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movement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이미지 검색 과정에 나타난 질의 전환 및 재구성 패턴에 관한 연구 (Examining Categorical Transition and Query Reformulation Patterns in Image Search Process)

  • 정은경;윤정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60
    • /
    • 2010
  • 이 연구는 이미지 특성 범주와 관련하여 질의 재구성 패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Excite 웹검색 엔진 로그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총 592 세션과 2,445 질의어가 분석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Batley의 정보 형태 구분과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팻싯과 서브팻싯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결과는 두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첫째, 질의 재구성에 관한 분석결과이다. 질의 분석 결과,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범주는 특정어(specific)와 지칭어(nameable)이며, 이러한 경향은 다양한 정보 탐색 단계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의 재구성 패턴과 관려하여, 평행이동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초 혹은 직전 질의 범주에 따라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범주 전환 분석에서는 높은 비율(60%-80%)로 검색 질의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동일한 범주에 머무르는 경향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 설계와 구현에 있어서, 이용자의 질의 선정 과정에 도움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시소러스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인 가속도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Accelerometer to Measur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이주현;박진혁;김연주;박혜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2호
    • /
    • pp.57-69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가속도계 연구를 고찰하여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평가 도구로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4년 2월부터 3월까지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논문들을 수집하였다. 총 331 개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최종 13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결과: 선정된 13편의 연구에서는 급성기, 아급성기, 만성기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가속도계의 종류로는 단축, 이축, 삼축 가속도계, 활동모니터가 있었으며, 20Hz 미만 혹은 이상의 진동수를 설정하고 1개에서 3개 이상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속도계는 일상생활의 상지 및 하지활동 및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일상생활의 상지 과제를 통해 움직임을 분석할 때는 주로 손목, 팔에, 하지의 움직임은 허리, 넓적다리, 복사뼈에 부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활동은 주로 상지과제 활동, 걷기 활동 이였으며, 측정활동에 따라 부착부위도 다양하였다. 측정변수로는 총 활동 수, 대상자 움직임의 속도, 양측 움직임 비율, 동작분석이 있었으며, 결과로는 모든 연구에서 중재 전, 후 가속도계로 측정한 변수와 기존의 다른 평가도구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때 가속도계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국내 작업치료 연구를 통해 가속도계가 임상 및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Laparoscopic Versus Open Surgery for 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Zhang, Feng-Wa;Zhou, Zhao-Yu;Wang, Hai-Lin;Zhang, Jv-Xia;Di, Bao-Shan;Huang, Wen-Hui;Yang, Ke-H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985-9996
    • /
    • 2014
  • Background and Aim: Laparoscopic and open rectum surgery for rectal cancer remains controversial. This systematic review compared the short-term and long-term efficiency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laparoscopic and open resection for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ISI Web of Knowledge and the China Biology Medicine Database to identify potent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rom their inception to March 31, 2014 without language restriction. Additional articles were identified from searching bibliographies of retrieved articles. Two reviewers independently assessed the full-text 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pecified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s well a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included trials. The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vMan 5.2. Results: A total of 16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3,045 participants (laparoscopic group, 1,804 cases; open group, 1,241 cases) were reviewed. Laparoscopic surgery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lower intraoperative blood loss, earlier return of bowel movement and reduced length of hospital stay as compared to open surgery, although with increased operative time. It also showed an obvious advantage for minimizing late complications of adhesion-related bowel obstruction. Importan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ncological clearance, 3-year and 5-year or 10 year recurrence and survival rates between two procedures.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is meta-analysis we conclude that laparoscopic surgery has advantages of earlier postoperative recovery, less blood loss and lower rates of adhesion-related bowel obstruction. In addition, oncological outcome is comparable after laparoscopic and open resection for rectal cancer.

Effect and stability of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Huang, Xinyi;Han, Yu;Yang, Shuangy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34-344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 and stability of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clin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xillary transverse deficiency (MTD). Methods: We searched PubMed, Science Direct, Web of Science, Embase, Cochrane Library, CNKI, and Wanfang Database for relevant studies published before February 18, 2021 and selected them according to the eligibility criteria. The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version 5.1.0) criteria were used for the quality assessment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hile the scoring protocol of the methodological index for non-randomized studies was used fo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evMan5.3 software. Results: All the included studies showed a relatively high success rate of expansion. The changes in both the intermolar and alveolar widths after MARP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RPE exhibited greater skeletal expansion effects than did conventional RPE. The midpalatal suture was opened in parallel after MARPE. A small amount of relapse was observed 1 year after expansion. MARPE caused tooth inclination and a decrease in alveolar height, but it was less significant than in conventional RPE. Conclusions: MARPE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patients with MTD. It causes great transverse skeletal expansion in late adolescence.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RPE, MARPE has lower detrimental periodontal effects and has certain clinical advantages.

