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w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An Acoustic Study of English Non-Phoneme Schwa and the Korean Full Vowel /e/

  • Ahn, Soo-Woong
    • 음성과학
    • /
    • 제7권4호
    • /
    • pp.93-105
    • /
    • 2000
  • The English schwa sound has special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ct from other vowels. It is non-phonemic and occurs only in an unstressed syllable. Compared with the English schwa, the Korean /e/ is a full vowel which has phonemic contrast. This paper had three aims. One wa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full vowels and their reduced vowel schwas. Second wa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possible target in the English schwa sounds which are derived from different full vowels. The third was to compare the English non-phoneme vowel schwa and the Korean full vowel /e/ in terms of articulatory positions and dur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full vowels and its schwa. The schwa tended to converge into a possible target which was F1 456 and F2 1560. The Korean vowel /e/ seemed to have its distinct position speaker-individua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eutral tongue position. The evidence that the Korean /e/ is a back vowel was supported by the Seoul dialect speaker. In duration, the English schwa was much shorter than the full vow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Korean /e/ and other Korean vowels.

  • PDF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English Schwa

  • Ahn, Soo-Woong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2호
    • /
    • pp.311-329
    • /
    • 2001
  • This paper wanted to test the reality of English schwa by phonetic and phonological methods. Phonetically it wanted to see acoustic evid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ll vowels and their reduced vowels in the unstressed positions. Phonologically it wanted to prove how systematic the schwa sound is by the constraint-based grammar. As a result, the schwa phenomenon in English was supported both phonetically and phonologically. In the phonetic analysis no relationship Was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the F1 and F2 of the full vowels and their reduced vowels in the unstressed syllables of the derived words. The reduced vowels tended to converge into a target of F1 516 and F2 1815. The view that the schwa sounds have a target was supported. On the phonological side the constraint-based tableau produced the successful output by using FAITH (V), (equation omitted)V, FAITH V[-BACK+HiC], V[-Low, -TNS]#, REDUCE V[-STR, -TNS] as constraints. No ranking was found. Any violation of the constraints ousted the candidates.

  • PDF

영어의 비강세 약모음 schwa /e/의 음성실현 (Phonetic Realization of the Unstressed Weak Vowel 'Schwa' in English)

  • 김수정
    •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167-180
    • /
    • 2005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the unstressed weak vowel /e/ in English words produced by native and Korean ESL speakers. Traditionally, the stressed elements in utterance are considered to be prominent. In this sense, the unstressed weak vowel /e/ is predicted to be shorter in length, lower in pitch and intensity than the stressed vowels. The experiment shows that native English speakers correlate the unstressed weak vowel /e/ with both shorter duration and lower pitch; Korean ESL speakers correlate it with lower pitch only. We cannot find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intensity between /e/ and the stressed vowels in both cases. This study suggests it is important to acquire and produce the correct prosodic correlates of the unstressed weak vowel /e/ for Korean ESL speakers to command more natural English intonation, since /e/ is the most common vowel in English speech and consists of the English foot rhythm along with stressed vowels.

  • PDF

불어의 "묵음 e (e muet)"에 관한 연구 (Some notes on the French "e muet")

