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 T-Bal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가상현실 스포츠실 수업을 위한 티볼 실감 콘텐츠 접근 (An Approach to Realistic Contents of T-ball for VR Sports Room Classes)

  • 은광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7-58
    • /
    • 2022
  • 본 연구는 정규체육 수업에 활용되고 있는 티볼 스포츠를 스크린이 설치된 실내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실감 콘텐츠 접근 과정 및 이를 적용한 개발사례를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는 초, 중학교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구기 스포츠훈련으로 지속적인 체육수업에 활용될 수 있다. 접근 내용을 살펴보면 티볼교재의 기초훈련내용을 중심으로 스포츠 전문가, 티볼 지도자의 자문기반 협업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티볼 스포츠훈련 향상이라는 지속 가능한 교육에 적합한 훈련 접근 체계성을 제시하였다. 즉, 단순히 체험기반의 실감 콘텐츠가 아닌 초등학생에게 티볼 스포츠 수업의 몰입 유도와 자연스러운 기초훈련이 될 수 있도록 훈련 모드를 설계하였다. 개발된 훈련 콘텐츠는 주 차별 커리큘럼에 따라서 공격 기본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훈련 과정상에서 난이도별 목표에 따른 평가 피드백을 제시하여 이용자가 스스로 훈련향상을 할 수 있는 훈련모드 접근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티볼 스포츠의 경기 규칙을 반영한 대전경기 모드 접근 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구기 스포츠의 기본훈련 및 신체 운동 향상이 될 수 있는 기능성 실감 콘텐츠 사례 및 실감 콘텐츠 개발 관련 산업체에 참고 제작사례로 제시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웹 기반의 스마트 발권 시스템 (A Smart Ticketing System Based-on Hybrid Web)

  • 박병언;박진섭;정일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67-57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공연장이나 야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티켓을 발권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보안성과 호환성 그리고 상업성까지 기존 문제를 해결한 미래형 웹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보안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는 우회 해킹 기법인 스크린 해킹을 방어하고 더 강력한 보안을 위해 모바일을 이용한 OTP(One Time Password)시스템을 제시하고 호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ctiveX를 사용하지 않는 Non-ActiveX System과 다양한 환경이나 기기에서 이용이 가능하게 기존 반응형 하이브리드 웹을 개선한 스마트 발권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특징을 이용한 지능형 화면 전환 시스템과 자동 할인 시스템, 최단거리 공연장 안내 시스템으로 상업적인 부분까지 고려하여 완성도 높은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A Comprasion of the Activation of Mirror Neurons Induced by Action Observation between Simple and Complex Hand Movement

  • Lee, Mi Young;Kim, Ju Sa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3호
    • /
    • pp.157-160
    • /
    • 2019
  • Purpose: We compared the activation pattern of the mirror neurons (MN) between two types of hand movement according to action observation using functional MRI. Methods: Twelve right-handed healthy subjects (5 male and 7 female, mean age $21.92{\pm}2.02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During fMRI scanning, subjects underwent two different stimuli on the screen: 1) video clips showing repeated grasping and releasing of the ball via simple hand movement (SHM), and (2) video clips showing an actor performing a Purdue Pegboard test via complex hand movement (CHM). paired t-test in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was used to compare the activ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hand movement. Results: CHM as compared with the SHM produced a higher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signal response in the right superior frontal gyrus, left inferior and superior parietal lobules, and lingual gyrus. However, no greater BOLD signal response was found by SHM compared with CHM (FWE corrected, p<0.05).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d that the activation patterns for observation of SHM and CHM are different. CHM also elicited boarder or stronger activations in the brain, including inferior parietal lobule called the MN region.

수계 바인더를 이용한 NiCuZn Ferrite의 슬러리 제조 (The Preparation of NiCuZn Ferrite Slurry Using the Water Mixed Binder System)

  • 류병환;이정민;고재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4호
    • /
    • pp.35-42
    • /
    • 1998
  • 오늘날 전자부품 산업에 실장기술은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페라이트 칩인덕터와 같이 전자부품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쉬트 적층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위하여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세라믹 습식공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물이 혼합된 용매계를 이용한 NiCuZn Ferrite(NCZF) 슬러리와 그린쉬트의 제조 및 평가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볼밀링에 의하여 21 vol%의 NCZF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polacrylic vinyl copolymer를 바인더로서 사용하였다. 용매로서는 isopropyl alcohol과 2-butoxy ethanol에 40∼80%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NCZF 슬러리의 분산안정성은 입자의 정전기적 힘보다는 free polymer에 의해 나타났으며, 슬러리의 점성은 용매중의 물함량에 크게 의존하였다.

  • PDF

한국인 성인의 상악 전치부 치조골 형태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evaluation of alveolar bone profile of maxillary anterior teeth in Korean young adult)

  • 서효석;정진형;임성빈;홍기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461-471
    • /
    • 2006
  • In order to achieve a satisfactory esthetic result of periodontal surgery or implant in maxillary anterior area, periodontists must be aware of normal alveolar bone anat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alveolar bone morphology to tooth shape and form. 78(mean age : 25 yrs) periodontally health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ne lateral incisor were selected to study. With minimal local anesthesia, gutta-percha cone inserted to labial gingival sulcus of selected teeth just after bone sounding with periodontal probe. Metal ball (4mm diameter) attached to palatal fossa of central incisor. Then, periapical radiograph was taken according to long cone paralleling technique. After film scan, labial alveolar bone profile reproduced along interproximal bone and apical ends of gutta-percha cones on computer screen. By utilizing computer program, the distance from height of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in central incisor-central incisor and central incisor-lateral incisor area was measured and converted to real distance by using vertical length of metal ball on film. After measuring crown length & width of central incisor, the 10 individuals ranked lowest GW/L ratio (crown width/length ratio) and the 10 ranked highest were selected as having a long-narrow(group N), or a short-wide(group W) form of the central incisors. Means of the distance from height of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of group N, W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by means of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distance from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was $3.5{\pm}0.7mm$ between two central incisor, and $2.8{\pm}0.6mm$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2. Mean GW/L ratio of group N was 0.57, and group W was 0.8. Mean distance from the height of the interproximal bone to the labial bone crest of group N was higher than group W in both measured area(measurements of group N, W were $3.9{\pm0.2mm$ and $3.5{\pm}0.2mm$ between two central incisor, $3.0{\pm}0.2mm$ and $2.8{\pm}0.2mm$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the groups were compared.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there was a tendency that subjects with long-narrow teeth have more scalloped alveolar bone profile than subjects with short-wide teeth in upper anterior area,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