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violence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8초

미국 학교폭력에 대한 무관용정책의 변화와 시사점 (Major Principles and Changes of Zero Tolerance Policy on School Violence in USA)

  • 정일환;김영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25-49
    • /
    • 2012
  • 미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학교폭력, 무기사용, 마약복용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관용정책(zero tolerance)을 시행하고 있다. 학교폭력이나 비행이 발생한 경우 미리 예정된 정학 또는 퇴학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학교의 안전과 학습 분위기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실제로 학교폭력비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사소한 비행에 대해서도 엄격한 처벌을 함으로써 비행이 더 악화되며, 효용성도 증명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안으로 무관용정책의 대원칙은 유지하면서도 폭력의 정도에 따라 처벌의 정도를 달리하자는 등급징계제도 또는 조기반응모형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학교폭력이 사회적 이슈로 강하게 부각됨에 따라 정부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등 범부처 차원에서 대응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소한 괴롭힘도 '범죄'라는 인식하에 철저히 대응하는 정부의 방침의 타당성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폭력에 대한 무관용 정책의 주요 내용과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시대 아동의 가정 및 학교폭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omestic and School Violence on Mental Health of Children in the Age of Covid-19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 홍문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23-529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19이후 아동이 가정과 학교에서 겪는 폭력피해경험을 살펴보고, 피해경험이 아동의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W지역 14곳에 재학 중인 아동 650명을 대상으로, 폭력피해 경험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경험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동의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경험이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가정폭력경험과 학교폭력경험이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코로나 19로 인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더욱 중요해지며, 위기가정일수록 가정이나 부모에 대한 지원체계 확립, 둘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필요, 셋째, 코로나 19에 대한 사전예방적 논의필요, 넷째, 아동참여와 활동 등 온라인 활동으로 병행한 지원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한국 고등학생의 데이팅 폭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ating Violence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박옥임;배영숙;김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37
    • /
    • 2005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1-test,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the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58.6\%$ of respondents have had one or more dates with the other sex, so the association with the other sex is remarkably universal and natural. (2) In the case of physical violence, $18.5\%$ claimed that they have been injured in some ways, and $18.3\%$ said some kind of harm was done to them. (3) In terms of psychological violence, $32.8\%$ reported psychological damage and $35.6\%$ reported being harmed. (4) In terms of sexual violence, $20.8\%$ reported damage, while $18.2\%$ said they were harmed. (5)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experience of violence. (6) When we looked at the social demographic factors, we found that boys rather than girl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cademic school students have more violent experiences.

  • PDF

일반청소년과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Anxiety on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Adolescents)

  • 오종은;이재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63-17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for anxiety on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14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178 general youths were selec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 types that are manifested in the path of violent act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and general youths are ver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both groups, the same path of violent behavior through anger-in and anger-out was followed: youths repress anger when they have higher anxiety, and when too much anger is repressed, anger-out increases, which results in more violent behaviors. Second, the level of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has direct effect on the responsive violent behaviors while the level of anxiety of general youths does not have direct effect on violent behaviors. Third, although the anxiet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may increase violent behaviors through the paths of acting-in and acting-out, violent behaviors can be reduced by reducing anger-out. Therefore, to reduce the violent behaviors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intervention is needed for those who repress their anger due to anxiety; professional education is also required for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to help them control their anger.

가정학대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Depression)

  • 조민경;조한익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1호
    • /
    • pp.17-38
    • /
    • 2019
  • 본 연구는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의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학대는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피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가해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매개로 다시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피해자의 경우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하게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는 상호인과적인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가정학대경험이 선행할 경우 학교폭력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학대가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가정학대가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경로를 규명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학교 내 손상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학교 폭력 경험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Unintentional Injuries at School: Focused on Violence)

  • 권민;남은정;이진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9-147
    • /
    • 2020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unintentional injuries at school focusing on violent experiences i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used the raw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A total of 60,040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5.0.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school, academic achievement, living with family, socioeconomic status, vigorous physical activity, perceived stress, sleep satisfaction, high caffeine drinking, risky alcohol drinking, smoking, sexual experience, drug use, and safety education, were adjusted f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ntentional injuries and violence was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2.4% of the adolescents had experienced violence and 24.7% had suffered unintentional injuries. Violent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adolescents. Injuries were 1.93 times higher among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violence. Gender, school levels,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stress, sleep satisfaction, high caffeine drinks, dangerous drinking, drug use, and safety education were associated with unintentional injuries among adolescents. Conclusion: Adolescents at high risk of suffering violence and injuries should be identified and assessed preemptive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ystematic school health-centered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violence and injuries.

남녀 고교생이 이성교제 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성적 폭력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Dating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김용미;김현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5-19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ynamics of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dat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consisted of 1,205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rom all parts of the country. 1,092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90.6%). For psychological violence, 13.3%(n=145) reported to have such experiences with a dating partner at least once or mo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s of violence were shouting, insulting language and behaviors, and blaming for a physical appearance.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in frequency of psychological viol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as an aggressor or a victim. Responses of victims were mostly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and trying to forget it. For sexual violence, 27.8%(n=303) was found to have such experiences in a dating scence at least once or more. Hugging and kissing, close contact of parts of body, and gazing at parts of body were most frequently used forms. Responses of victims were pretending not to notice it and responding in the same way.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male aggressors of sexual violence than females, but no sex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ictims. Those who reported to have experiences of violence were compared to the counterparts who had no experience in attitudes toward violence between dating partners and married couples, experiences of violence in childhood, school violence, and observations of violence between parents. Those with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reported to have significantly more experiences of violence in childhood and school, and parental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 were made in regard to the need for development of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for welfare programs for adolescents in community.

  • PDF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 이창식;박지영;장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5-43
    • /
    • 2017
  •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1274명을 대상으로 충청남도 D시에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교급,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자아존중감은 성, 학교급, 가족 형태,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행복감은 성별, 학교급, 가족 소득 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모두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초, 중학생인 경우 부분매개하였고, 고등학생인 경우 완전매개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으로 인하여 행복감이 저하된 학생들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하였다.

임상 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과 이직에 관한 실태조사 (Violence Episodes and Turnover Among Clinical Nurses)

  • 김종임;김태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27-436
    • /
    • 2004
  •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scribe the prevalence, sources and feelings of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experienced by nurses an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violence episodes and their intent and attempt to turnover.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elf reported survey of 589 nurses working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in three different hospitals. SPSSWIN 11.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Resul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nurses had experienced verbal violence(93.7%) and physical violence(23.4%) at work. The most common sources of violence were by patient's families(61.6%), patients(60.3%), and physicians(48.4%). The most common feeling experienced after an episode of violence were anger(56.6%) and resentment(50.9%). 78.1% of those experienced verbal violence and 86.2% of those experienced physical violence reported that they had intent to turnover after violence episodes. Conclusion: Considering the high prevalence of physical and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organizations must develop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preventive education and policy to deal with various causes of violence. This will eventually prevent high turnover rates among clinical nurses related to the violence experiences.

  • PDF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 Q방법론의 활용 (The Social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 on the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 Application of Q-Methodology)

  • 정현태;염동문;임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384-398
    • /
    • 2016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관련된 31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33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에게 분류표를 작성한 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비전문적인식 부모 개선형', 제2유형은 '소극적인식 책임 모호형', 제3유형은 '전문적인식 책임 부재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반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가로서 직접적인 개입을 원하나 현실적인 개입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향후 청소년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학교에서는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유형화를 통한 예방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