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fluctuation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2초

여수 제도 연안에서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 in Eelgrass(Zostrera marina) Bed in coastal waters off Jedo, Yeosu)

  • 유태식;임인현;이성훈;한승조;한경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8-65
    • /
    • 2021
  • In 2012, fishes caught by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Jedo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caught at two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comprise 53 species, 39 families, and 9 orders. The dominant species were Takifugu niphobles, Lateolabrax maculatus, and Acanthopagrus schlegelii. To gain a measure of their biodiversity, 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 richnes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The highest and lowest number of total caught fish individuals was recorded in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spring. The richness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autumn.

계절에 따른 토양 방선균의 속 다양성 분포 (Distribution Pattern of Soil Actinomycetes on the Seasonal Change)

  • 박동진;이상화;박상호;김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9-153
    • /
    • 1998
  • 산림, 밭, 초지, 논 토양의 두 깊이(0~2cm, $50{\pm}1cm$)에서 계절별로 채취한 토양 시료로부터 서로 다른 방선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계절별 토양 방선균의 속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표층에 분포하는 Streptomyces속 방선균주의 계절별 변동율은 논(18%)과 산림(18%) 토양에 비해 초지(41%)와 밭(39%) 토양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50{\pm}1cm$깊이에서는 논(36%), 밭(28%), 초지(26%), 산림(16%) 토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희소 방선균의 계절별 분포 변동율을 토양 표층의 경우 논 토양(26%)을 제외하고는 모두 45%이상이었으나 $50{\pm}1cm$깊이에서는 산림(79%), 논(36%), 밭(24%), 초지(10%) 토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 중에 분포하는 방선균의 속 다양성은 계절 변화에 의지하며 또한 이는 방선균군의 종류, 토양의 유형, 그리고 토양 깊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것으로 고려된다.

  • PDF

제주 연안역 조간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fluctuation of the meiobenthic fauna community in the intertidal zone sediments of coastal areas in Jeju Island, Korea)

  • 신아영;김동성;강태욱;오제혁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406-425
    • /
    • 2019
  • 본 연구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특성과 계적적 변동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제주도 조간대 지역에서 20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였으며, 2017년 4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총 8회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조사지점 당 중형저서동물의 밀도는 733~2,505 inds. 10 cm-2였으며, 2017년 4월에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19년 2월에 가장 낮았다. 모든 조사지점에서 Nematode가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pepod와 nauplius가 그 다음 우점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생태계 건강성을 나타내는 Nematods/Copepods ratio (N/C ratio)는 2017년 4월에 가장 낮은 값인 0.02, 2019년 2월에 가장 높은 값인 87.40으로 산출되었으며, 이는 조사지점의 건강성이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분석결과는 제주 연안의 중형저서동물 군집구조는 지역적 차이보다는 계절적 변동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냈다. 제주도의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계절적 변동 특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군집조사와 환경 인자와의 상관관계 분석이 후속 연구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arboxyl Esterase의 활성측정에 의한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S.의 살충제포장저항성도의 계절적변동 (Seasonal fluctuation of Carboxylesterase activity in field collected populations of the green peach aphid)

  • 송승석;오홍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8-353
    • /
    • 1993
  • 포장의 약제저항성 변동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복수아혹진딧물의 Carboxyl esterase(CE) 활서측정에 의한 저항성도의 변동상황을 조사하였다. 비닐하우스에서 고추육묘중 발생한 복수아혹진딧물의 CE활성 측정 결과 약제저항성도는 무처리구가 40이였으나 아세페이트를 처리한구는 78로 약제처리로 인한 저항성도가 38이 증가하였다. 또한 노천망실에서 약제처리를 하지 않고 재배한 케일에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의 CE활성에 의한 저항성도는 7월이 24이었으나, 8, 9월의 활성이 계속 증가하여 10월이 83으로서 최고에 달하였다가 11월에는 다시 81에서 79로 약천 떨어지고 있어 약제이외에 저항성도의 자연변동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국적으로 18개장소에서 채집한 진딧물의 CE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성도의 평균이 여름은 50$\pm$14였으며 늦가을인 11월은 82$\pm$10으로서 여름보다 늦가을인 11월이 32가 높았으며 그중에도 약제를 살포사지 않은 곳 보다 약제살포 회수가 많은 곳일수록 높았다.