  • 이정원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31_32호
    • /
    • pp.173-193
    • /
    • 1996
  • 불어의 "묵음 e(e muet)"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까다롭다. 불어에서 "e"가 "묵음 e(e muet)"로 불리우는 이유는 "e"가 흔히 탈락되기 때문이다. 현재 "e muet"는 다음 발화체에서 볼 수 있듯이 열린음절에서만 나타난다. "Je/le/re/de/man/de/ce/re/por/ta/ge/." [omitted](나는 그 리포트를 다시 요구한다. : 이 경우 실제 발화시 schwa 삭제 규칙이 적용된다.) 둘째, 접두사에 나타나는 "e muet"는 s의 중자음 앞에서 s가 유성음, [z]로 발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쓰인다. "ressembler[omitted](닮다); ressentir[omitted](느끼다)" 같은 경우, 셋째, 몇몇 낱말의 경우 고어의 철자가 약화되어 "e muet"로 발음이 되고 있다. "monsieur[$m{\partial}sj{\emptyset}$](미스터), faisan[$f{\partial}z{\tilde{a}}$](꿩), faisait[$f{\partial}z{\varepsilon}$]("하다"동사의 3인칭 단수 반과거형)"등. 또 과거 문법학자들은 이를 "여성형의 E"로 불렀는데, 이는 형태론적으로 낱말의 여성형을 남성형과 구분짓기 위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aim{\acute{e}}-aim{\acute{e}}e$"(발음은 둘 다 [${\varepsilon}me$]로 동일하다 : 사랑받다)의 경우. 현대불어의 구어체어서 "e muet"는 어말자음을 발음하기 위해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pote[pot](단짝)-pot[po](항아리)". 이러한 "e muet"는 발음상으로 지역적, 개인적 및 문맥적 상황에 따라 그 음색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며 여러 가지 음가(열린 ${\ae}$ 또는 닫힌 ${\O}$)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seul[$s{\ae}l$](홀로), ceux[$s{\O}$](이것들)"에서와 같이 발음되며, 또한 원칙적으로 schwa, [${\partial}$]로 발음이 되는 "Je[$\Im\partial$]"와 "le[$l{\partial}$]"의 경우, Paris 지역에서는 "Je sais[${\Im}{\ae}{\;}s{\Im}$](나는 안다); Prends-le[$pr{\tilde{a}}{\;}l{\ae}$](그것을 집어라)"로 발음을 하는 한편, 프랑스 북부 지방세서는 동일한 발화체를 [${\ae}$]대신에 [${\o}$]로 발음한다. 실제로 언어학적 측면에서 고려되는 "e muet"는 schwa로 나타나는 "Je[$\Im\partial$]"와 "le[$l{\partial}$]"의 경우인데, 불어 음운론에서는 schwa에 의해 대립되는 낱말짝이 없기 때문에 schwa를 음소로 인정할 것인가에 대해 논란이 있다. 그러나 불어에서 schwark 음운론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다음과 같은 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발음상으로 동사의 변화형에서 "porte[$p{\jmath}rte$](들다: 현재형), porte[$p{\jmath}rte$](과거분사형), porta[$p{\jmath}rte$](단순과거형)"등이 대립되며, 이휘 "Porto[$p{\jmath}rte$](포르토)"와도 대립된다. 둘째, 어휘적 대립 "le haut[$l{\partial}o$](위)/l'eau[lo](물)"와 형태론적 대립 "le[$l{\partial}$](정관사, 남성단수)/les[le](정관사, 복수)"등에서 "묵음 e"는 분명히 음운론적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음색이 복잡하게 나타나는 "e muet"의 문제를 리듬단위, 문맥적 분포 및 음절모형 측면, 즉 음성학 및 음운론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분석하여 그 본질을 규명해 보고 "e muet"탈락현상을 TCG(Theorie de Charme et de Gouvernement)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 PDF

Mongolian schwa

  • Jan-Olof Svantesson;Vivan Franzen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6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70-74
    • /
    • 1996
  • PDF

영어 모음과 철자간 대응성 결여 문제 (Problems of Discrepancy between English Vowels and Spelling)

  • 유만근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8호
    • /
    • pp.69-80
    • /
    • 2003
  • 음성 영어교육에서 각 음소(모음.자음) 음가 인식이 중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실제로 영어를 듣고 말하는 데는 강세모음과 약음(주로 음)이 번갈아들며 엮어내는 영어 특유 말씨 박자에 대한 이해가 오히려 더 중요한 면이 있다. 그런데 영어 철자가 자음 정보는 비교적 잘 보여주지만, 모음 정보는 정확히 알려주지 못한다. 이를테면 (equation omitted)를 적는 철자가 각각 20가지 이상이며, 특히 쭉정모음(schwa) $\partial$를 적는 철자는 무려 90가지가 넘는다. 이 $\partial$는 강세 그늘에서 비록 짧고 약하게 발음되지만 영어에서 딴 어느 모음보다도 훨씬 높은 빈도를 보이기 때문에 [(equation omitted)] 음가와 그것이 있는 자리, 즉 철자 밑에 숨어 그 존재를 알기 어려운 $\partial$ 음의 소재를 철저히 파악하는 것은 영어를 잘 듣고 영어답게 말하는 데에 필수 요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쭉정모음(schwa) [$\partial$]를 포함한 영어 주요 모음 철자 다양성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음성 영어 교육(TEFL/TESOL)에 귀중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올바른 영어 발음 학습 태도를 제언한다.

