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A depress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우울증 아형들의 이해 (The Understanding of Depression Subtypes)

  • 한창환;류성곤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20-36
    • /
    • 2001
  •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많은 환자들에서 보이는 다양항 양상과 다양한 경과를 자주 접하면서 분류를 어떻게 하여야 임상적으로 유용한가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우울증의 아형 평가의 필요성과 평가도구들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원래부터 이들이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하나의 유전적 소인이 있어 개인에 따라서 병의 진행 시기에 따라서 여러 우울증의 spectrum으로 표현되는 것인지 문제가 제기되어 왔지만, 현재로서는 분명히 알 수 없다. 저자들은 먼저 "우울증 스펙트럼" "양극성 우울과 단극성 우울이 공통의 하나의 유전적 인자를 가지는가"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등 강한 주장들이 있어 문헌 고찰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최근 생물학적인 연구로부터 나온 세로토닌 관련 우울증 가설을 알아보았다. 이 우울증 가설(SeCA depression)은 조기 모성 분리 혹은 모성 박탈 같은 유년시절의 부정적 경험, 불안, 공격성, co-rtisol 증가, cortisol flattening, DST 양성, 스트레스 사건, CRF 상승, 5HIAA저하 등을 연결하여 우울증의 역동을 쉽게 설명하였고 생물-심리-사회적 접근을 가능하게끔 하는 우울증의 모델이다. 둘째로 고전적인 생물학적 지표 즉 DST, TRH 자극 검사, 및 뇨 MHPG 검사 결과에 따르는 우울증 아형을 구분하고 특징을 살펴보았고 이들의 역사적이고 임상적인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밖에 APOE epsilon 4 allele, 기질-성격이론(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 TCI) 심박동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 HRV) 같은 요인들을 비롯하여 잘 알려진 증상이나 진단으로 분류된 아형들을 조사하여 임상적인 의미를 찾아보았다.

  • PDF

치매 및 우울증 고위험군 116례의 한의 치료에 대한 관찰 연구 (Observational Study of the Treatment of 116 Cases of High Risk Group for Dementia and Depression in Multiple Korean Medicine Clinic)

  • 안영성;장건;김면수;박준영;김용기;하현이;최중길;이재열;이동석;황지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04-116
    • /
    • 2021
  •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costs due to the increase in dementia patients, which is a representative senile disease in an aging society, it will be important to prevent dementia and to detect and treat early in high-risk groups. This study reported the results of treatment for the elderly with high risk of dementia and depression who received Korean medicine (KM) treatment in 9 KM clinics. Medical charts were surveyed on 116 patients with high risk of dementia and depression who received KM treatment at 9 KM clinics in Gangseo-gu from September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female(76.72%), the average age was 71.66±7.18 years old, and the average education level was 8.96±3.91 years.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was 61.47±10.30 days, the average number of treatments was 15.38±1.06 times, and bo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were administered. After receiving KM treatment, cognitive assessment scores such as MMSE-DS and MoCA-K, depression-related GDSSF-K score,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blood debilitation scale, and GQOL-D score were improved compared to before. There was no specific adverse reaction except that one patient with elevated AST and ALT levels was observed.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dementia-related scale, and quality of life in high-risk groups for dementia and depression over 60 years old who received KM treatment. More systematic and large-scale planned clinical studies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