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ophularia buergerian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지황과 현삼에서 배양전 저장 온도와 기간이 직접 체세포배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s and Periods on the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and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 박주현;송지숙;옥현충;임완상;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0
    • /
    • 1999
  • 지황과 현삼을 대상으로 저장 온도와 기간이 직접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황은 $4^{\circ}C$에서 저장한 후 배양한 경우보다 $8^{\circ}C$에서 저장하여 배양한 경우 직접 체세포배 생성율이 높았으며, 저장 조직 간에 차이가 있어, 잎이 12주간 저장 후에도 거의 일정한 체세포배 발생율을 보여 줄기나 엽병보다 장기 저장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삼의 각 조직을 전배양 없이 바로 $4^{\circ}C$$8^{\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줄기와 엽병 조직이 저장기간의 경과와 무관하게 신초의 발생율이 유지되었는데 경제적인 면으로 볼 때 $4^{\circ}C$ 조건보다는 $8^{\circ}C$ 조건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현삼의 각 조직을 $25^{\circ}C$에서 10일 동안 전배양한 후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줄기와 잎 조직은 $8^{\circ}C$에서, 엽병 조직은 $4^{\circ}C$ 조건에서 저장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현삼에서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와 농도가 기내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the Shoot Formation in bioreator culture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 임완상;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3
    • /
    • 2000
  • 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생산에 있어 적정 탄소원과 질소원의 종류 및 농도와 , 생물 반응기 형태에 대한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탄소원으로서 과당을 사용하였을 때 자당 사용의 경우보다 다신초의 형성은 좋았으나, 비정상적인 개체가 많아 종묘 생산용으로는 부적합하였다. 질소원으로 질산태 질소의 효과적 이었으며, 암모니아태 질소 413 mg/L 에 절산태 질소 1,900 mg/L 로 조합하는 것이 신초형성에 가장 적합하였는데, 500 ml 플라스크 배양에서 전 질소 함량은 3 주째 까지는 83% 에서 75% 로 완만하게 감소하다 이후 46% 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신초가 급속히 증가하는 시기와 일치하였고 생물 반응기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감소되었으며, 배양 종료시인 6주 째에는 500ml 플라스크에서나 생물 반응기 배양액 내의 질소함량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생물반응기의 배지내 자당은 2주째에 완전히 고갈되었으며 500ml 플라스크 배양에서 자당은 3주째에 완전히 고갈되었고, 자당에서 전환된 과당과 포도당은 절편체의 생체중이 급격히 증가되는 4주와 5 주 사이에 감소되었다. 현삼의 배양에 적합한 생물 반응기 형태는 inner loop 가없는 air lift형 sphere type이었다.

  • PDF

생물반응기에서 현삼의 신초 형성과 발근 (Production and Rooting of Shoots in Bioreactor Culture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 한석훈;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7-122
    • /
    • 2000
  • 본 실험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기내생산과 기내 발근에 관여하는 요인을 검토하여 추후 종묘의 건전한 생육과 안정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반응기에서 현삼 배양은 MS 기본배지의 $NH_4NO$ 양을 1/4 로 줄여 413mg/ l 의 농도로 처리하고 6주간 배양하는 것이 신초의 유도에 유리하였다. 2. 생물반응기 배양시 신초의 형성과 생장에는 $NH_4NO_3$를 413mg/ l로줄인 MS 배지가 유리하였다. 3. 배지량 1.5L 의 생물반응기에서 줄기 절편의 접종량이 300개 이상일 경우 기내 식물체가 과밀화 되어 신초의 생육이 저해되고, 생물반응기 내부 및 배지 위로 노출된 신초는 괴사되었다. 따라서 신초의 생체중이 무거우면서도 신초수를 많게 하기 위해서는 적정 접종량을 300개체로 하는것이 유리하였다. 4. 신초의 발근 수와 길이생장에는 IBA 0.05mg/ l 가 효과적이었다. 5. 생물반응기에서 6주간 배양하는 것이 신초의 생육이 정상적으로 되었으며 또한 이들 신초에서 발근과 뿌리의 발육에도 유리하였다.

