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onth Festiva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다섯 목소리 (Five Voices about Science Month Festival)

  • 맹승호;이선경;김찬종;이정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09-622
    • /
    • 2007
  • 해마다 4월이면 각 급 학교에서 치뤄지는 과학의 달 행사는 학생들에게 과학을 접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과학의 달 행사는 본래의 교육적 목적을 상실한 채 '때가 되면 해야만 하는' 하나의 행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과학의 달 행사는 이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과학의 달 행사와 관련된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과정을 통해,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각 주체들은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해 각각의 목소리가 변증법적으로 관련되는 공적 담화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는 불만으로 그칠 뿐, 이에 대한 생산적인 대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달 행사의 이념이 실현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각 주체들 간의 사적 공적 담화를 기반으로 한 교호작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과학축전과 과학커뮤니케이션 : 1997년 4월‘과학의 달’행사를 중심으로 (Science Festival and Science Communication: A Case Study for the April 1997's Science Month in Korea)

  • 김학수
    • 기술혁신연구
    • /
    • 제6권1호
    • /
    • pp.99-127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plan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1st National Science Festival and other events of the April 1997's Science Month in Koreas; second, to monitor communication activities done for those events; third, to evaluate effects of communication activities. Bo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Korea Science Foundation were arranged to execute our planned communication strategies. Basically we utilized the three sequences of human behavioral condition : Exposure, attention, and cognition. For planning, we suggested concret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each sequence, for example, first, those for bringing exposure to every event, second, those for bringing attention to the event, and third, those for bringing cognition of the event. Those communic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use specifics of newspapers, television programs, radio programs, commercial and corporate magazines, electric visual sign advertisements on the street, and computer communication.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we used the same three sequences as the criteria. For example, we monitored and evaluated how much exposure, attention or cognition an event got or which specific medium contributed to exposure to, cognition of an event. For monitoring, graduate students were dispatched to examine each event through watching and interviewing. For evaluation, about 950 of event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were surveyed by means of face-to-face interview. Overall, we found that newspaper articles and television programs contributed a lot to people's exposure to events of the April 1997's Science Month. Especially, newspaper played a major role of heightening exposure. However, most events and/or their science and technology content failed to get salient attention and its following active cognition. The 1st National Science Festival attracted much exposure, but had some problems of disorder and commercialism. This sharp increase of exposure and some attention were believed to have reinforced people's, especially event participants' positive opin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part of scientific culture.

  • PDF

과학경연대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Contests)

  • 이남희;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1호
    • /
    • pp.89-97
    • /
    • 2016
  • Science contest is one of the important programs of extracurricular school science activities which give various experience for science learning. In order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contest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contest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science contests in each school, their perceptions on the preparing process of statewide science contest, and the preference of the types of preliminary science contests. 196 teachers were responded to survey, and 8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teachers were aware of various science contests through their in-school experiences. The main difficulties of teacher on science contests was lack of professionalism on science and science contests. While teachers preferred the preliminary round of contest by contest's host to the preliminaries of science contest in each school. They also worried about the intimidation of science month's festival in school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cont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제호탕의 문헌 고찰 (A Bibliographical Study on Jehotang)

  • 지명순;고병섭;안상우;김종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8-164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new insights into the distinct aspects of Jehotang. Its history, significance, and effects were examined by evaluating the pertinent literature. In which the idea that Korean foods were original sources of medicine was well expressed.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with the anticipation that it may be useful in developing new foods and beverages based on modern science. References to the Jehotang were found in nine Korean medicine books, seven general books, and in dynastic records such as Bibyeonsa deungnok, Joseonwangjosilrok, Seungjeongwon Ilgi, etc; thus, it was likely a food since the early Korean age.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at in the Chosun era. Jehotang was not only drunk as a soft drink at the Royal Court in the summer, but was also used as a royal gifts to Cabinet members at the Tano festival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 PDF

전통생활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보육현장의 세시풍속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ld Caregivers' Awareness and Educational Training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easonal Custo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 주영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93-20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easonal custo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6 questions was developed. The data was collected by 287 child caregiv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Win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 caregivers overall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was scored as 3.28. Their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raditional life and culture was scored as 3.7, and their knowledge and interest both as 2.77. The analysis of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experience (p. <05) and age (p. <01). Second, the child caregivers were unaware any other seasonal customs besides Chuseok(Korean Thanksgiving), Tano(a festival occurring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Lunar New Year's Day, and Daeboreum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year) Third, child caregivers perceived 'culture' experiences as being very important for education about seasonal customs. Forth, two of Korea's seasonal customs, Chuseok(Korean Thanksgiving) and the Lunar New Year's Day have always been celebrated with family gatherings. Fifth, child caregivers awareness of seasonal customs is correlated with educational training. And their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is also correlated with educational training.

