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algae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5초

함평만 조간대 해조류 분포지역의 퇴적 및 저서환경 특성 (Sedimentary and Benth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Macroalgal Habitats of the Intertidal Zone in Hampyeong Bay)

  • 황동운;고병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94-703
    • /
    • 2012
  •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and benthic environments in habitats of naturally-occurring intertidal benthic macroalgae,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of sediment (grain size, ignition loss [IL],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acid volatile sulfur [AVS]) and pore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and nutrients) were measured in the southern intertidal zone of Hampyeong Bay at two month intervals from April to October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istribution and biomass of benthic macroalgae were also investigated. Benthic macroalgae were distributed below 4 to 5 m depth from mean sea level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tidal zone where air exposure time is relatively short. The distribution area and biomass of benthic macroalgae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benthic algal region were mainly composed of finer sediments, such as slightly gravelly mud and mud. The temperature, salinity, pH, and nutrient concentrations (except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in pore water did not differ in regions with and without benthic macroalgae, whereas the mean grain size and the concentrations of IL, COD, and AVS in sediments were much higher in regions harboring benthic macroalgae. The correlation between mean grain size and IL in sediments displayed two distinct gradients and the slope was much steeper in regions harboring benthic macroalgae,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in benthic algal region is not solely dependent on mean grain siz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benthic macroalgae in the southern intertidal zone of Hampyeong B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in sediment.

한국 서남해역 무안, 진도와 거문도의 춘계 해조식생 (A Spring Marine Algal Vegetation in the Muan, Jindo and Geomundo Coast, Western South Sea of Korea)

  • 임수연;강만구;이창혁;김성주;신종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612-625
    • /
    • 2017
  • To grasp the algal vegetation using the occurred species number, biomass and dominant species,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he subtidal zone of Muan-gun, in the intertidal zone of Jindo-gun and in the intertidal zone and subtidal zone of Geomundo, the south-eastern coast of Jeollanamdo, Korea in the spring 2014. The total occurred species was 140 ones including 10 chlorophytes(7.14%), 54 phaeophytes(38.57%) and 76 rhodophytes(54.29%); the biomass was $70,484g{\cdot}w{\cdot}w/m^2$ in total. The flora charateristic using R/P ratio,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of algae, at the Station 9-1(intertidal zone) in Geomundo was tropical; the flora at the Station 6 (Maengseong-ri, Sanjodo, Jindo-gun) and the Station 9-2(subtidal zone) in Geomundo were mixed; the others were arctic to temperate. The physiognomic types were also shown. Each species was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form groups, and two ecological state groups(ESG) were evaluated based on these groups. The coarsely branched-group of functional-form groups was 44% of total occurred species. The ESG II in all study sites was high, and this is maybe due to the environmental stress such as pollution and disturbance, etc.

해조류 청각(Codium fragile)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weed Sea Staghorn(Codium fragile) Ethanol Extract for Antioxidant)

  • 이주희;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67-472
    • /
    • 2019
  • 해조류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섬유소가 풍부하며 녹조류에 속하는 청각(Codium fragile)은 청각과이며, 우리나라,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해안에 분포해 있고 우리나라와 각국에서 식재료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을 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활성, FRAP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6.25, 12.50, 25, 50, $100{\mu}g/mL$ 농도에서 0.83, 22.83, 38.27, 40.93, 45.60%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23.13, 33.63, 33.93, 44.07, 59.07%의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FRAP과 ABTS도 앞에서 했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천연 소재인 청각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해만에서의 청어(Clupea pallasii) 산란장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Spawning Beds in Jinhae Bay, Korea)

  • 문성용;최정화;이해원;김정년;허진석;곽우석;이용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34-538
    • /
    • 2019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pawning beds of the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ere observed by scuba diving in Jinhae Bay, Korea, with a focus on marine vegetation as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2017, the fertilized eggs of C. pallasii were mainly found attached to the leaves of algae species Carpopeltis cornea, Gracilaria textorii, and Acrosrium polyneurum at the rocky shore in Wonpo-dong and Jeodo. The mean density of fertilized eggs in C. pallasii spawning beds was $153,776eggs/m^2$ off Wonpo-dong and $856,430eggs/m^2$ off Jeodo, giving an estimated total of $5.345{\times}10^9$ eggs in Wonpo-dong and $3.3074{\times}10^{10}$ eggs in Jeodo. We examined spawning beds with an area of $38,619m^2$ off Wonpo-dong and $34,760m^2$ off Jeodo. The choice of spawning bed may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marine vegetation, such as the algal diversity of rocky shore environments, which could affect adhesive substrates and egg density during the spawning seas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pallasii in Jinhae Bay is in January to mid-February.

