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st-Policymaker Communic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Policymakers and stakeholders' perceptions of science-driven nuclear energy policy

  • Li, Nan;Brossard, Dominique;Scheufele, Dietram A.;Wilson, Paul P.H.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773-779
    • /
    • 2018
  • This study surveyed 137 policymakers and key stakeholders (e.g., employees of government agencies, academic institu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industry, and advocacy groups) involved in making decisions on nuclear energy policy, investigating how they differentiall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vidence in driving nuclear policy. We also identified the policy areas that each group of decision-makers are mostly concerned about and showed how such concerns might contextualize and ultimately shape their perceptions of science-driven policy.

협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부주도 과학문화 사업의 한계와 대안 (Study within the Framework of Collaboration on the Limitation and Alternatives of Governmental Project for Science Culture)

  • 손향구;박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16-730
    • /
    • 2016
  • 사회 제반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 합리적 사고, 창의성, 비판적 검증을 근간으로 하는 과학문화의 역할과 의미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대중과 전문가간의 쌍방향 소통을 기반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자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시민과학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 대중의 능동성을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자, 정부정책담당자, 커뮤니케이터, 문화예술인, 전시담당자 등 다양한 주체간의 협업체계를 구성해야하며, 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 간의 합의, 동기부여, 리더십, 의사소통, 신뢰관계 형성 등의 요인이 제대로 충족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자문회의, 인터뷰, 워크숍 등을 통해 취합된 의견과 자료조사를 토대로 정부주도 과학문화 사업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얼마나 실천되고 있는지 검토한 후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학문화사업 인력을 충원하고 커뮤니케이션 허브, 지역거점, 플랫폼 등의 기반을 구축해야하며, 사업 참여자의 경쟁과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선정방식을 개선하고, 나아가 규제와 보수체계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대중을 수동적 담지자로 전제하는 결핍모형에서 벗어나 자신의 관심을 능동적으로 표출하고 참여하는 구성원으로 고려하는 맥락모형이나 참여모델관점에서 사업의 효율성을 증진하는데 필요한 포괄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