  • PDF

영어 약모음 /ə/ 교수에 있어서 명시적 Form-Focused Instruction의 효과 연구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Form-Focused Instruction in Teaching the Schwa /ə/)

  • 이윤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01-113
    • /
    • 2020
  • 본 연구는 명시적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약모음 /ə/을 교실 상황에서 EFL 학생에게 교수하는 데 있어 얼마나 효과적인지 조사하였다. 25명의 고등학교 여학생이 13명은 실험집단에 12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뉘어 참여하였다. 또한, 미국인 여성 한 명도 비교 기준점을 위한 음성자료를 제공하였다. 실험집단 참여자는 한 달 반 동안 연구자의 발음과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해주는 인터넷 프로그램의 발음을 따라 하고, 개인별로 피드백을 받았다. 처치 전, 후 참여자들은 14개의 2음절 이상 다음절 실험단어와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읽었으며 읽은 문장은 음성자료로 녹음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대응 표본 t 검증과 비모수 Wilcoxon signed-rank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험군 참여자들은 사전 실험보다 사후 실험에서 영어 약모음을 약 40% 짧게 조음하였다. 하지만 모음 조음 공간에서 혀의 위치를 나타내는 F1/F2 formant에서 실험 참여자의 F1/F2 formant 분포형태는 이 연구의 기준점인 539 Hz (F1) × 1797 Hz (F2)와 상이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반복적인 따라 하기와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명시적인 형태 중심 교수법(FFI)이 영어 발음 교수에 일부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독일어 운율구조에서 최소단어의 역할 (Die Rolle des minimalen Wortes $f\"{u}r$ die prosodische Struktur des Deutschen)

  • 유시택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5집
    • /
    • pp.67-89
    • /
    • 2002
  • Die meisten $W\"{o}rter$ im Deutschen, die zur lexikalichen Hauptkategorie $geh\"{o}ren,\;erf\"{u}llen$ die prosodischen Bedingungen, class sie ein phonologisches Wort bilden und class ein phonologisches Wort zumindest aus zwei Moren besteht. In dieser Arbeit wird gezeigt, welche Konsequenzen diese Constraints $f\"{u}r$ die prosodische Gestalt der deutschen $W\"{o}rter$ haben. Eine davon bezieht sich auf das $Ph\"{a}nomen$, das in der Literatur als 'minimales Wort' bekannt ist. Die distributionellen $Beschr\"{a}nkungen$ eines ungespannten kurzen Vokals im Deutschen sind darauf $Zur\"{u}ckzuf\"{u}hren$, class ein prosodisches Wort mindestens zwei Moren enthalten muss. Die Forderung nach einem minimalen Wort wirft aber die Frage, warum ein Stamm wie feige eine zweisilbige Struktur CVCV mit einer finalen Schwasilbe aufweisen, ein Stamm wie reif dagegen eine einsilbige Struktur eve. Allein die Forderung nach einem zweimorigen prosodischen Wort wurde auch eine ungrammatische Form wie feig $erf\"{u}llen$. Bei Formen wie feige ist festzustellen, dass das Constraint IDENT-IO [voiced] wichtiger als das Constraint ist, das einen einsilbigen Stamm verlangt. Eine Analyse, in der die finale Schwa-Silbe in einem CVCV-Stamm als ein stammbildendes Element oder Pseudosuffix aufgefasst wird, kann diese Interaktion zwischen Constraint nicht erfassen. Im Vergleich dazu zeigen die zweisilben Flexionsformen, bei denen Schwa-Silben als ein echtes Suffix fungieren, dass das Constraint 'Realisiere Morphem' nur dann verletzt werden kann, wenn es zur $Erf\"{u}llung\;des\;h\"{o}her$ rangierten Constraints OCP(nucleus) dient. Dieses Constraint ist seinerseits nur dann verletzbar, wenn damit das $h\"{o}here$ Constraint Coda-Cond erfullt werden kann.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rench schwa and Korean [i] - An experimental phonetic and phonological perspective -

  • Lee, Eun-Yung;Kim, Seon-Jung
    • 음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171-186
    • /
    • 2000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French vowel [e] and Korean [i] and to seek a way of understanding them from a phonological point of view. These two vowels have similar distributional properties, i.e. they alternate with zero in some contexts. Therefore, in both languages, they are not found when immediately followed by a nucleus with phonetic content and in word-final positions. We firstly compare the two vowels by measuring the actual frequencies of the formants, pitch and energy using CSL. We also consider whether the realisation of the two vowels is affected by the speed of speech sounds. In order to show that realisation of the two vowels in both languages is not arbitrary, rather predicted, we will introduce the notion of proper government, proposed and developed by Kaye (1987, 1990) and Charette (199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