A report of 24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belonging to the Phyla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isolated in 2020

  • Kim, Ju-Young;Yoon, Jung-Hoon;Joh, Kiseong;Seong, Chi-Nam;Kim, Won-Yong;Im, Wan-Taek;Cha, Chang-Jun;Kim, Seung-Bum;Jeon, Che-Ok;Seo, Taegun;Kim, Myung Kyu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33-142
    • /
    • 2022
  • In 2020, 24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algae, kudzu leaf, mud, pine cone, seashore sand, sea water, soil, tidal flat, and wetland from the Republic of Korea. Isola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nd those exhibiting at least 98.7% sequence similarity with known bacterial species, but not reported in Korea, were highlighted as unrecorded species. These isolates were allocated to the phyla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a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four Bacteroidetes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the families Chitinophagaceae, Flavobacteriaceae, and Sphingobacteriaceae (of the orders Chitinophagales, Flavobacteriales, and Sphingobacteriales, respectively). The 20 Proteobacteria strains belonged to the Aeromonadaceae, Marinobacter, Microbulbiferaceae,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Morganellaceae, Yersiniaceae, Lysobacteraceae, Halomonadaceae, Moraxellaceae, Pseudomonadaceae, Steroidobacteraceae, Xanthomonadaceae, and Myxococcaceae (of the orders Aeromonadales, Alteromonadales, Cellvibrionales, Enterobacterales, Lysobacterales, Oceanospirillales, Pseudomonadales, Steroidobacter, Xanthomonadales, and Myxococcales).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24 unreport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in the phyla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belonging to six classes.

지방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북서태평양에서 요각류(Euchaeta sp. and Pleuromamma spp.)의 서식 위도별 영양상태 및 먹이원 연구 (Latitudinal Variation of Nutritional Condition and Diet for Copepod Species, Euchaeta sp. and Pleuromamma spp., from the Northwest Pacific Ocean Using Lipid Biomarkers)

  • 주세종;고아라;이창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spc3호
    • /
    • pp.349-358
    • /
    • 2011
  • In order to ascertain latitudinal variation of lipid contents and compositions in copepods, we collected warm water copepod species (Euchaeta sp. and Pleuromamma spp.) from four different regions from low (sub-tropical) to mid (temperate) latitudes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Total lipid contents of Pleuromamma spp. were about 11 $ug{\cdot}ind^{-1}$ with little latitudinal variation, whereas Euchaeta sp. showed slightly higher lipid content (20 $ug{\cdot}ind^{-1}$) than Pleuromamma spp. with latitudinal gradient (low at subtropic and high at temperate). Wax esters, known as the major storage lipid classes, were found to be the dominant lipid classes (accounting for more than 35% of total lipids) in Euchaeta sp., whereas in Pleuromamma spp., phospholipids, known as cellular membrane components, were the dominant lipid classes. However, the exception was specimens from warm pool region exhibiting dominance in storage of lipids as a form of triacylglycerols. Among fatty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especially docosahexaenoic acid (DHA : 22:6(n-3)) (about 35% of total fatty acids), were most abundant in Euchaeta sp., while saturated fatty acids (SAFA), specially hexadecanoic acid (16:0) (about 30% of total fatty acids), were most abundant in Pleuromamma spp.. Among the neutral fraction of lipids, phytol, originated from the side chain of chlorophyll, was found in all samples which generally indicate active copepods feeding on algae. While only trace amounts of short-chain fatty alcohols were found in Pleuromamma spp., significant amounts of fatty alcohols were found in Euchaeta sp.. Particularly, significant amounts of long chain monounsaturated fatty alcohols (20:1 and 22:1), generally found in cold water species, were found in Euchaeta sp. from low latitudes. The latitudinal variation of trophic lipid markers in these copepods could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in-situ food availability and species-specific diet pref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pid contents and compositions in copepods may not only indicate their nutritional condition and feeding ecology but also provide insight into species-specific living strategie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e. water temperature, food availability).