사업체급식소와 학교급식소의 이벤트 실태 및 이벤트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n status of even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etween industry and school foodservices)

  • 송현진;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452-462
    • /
    • 2014
  • 본 연구는 전북지역 사업체급식소의 73명의 영양사와 학교급식소의 135명의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이벤트현황, 이벤트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비교, 이벤트 효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사업체와 학교급식소의 이벤트는 이벤트의 이름 및 내용을 근거로 건강이벤트, 경품이벤트, 계절이벤트, 고유명절이벤트, 절기이벤트, 기념일이벤트, 사회봉사이벤트, 스포츠이벤트, 세계음식이벤트, 추억이벤트, 학교이벤트, 환경이벤트, 홍보이벤트의 13개 이벤트로 명명 하였으며 각 이벤트그룹별로 총 45개의 하위이벤트가 조사되었다. 67.1%의 사업체급식소에서 한 달에 1회 이상의 이벤트를 실시하나 80% 이상의 학교급식소는 한 학기에 1회 또는 거의 하지 않고 있었다. 이벤트의 홍보는 사업체급식소는 식당게시판, 식단표 및 직접 홍보를 하고 있으나 학교급식소는 홈페이지, 식당게시판 및 담임선생님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45개의 개별 이벤트 중 50% 이상의 급식소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벤트는 사업체급식소는 삼복이벤트, 동지이벤트, 정월대보름이벤트, 봄나물이벤트, 추석이벤트가 있으며 학교급식소에서는 동지이벤트와 삼복이벤트가 해당되었다. 이벤트그룹별 IPA분석결과,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게 평가된 이벤트 (Doing great)는 사업체 급식소는 계절이벤트, 고유명절이벤트, 기념일이벤트, 절기이벤트, 추억이벤트 등 고객관계유지 목적의 이벤트가 포함되었다. 학교급식소는 고유명절이벤트, 절기이벤트, 학교이벤트, 환경이벤트로 전통음식 소개와 교육적 정보 제공 등의 목적이 있는 이벤트가 해당되었다.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이벤트 (Focus here)는 사업체급식소는 건강이벤트, 경품이벤트이며, 학교급식소는 건강이벤트 계절이벤트이었다.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이벤트 (Overdone)는 사업체급식소는 없었으나 학교급식소는 기념일이벤트가 해당되었다. 중요도와 수행도가 낮은 이벤트 (Low priority)는 사업체급식소는 사회봉사이벤트, 스포츠이벤트, 세계음식이벤트, 학교이벤트, 홍보이벤트이며, 학교급식소는 경품이벤트, 사회봉사이벤트, 스포츠이벤트, 세계음식이벤트, 세계음식이벤트, 추억이벤트, 홍보이벤트이었다. 이벤트는 사업체급식소는 고객만족도 상승과 고객관계 유지 및 계약 유지에 영향을 주며 학교급식소에서도 학생들의 만족도와 메뉴의 다양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급식소의 재정적인 문제, 종업원의 수, 시설의 낙후 및 전문성 부족으로 보다 효율적인 이벤트의 계획과 진행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양(교)사들은 이벤트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한 이벤트실시의 어려움이 사업체영양사보다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업체급식소와 학교급식소에서의 이벤트 실시빈도와 종류의 차이는 급식소의 직영과 위탁운영의 차이 때문이 되겠다. 사업체급식소에서의 이벤트는 회사의 지원 과 연간계획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교급식소의 경우는 영양(교)사의 재량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어려움이 더욱 큰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급식인원, 조리종사원의 수, 시설문제 및 전문성부족으로 이벤트를 실시하는 어려움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업체 및 학교급식소의 영양사 및 영양(교)사들은 이벤트의 효과와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겠다. 사업체급식소의 경우 자주 이벤트를 할 경우 종사원들의 직무불만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식상함으로 인하여 역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벤트실시 시기의 조정이 필요하겠다. 학교 급식소의 경우는 영양(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벤트관련 교육을 통한 전문성 확보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이 요구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