교과교실형 고등학교의 건축 평면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 Composition in High School which Designed to the Department System)

  • 이용환;이영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3호
    • /
    • pp.49-58
    • /
    • 2010
  •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s about to conduct its 7th &8th curriculum.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achieving its goals under the current class model system in both educational and architectural. This study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ments and architectural planning in the departmental system - designed high schools. As a result, the arrangement was tend to be 'overall type' or 'central type' depending on the teaching-learning efficiency. Liberal arts and science&technology groups were placed close, and foreign languages and general cultural studies were arranged close as well. Importantly, there were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a gymnasium, a cafeteria, a library, a computer lab, and an all-purpose-room, and this arrangement provided convenience. It is for the better learning effect and the high efficiency. It is worthy noticing that the placement and formation of individual or study space is regarded importantly. In flow planning, it seemed that it was designed to reduce the users' movement to a minimum.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compared to Japan or the States, who already has an established departmental system. I think that the government should enforce its necessity of planning to schools, relevant divisions, or architects to bring it up.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a practical and future-oriented study that can forecast any changes in architectural spaces within the ever-chang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트레드밀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걷기기능향상에 관한 문헌연구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on Gait of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 강권영;고태성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73-79
    • /
    • 2008
  • Background : Treadmill training has been proposed as a useful adjunct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o restore ability to walk after strok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form clinical practise by evaluating the research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treadmill training after stroke. Methods : We searched to the effectiveness of any form of intervention for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by Dankook University electronic library databases of Medline, Embase, Cinahl, Amed and PEDro combined with a hand search of papers published in relevant peer-reviewed journals. Any type of study relevant to the topic published in English during time period from 1980 to 2007 was included. Results : The literature search identified 35 studies. The included studies enrolled a total of 374 subjects. 1. Treadmill retraining without partial body weight support might be more effective than no treatment at improving gait velocity, get up and go time, gait endurance and step length symmetry. 2. Treadmill re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might be more effective than no treatment in improving step length symmetry, gait velocity, gait endurance and balance. 3. Treadmill retraining might be more effective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than without it at improving gait velocity and motor improvement as measured by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STREAM). 4. Treadmill retraining without partial body weight support may be no different from physiotherapy and increase gait velocity to conventional gait therapy. 5. Treadmill re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may be no different from physiotherapy for gait velocity, motor recovery and balance. Conclusion The review suggests that although treadmill training of gait, especially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might Improve gait parameters and functional mobility, unless treadmill training is directed at Improving gait speed it might be no more effective tha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t improving gait parameters.

  • PDF

대중 매체에 비친 아카이브의 공공 인식: 아카이브와 관련된 직업군, 기관, 기록물에 대한 2003-2004년간의 국내보도 (Public Image on the Archives through Mass Media: Media Coverage of Archival Profession, Institutions and Collections in Korea between 2003 and 2004)

  • 이주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7-64
    • /
    • 2005
  • 대중 매체의 보도는 보도 대상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반영하는 동시에, 그 보도 대상에 대한 공공의 이미지에 영향을 끼친다. 이는 아카이브 관련 직업군, 기관, 장서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공공의 이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3-2004년간의 국내 주요 일간 신문 보도 내용을 수집하여 그 결과를 기록관리 문화, 기록물의 가치, 기업 및 병원기록관리, 정부기록관리, 아키비스트 직종의 다섯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에 해당하는 기사 내용을 분석하고, 총체적인 보도 유형과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공공 이미지가 아직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단편적인 관심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키비스트의 사기 진작과 기록관리 정착을 위하여 기록관리에 대한 공공의 이미지를 증진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의 홍보 활동이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급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로봇-보조훈련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Robotic-Assisted Training on Gait Performance in Persons with Subacute Hemiparetic Stroke)