참전복 사료의 탄수화물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Carbohydrate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윤성종;유성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3-140
    • /
    • 1998
  • 참전복 사료의 적정 탄수화물 종류 및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제인, 북양어분 및 대두박을 단백질원으로하나 실험사료에 소맥분, dextrin,참전복 사료의 적정 탄수화물 종류 및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카제인, 북양어분 및 대두박을 단백질원으로하나 실험사료에 소맥분, dextrin, $^{\alpha}$-potato starch, sucrose를 각각 2-~24%씩 첨가하여 그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alpha}$-potato starch를 15%, 20% 및 25% 첨가하여 적정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북양어분, 대두박, 콘글루텐밀, 면실박, 소맥분의 첨가 비율을 조절하여 탄수화물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와 비슷하게 유지한 배합사료구도 설정하였으며, 천연먹이로 건조 다시마와 건조 미역 공급구를 두어 실험배합사료와 비교하였다. 실험용으로 중간 크기의 건강한 치패(평균체중;125 mg)를 사료마다 4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한 후의 생존률은 건조 다시마와 건조 미역구가 타 실험구보다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의 평균체중과 증체율은 사료의 탄수화물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건조 다시마와 미역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alpha}$-potato starch 20%와 25% 첨가구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alpha}$-potato starch 15%첨가구의 성장효과는 다소 낮아져 $^{\alpha}$+$^{\beta}$-potato starch 20%와 sucrose 20%와 25%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지질 함량은 소맥분, dextrin, $^{\alpha}$-potato starch 첨가구들이 서로 유의차없이 타 실험구보다 높았고, 천연먹이구와 상($\alpha$)-potato starch 25% 첨가구들이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이상으로부터 본 실험에 사용된 탄수화물원들은 모두 참전복 사료에 적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섬진강과 영산강 하구의 식물플랑크톤 기원 색소분포 변동 (The Pigments Varia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eomjin and Yeongsan River estuary)

  • 전혜지;이유진;손문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9-106
    • /
    • 2020
  • 섬진강 및 영산강 하구의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상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2016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정점에서 용존무기질소(DI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와 규산염(DSi, dissolved silicate)은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특히 섬진강하구에서는 DIN과 DSi가 내측에서 점차적으로 외해로 확산되는 특성을 보였으나, 영산강 하구는 복잡한 지형학적 특징으로 내측과 외해와 잘 섞이지 않았다.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지표색소를 활용하여 분류군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규조류 지표색소인 fucoxanthin은 섬진강, 영산강 하구에서 각각 평균 0.61±1.00 ㎍ l-1, 0.76±1.22 ㎍ l-1로 나타나, chlorophyll a 이외 다른 색소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와편모조류 지시색소 peridinin은 현미경 검경결과와 와편모조류의 출현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소형 녹조류, 은편모조류, 남조류는 현미경으로 관찰되지 않았으나, 각각의 지표색소 chlorophyll b, alloxanthin, zeaxanthin은 일정하게 검출되어, 하구역 내 상기와 같은 종의 출현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색소분석을 통하여, 하구역 상류의 환경 특성이 연안내만생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영산강 하구는 인공적인 배수갑문의 독특한 특성으로, 대량방류되는 담수에 의하여 연안내만에서 관찰되는 담수종이 일시적으로 분포하였다.

