 해수의 Br:Cl 함량비인 $34.7{\times}10^{-4}$에서 크게 벗어나지만, Cl의 함량이 100 mg/L 이상인 지하수는 해수의 Br:Cl 비인 $34.7{\times}10^{-4}$에 근접함을 보인다. 171개 지하수 중 Cl의 함량이 500 mg/L이상 되는 11개 시료의 Cl, Br, K, Na의 조성비는 해수와 비슷하나, Ca, Mg, $SO_4$, $HCO_3$, $SiO_2$의 조성비는 해수와 다르다. Cl함량이 500 mg/L 이상인 11개 지하수 시료의 Na/Cl 몰비는 0.35∼2.08의 범위이며(해수 0.75), Ca/Cl 몰비는 0.001∼0.20의 범위(해수 0.02), Mg/Cl 농도비는 0.001∼0.22의 범위(해수 0.09)를 보인다. 따라서 현재 태화강 일대 지하수의 Cl 함량이 높은 것은 해수침입보다는 과거 도시화 이전 충적층에 축적되어 있었던 염분이 고립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추정되며, 이 염분의 농도는 지하수 유출량보다는 유입량이 더 많은 도시지역 지하수 시스템을 고려할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수로별 유속 잔차 및 염분 분포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Residual Current and Salin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Freshwater Discharge during Monsoon in Nakdong River Estuary)

  • 송진일;윤병일;김종욱;임채욱;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84-195
    • /
    • 2014
  • 낙동강 하구역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담수는 갑문 개폐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방출되고 해수유입은 하구둑에 의해 억제되어왔다. 이로 인해 인위적인 수문 개방에 의한 해수와 담수의 수렴 및 혼합은 낙동강 하구역의 해수순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기 방류 중 낙동강 하구역의 수로별 유동 환경과 하구 흐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유속 및 염분 관측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형적 특징 및 방류의 영향에 의해 수로별 유속 및 염분 분포 특징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역의 홍수기 방류에 의한 영향은 각 수로별 잔차유속 및 염분 수직분포에 다르게 작용하며, 지형적 특징은 염분침투 범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염의 물이 정체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광양만 특별관리해역의 연안오염총량관리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in Gwangyang Bay, Korea)

  • 김도희;박종식;한기원;조현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99-905
    • /
    • 2022
  • 연안오염총량관리제는 지자체에 오염물질부하량을 할당하고, 오염부하 삭감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지역발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특별관리해역의 총량관리 도입에 앞서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물질의 유입부하와 광양만 해역의 수질상태를 조사하였고, 현재 연안오염총량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다른 해역의 장기적인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수회에 걸쳐 광양만 특별관리해역 환경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광양만에도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인정되었으나, 시행에 앞서 우선 COD, TN, TP, 중금속, PAHs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총량관리 도입의 경제성과 효율성과 같은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시화호 환경평가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Shihwa Lake by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

  • 이재학;박자양;이형곤;박흥식;김동성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83-200
    • /
    • 2003
  • 저서생물의 유기물 오염에 대한 반응 정도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주는 저서오염지수(Benthic Pollution Index)를 근거로 시화지구 폐쇄해역의 환경오염 및 생태계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동일시기의 저서생물 군집의 평균서식밀도 및 출현종 변화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효율성을 타진함으로써, BPI 산출비교 방식을 향후 환경감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염도 감식방법으로의 하나로 제안하였다. 시화 부근해역의 폐쇄 이전인 1980년 외해수화의 접촉이 원활하던 시기와, 1994년 초 시화방조제의 마지막 물막이 공사 이후 해역이 완전 폐쇄되었던 시기, 그리고 1997년 7월부터 1999년 하반기까지 방류량의 연차별 차등을 두고 정기적으로 외해수의 유통이 재개된 시기 등 세 시기별 생태계 변화추이를 동일지점에서 수행된 저서 생태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정점별 BPI등급을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1994년 2월의 시화방조제 완공이후 육지에서 가까운 좁은 내만 지역으로부터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한 폐쇄해역의 생태환경은, 1995년에는 시화호의 중심부만을 제외한 폐쇄해역 주변부를 따라 오염이 진행되었고, 1996년으로 접어들자 폐쇄해역의 전역에 걸쳐 매우 낮은 BPI지수가 나타남으로써 심각한 오염 확산이 확인되었다. 배수갑문의 시험개방 직후인 1997년에는 여전히 매우 높은 오염도를 보였고, 증가된 방류량과 더불어 상시개방이 시행된 시기 이후인 1998년에 들어 방조제 부근으로부터 BPI지수에 점진적인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999년으로 접어들면서 내만 깊숙한 지역을 제외하고 방조제 가까운 방향의 폐쇄해역에서 BPI등급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외해수 유출입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각 시기의 저서생물 군집분석결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저서오염지수(BPI) 산출방식과 유의한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환경평가 방법의 하나로 저서오염지수(BPI)산출방식의 효율성을 뒷받침 해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남해 연안해역의 부영양화 2. 남해 연안해역의 저질 및 수질의 부영양화 실태 (Eutrophication in the Namhae Coastal Sea 2. The Aspects of Eutrophication of Bottom Mud and Surface Seawater in the Namhae Coastal Seas)