  • PDF

생물반응기 생산 현삼 신초의 순화에 미치는 배지의 영향 (Effects of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Media on the Acclimation of the Shoots of 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 Produced in Bioreactor)

  • 한석훈;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1
  • 본 실험의 목적은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현삼 종묘의 기내증식과 기내순화에 관여하는 적정 배지조건을 검토하여 추후 종묘의 건전한 생육과 안정적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물반응기에서 4주간 배양한 신초의 발근과 생장은 1X MS 액체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6주간 배양한 신초는 1/10 MS 배지에서 좋았다 2. MS 고체배지에서의 잎 전개율은 생물반응기에서 6주간 배양한 신초가 4주간 배양한 신초보다 높았다. 3. 잎이 전개된 신초의 수와 신초당 잎의 수는 1X MS 고체배지에서 많았으나 유리화도 1/2X MS 고체 배지에서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4. 전반적으로 보아 신초의 지상부 생육은 MS 기본배지에서 양호하였으나 지하부 생육은 암모니아 태 질소를 1/4로 줄인 배지에서 좋았다. 5. 암모니아태 질소를 1/4로 줄이고 아가농도를 1.2%로 조정한 배지에서 신초의 생육이 좋았으나 유리화가 많이 발생하였다. 6. 신초의 생육과 순화는 1X MS배지에 1.6% 아가농도가 좋았으나 1/2X MS에 1.2%의 아가를 첨가한 경우보다 유리화가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신초의 순화는 1/2 MS 기본배지에 아가농도를 1.2%로 한 배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현삼(玄蔘) 수추출물(水抽出物)이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前驅蛋白質)로 형질전환(形質轉換)된 초파리에 미치는 효과 (Study of Anti-Alzheimer Activities from Scrophularia buergeriana Water Extract by Alzheimer's Protein APP-transgenic Fly)

  • 김진우;이순이;이종화;민상준;김태헌;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1-131
    • /
    • 2009
  • Objectives : From Scrophularia buergeriana water extract(SBW), has been used in vivo test for its beneficial effects on neuronal survival and neuroprotective functions,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APP-related dementias and Alzheimer's disease(AD). $A{\beta}$ oligomer derived from proteolytic processing of the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APP), including the amyloid-${\beta}$ peptide($A{\beta}$), play a critical role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ementia. Methods : Using drosophila APP model on APP-induced neuronal cytotoxicity, we demonstrated that SBW prevents neurotoxicity of $A{\beta}$ oligomer, which are the behavior, and possibly causative, feature of AD.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BW against the effects of oligomeric $A{\beta}$ and fly behaveior and life span by UAS-GRIM/APP-GAL within transgenic flies. Results and Conclusions : SBW repaired damage leading to the behaveior of APP-induced fly and delayed life spa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onal damage in AD might be due to two factors: a direct $A{\beta}$ oligomer toxicity and multiple cellular and molecular neuroprotective mechanisms, including attenuation of apoptosis and direct inhibition of $A{\beta}$ oligomer, underli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BW.

  • PDF

약용식물 잎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진균 (Unrecorded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Medicinal Plant Leaves in Korea)

  • 안금란;노형진;이동형;김수산;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9-328
    • /
    • 2019
  • 2018년 6월, 전남 장흥군 약초재배사에 재배중인 부처손(Selaginella tamariscina), 산비장이(Serratula coronata ssp. insularis),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 등 4종의 약용식물로부터 병 감염 증후가 보이는 잎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잎으로부터 국내 미기록 진균 4종(Paraboeremia selaginellae, Colletotrichum camelliae, Alternaria eichhorniae, Phomopsis capsica)을 분리 동정하여 이들의 형태학적인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현삼의 액체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대한 치상조직과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Explants and Growth Regulators on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Liquid Culture of Scrophularia buergeriana)

  • 송지숙;임완상;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4-298
    • /
    • 1998
  •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대량 번식 방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현삼 조직의 액체배양에서 직접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치상조직과 식물 생장조절제의 상호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체의 부위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잎, 줄기 및 엽병조직을 치상한후 체세포배 발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줄기 절편을 배양하였을 때 체세포배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유식물체로 발달되기까지 약 3주의 기간이 소요되어 빠른 속도로 성장이 이루어진 반면, 뿌리의 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엽병을 접종 재료로 하여 3주간 배양하였을 때는 직접체 세포배를 통한 shoot는 형성은 되었으나 줄기 절편에 비해 체세포배 발생율은 낮았으며, 뿌리 발생도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잎조직을 액체 배지에 치상하였을 경우 체세포배 발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줄기와 엽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으며 , 배양 8주 후에는 완전한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액체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영향하는 생장조절제로는 BA효과가 컸으혀, BA에 옥신류인 IAA와 NAA를 첨가함에 따라 탈분화가 진행되어 체세포배 발생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짧은 배양 시간 동안 많은 유식물체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은 BA 05 mg/ l 나 1.0 mg/ l 로 첨가시킨 NS 액체배지에 줄기 부위를 치상 조직으로 이 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