제주도 연안의 해조류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생태학적 평가 (Ecological Evaluation Using Seawe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 조성환;노영석;원승환;김수강;정상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7-638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도 연안의 해역별 해조류 분포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8년 5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본섬 4개 정점과 유인도서 2개 정점의 마을어장에서 수행되었다. 해조류는 총 101종으로 녹조류 13종(12.9%), 갈조류 24종(23.8%) 그리고 홍조류 64종(63.4%)이 출현하였다. 계절별로는 5월에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고, 10월에 가장 적게 출현하는 전형적인 온대해역의 특징을 나타냈다. 수심별 해조류 출현 종수는 5m와 8m에서는 66종과 65종으로 유사하였으며, 12m에서는 74종으로 최대였다. 해역별로는 도서해역인 우도에서 66종으로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본섬의 동부 표선에서 27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해조류는 감태(Ecklonia cava)와 둘레혹산호말(Corallina crassissima)로 각각 21.1%와 20.3%를 나타냈으며, 방황혹산호말(Corallina aberrans) 9.2%, 에페드라게발(Amphiroa ephedraea) 6.2% 그리고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4.4%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해조류 중 산호말류는 평균 11.2종이 출현하였고, 각 해역의 산호말류 중요도는 평균 32.6%로 우도에서 14.7%로 가장 낮았고, 표선에서 가장 높은 41.0%를 차지하였다. 해조류 군락의 생태학적 평가지수(EEI)는 2.1~10.0으로 표선의 5월과 6월 12m에서 가장 낮았고, 그 밖의 다른 해역에서는 평균 7.3이상으로 좋은 상태를 나타냈다. 본 조사에서 설정한 생태등급기준 I 등급은 우도와 추자도의 수심 12m이었으며, II 등급은 사계와 추자도의 수심 5 m와 8 m가 해당되었다. III 등급은 표선과 귀덕2의 수심 5m와 12m, 평대의 수심 5m와 8m가 해당되었으며, IV 등급은 귀덕2의 수심 8m가 해당되었다.

이매패류 어미관리를 위한 미세조류 기반 폐쇄-순환여과시스템 개발 연구: I. 성 성숙 유도 (Development studies of microalgae-based closed recirculating bivalves adults conditioning system: I. Induction of the gametogenesis)

  • 김정우;허영백;한종철;박영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1-240
    • /
    • 2016
  • 폐쇄순환여과시스템을 활용 굴 어미를 전체 42일 간의 평균 일간 사육수의 교환율은 0.5%였고, 총 사육수 교환은 21.3%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수온은 실험개시 시 $16.3^{\circ}C$에서 서서히 증가시켜 실험 21일째 $22.7^{\circ}C$로 상승되었고, 이 후 실험종료 시까지 $22.1{\pm}0.4^{\circ}C$였고, 염분변화는 $24.9{\pm}0.4$ 이었고, 용존산소는 7.9-5.1 mg/L 이었고, pH 는 $7.93{\pm}0.15$였다. 암모니아와 질산의 축적농도 범위는 각각 1.958-0.353 mg/L 과 1.34-0.47 mg/L 였고, 아질산 농도는 0.03-0.16 mg/L 였고, 용존성무기인의 농도는 0.42-0.03 mg/L, 규산염은 0.00-3.83 mg/L, 아질산을 제외하고 실험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P < 0.05) 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식소 발달은 실험 42일 만에 암컷은 90.9%, 수컷은 94.4% 방란 방정이 가능한 완전히 성숙된 생식소로 발달하였다. 비만도는 실험 개시 시 25.2에서 종료 시 24.5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크기요소인 평균 각장과 각폭은 실험 개시 시에 약간 성장하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05). 그러나 평균 각고는 개시 시 대비 종료 시 8.3 mm 성장하였고, 무게요소인 평균 전중, 육중 및 각중은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 전체 평균 생존율은 98.7%였고, 각장은 실험개시 시 평균 54.5 mm 에서 실험종료 시 59.2 mm 로 유의적인 성장변화는 없었지만, 평균 4.6 mm 성장하였고, 각고는 실험 14일째 평균 122.9 mm 까지 유의적인 성장이 관찰되었다. 실험결과 충분히 본 시스템의 시설용량으로 기존 가온해수유수 사육 방법 대비 에너지비용과 먹이공급량 대비 10분 1수준에서 채란 가능한 어미로 성숙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향 후 상업적 인공종묘배양장에서 충분히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