  • 김성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7-118
    • /
    • 200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rasp eutrophication aspects in Namhae coastal seas, statistically analyzing existing data for their surface seawater and bottom mud. A pollution level(ignition loess) of bottom mud, on the whole, trended to increase as moving the coastal sea around Mokpo-Wando toward the east(Gyeongnam Namhae coastal seas). Especially, the pollution level(ignition loss=10.5%) of bottom mud for the coastal sea around Tongyeong-Keoje-Gosung was similar to that(10.3%) for the coastal sea around Masan-Jinhae, whose coastal marine pollution was the severest in Namhae coastal seas. It indicates that large amounts of pollutant from aqualculture facilities have been, thus far, accumulated on the coastal sea around Tongyeong-Keoje-Gosung, considering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ow of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into this coastal sea. A COD, T-N, and T-P level of surface seawater, on the whole trended to increase as moving the coastal sea around Mokpo-Wando toward the east(Gyeongnam Namhae coastal seas). A COD level appeared to be the second grade of coastal water quality over the entire year throughout all Namhae coastal seas A T-N level exceeded the third grade of coastal water quality throughout all Namhae coastal seas except the coastal sea around Mokpo-Wando. Especially, a T-N level exceeded as many as three and six times over the third grade of coastal water quality in the coastal sea around Tongyeong-Keoje-Gosung and Masan-Jinhae, respectively. A T-P level appeared to be the second grade of coastal water quality in the coastal sea around Mokpo-Wando and the third grade of coastal water quality in the coastal sea around Yosu-Narnhae and Tongyeong-Keoje-Gosung, while it exceeded as many as two times over the third grade of coastal water quality. A degree of eutrophication of the surface seawater was 1.5 in the coastal sea around Mokpo-Wando and 11.9 In the coastal sea around Tongyeong-Keoje-Gosung, gradually increasing as moving toward the east(Gyeongnam Narnhae coastal seas). It sharply increased to 146.1 in the coastal sea around Masan-Jinhae. Because the degree of eutrophication throughout all Namhae coastal seas exceeded 1, a red tide organism could pose a possibility of proliferation at any place of Namhae coastal seas if other requirements were satisfied. It indicates that a red tide may move to another place once a red tide breaks out at a place of Namhae coastal seas.

  • PDF

위험물저장탱코밑판의 부식 성향분석 및 부식예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Tendency of Bottom Plates and Corrosion Prevention Measures in Hazmat Tanks)

  • 최정수;노경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38-152
    • /
    • 2008
  •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maintenance of chemical industry facilities is related with deterioration and corrosion. Leakage of hazardous materials is likely to occur because the confirmation and maintenance of bottom plates are very difficult while the bottom corrosion of the massive hazmat-storage facilities is most dangerous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osion locations, areas, usage condition of 287 hazmat-storage tanks on this syudy, it is concluded that the main external corrosion factors are the inflow of moisture and the materials inducing corrosion in the air such as sodium chloride and the main internal corrosion factors are corrosion react caused by stay of seawater, sulfur and moisture in hazmat for a long time without appropriate discharg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corrosion of bottom plates can be restrained effectively by establishing the proper measures for the each corrosion ca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