  • PDF

파밤나방 성충 및 유충의 발생 (Seasonal Fluctuation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Adult and Larva)

  • 고현관;최재승;엄기백;최기문;김정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9-394
    • /
    • 1993
  •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 소장을 조사한 결과 1990년 충남 예산에서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중하순, 8월 중순, 9월 하순, 11월 중순이었다. 1991년 충남 아산에서 발생 최성기는 7월 하순, 8월 하순~9월 중순, 11월 중순이었다. 1990년 3년 동안 수원에서 조산한 결과 해가 경과함에 따라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1991년 충남 아산의 파 포장에서 유충의 경시적 밀도를 조사한 결과 4회의 발생 피크가 있었고 최고 밀도에 도달한 9월 중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후 급격히 감소 하였다. 수원 지역에서 산란 최초일이 5월18일이 될 경우 년 4세대 발생이 가능하며 제 1세대는 48일, 제 2세대는 25일, 제3세대는 23일, 제4세대는 58일이 소요되었다.

  • PDF

포장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의 계절적 변동에 따른 약제 감수성 (Seasonal fluctuation of susceptibility of the green peach aphid to insecticides in Chinese cabbage field)

  • 송승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8-221
    • /
    • 1993
  • 복숭아혹진딧물 방제용약제를 공시하여 1983년부터 4년에 걸쳐 포장에서의 약효와 실내에서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마라치온을 포함한 7종의 살충제의 방제가가 현저히 낮았다. 또한 포장에서 계절별로 발생한 개체군에 대한 각 약제의 감수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약제에 따라 1~167배의 약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 PDF

Effect of groundwater fluctuation on load carrying performance of shallow foundation

  • Park, Donggyu;Kim, Incheol;Kim, Garam;Lee, Junhw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8권6호
    • /
    • pp.575-584
    • /
    • 2019
  • The groundwater level (GWL) is an important subsoil condition for the design of foundation. GWL tends to fluctuate often with seasonal variation, which may cause unexpected, additional settlements with some reductions in the safety margin of found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luctuating GWL on the load carrying and settlement behavior of footing were investigated and quantified. A series of model load tests were conducted for various GWL and soil conditions using a hydraulically-controlled chamber system. Changes in load level and rising and falling GWL fluctuation cycle were considered in the tests. Settlements during GWL rise were greater than those during GWL fall. The depth of the GWL influence zone ($\underline{d}_{w,inf}$) varied in the range of 0.3 to 1.5 times footing width and became shallower as GWL continued to fluctuate. Design equations for estimating GWL-induced settlements for footings were proposed. The GWL fluctuation cycle, load level and soil density were considered in the proposed method. Changes in settlement and factor of safety with GWL fluctuation were discussed.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어류군집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10-52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 assemblages on Jangbong tidal flat, Incheon, Korea. Fish were collected monthly using a small otter trawl from November 1999 to January 2001. Thirty-six fish species were recorded, with a mean density of 185 individuals and biomass of 2,594.3 gWWt. The most abundant species by number were Johnius grypotus (23.7%), Acanthogobius hasta (17.8%), and Cynoglossus joyneri (10.7%), while the dominant species by catch weight were Acanthogobius hasta (21.2%), Sebastes schlegeli (16.2%), J. grypotus (14.0%), and C. joyneri (10.8%).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were applied to assess the seasonal fluctuation in the fish assemblag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 faunal group could be divided into cold- and warm-water specialist groups. The cold-water specialists included A. hasta, Acanthogobius luridus, Triaenopogon barbatus,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nd Liza haematocheila. The warm-water specialists were J. grypotus, C. joyneri, S. schlegeli, and Hexagrammos otakii. In conclusion, the community structure showed a distinct seasonal trend,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seasonal fluctuations in water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