  • 박세인;황수진
    • PNF and Movement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23
  •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aims to determine whether robot-assisted training is more effective in gait training for persons with subacute hemiparetic stroke.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systematic review study design focused on subacute hemiparetic stroke, and four core academic databases were searched until June 11, 2021, for relevant studies, including PubMed, Embase, the Cochrane Library, and ProQuest Central. The review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evaluating the effects of robotic-assisted training on gait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 diagnosis of subacute hemiparetic stroke. The selected RCT studies were qualitatively synthesized based on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settings, and study design (PICOS-SD). Results: The study selected five RCTs involving 253 subacute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nd performing robotic-assisted gait training using the following devices: the Lokomat, Morning Walk, Walkbot, ProStep Plus, or Gait Trainer II. Five RCTs were eligible for the meta-analysis after quantitative synthesi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bot-assisted gait training group had a greater gait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10-meter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Rivermed mobility index,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and modified Barthel index.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ait performance of subacute hemiparetic stroke patients changes throughout robot-assisted gait training, but there were no indications that any of the clinically relevant effects of robot-assisted training are great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gait training. Further, the small sample size and different therapeutic intensities indicate that definitive conclusions could not be made.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A historical study of the Large Banner, a symbol of the military dign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 제송희;김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52-173
    • /
    • 2021
  • 대기치는 임진왜란 중에 새로운 군사 제도와 함께 도입된 깃발이다. 군사 훈련에서 표식으로 세워 군사들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상급자를 영접하기 위해 세우던 사방 4자 이상의 큰 깃발로 군영에서 국왕을 영접할 때 국왕 행차 앞에 세우는 어전 대기치, 사신 영접과 파견, 지방관의 행차 등에 다양하게 쓰였다. 군사 훈련권을 상징하는 대기치를 통해 무위를 과시하는 사회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치의 깃대 장식을 영두·주락(상모)·운봉을 갖춘 I유형과 영두·주락·치미를 갖춘 II유형으로 나누어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I유형에는 청도기·각기·문기가, II유형에는 대·중·소 오방기와 금고기·표미기가 속하는데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장식을 달리하였다. 깃발의 크기는 네 변이 4자 이상의 정사각형에 상하와 세로 한 면에 화염각을 달아 세로가 약간 긴 정사각형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기치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오방색을 기본으로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문양은 오방을 상징하는 신수와 도교 부적 글자를 결합한 대오방기, 오방을 호위하는 신장들을 그린 중오방기, 팔괘문을 그린 소오방기, 군문을 엄격히 지키라는 뜻의 익호 문양의 문기로 대별된다. 대기치 제작을 위한 채색 사료로 오사카부립도서관 소장품 컬러 필사본 『기제』를 18세기 중후반의 용호영의 견식으로 비정하고 본 논고 서술과 시각화 작업에서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바탕 재료는 군권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수입 운문대단을 썼다. 크기는 영조척 1자(30cm)를 적용하여 4자 깃발은 세로 170cm, 가로 145cm, 5자 깃발은 세로 200cm, 가로 175cm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국왕 의장기 중 대기 > 중기 > 대기치로 조선 후기 전체 깃발 안에서의 위계 질서를 확인하였다. 위의 문헌 및 회화 분석을 통한 고증과 유물 자료를 토대로 두 유형으로 나눈 대기치를 시각화하였다. 시각화에서는 본 논고에서 고증한 깃발의 크기, 깃대 장식, 깃발별 문양 장식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깃발의 바탕은 운문대단으로 18세기 운보문단 유물에 표현된 운문과 보문 문양을 제시하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하였다. 색상과 크기, 재질의 문양, 부대물품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오피니언 마이닝결과 시각화: N라면 사례 분석 연구 (Visualizing the Results of Opinion Mining from Social Media Contents: Case Study of a Noodle Company)

  • 김유신;권도영;정승렬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4호
    • /
    • pp.89-105
    • /
    • 2014
  • Web2.0의 등장과 함께 급속히 발전해온 온라인 포럼,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소비자와 소비자간의 의사소통을 넘어 이제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로도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기업뿐만 아니라 수많은 기관, 조직 등에서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소비자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전개하고 있으며, 나아가 소셜 미디어 콘텐츠에 담겨있는 소비자 고객들의 의견, 관심, 불만, 평판 등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비즈니스에 적용하기 위해 이를 적극 분석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한 분야로서 비정형 텍스트 콘텐츠와 같은 빅 데이터에서 저자의 감성이나 의견 등을 추출하는 오피니언 마이닝과 감성분석 기법이 소셜미디어 콘텐츠 분석에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이미 여러 연구에서 이를 위한 방법론, 테크닉, 툴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대량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여 언어처리를 거치고 의미를 해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전반의 과정을 제시한 연구가 많지 않으며, 그 결과를 의사결정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화 기법으로 풀어내는 것 또한 드문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오피니언 마이닝을 위한 실무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시각화된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인스턴트 식품 1위 기업의 대표 상품인 N-라면을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실제 블로그 데이터와 뉴스를 수집/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런 과정에서 프리웨어 오픈 소스 R을 이용함으로써 비용부담 없이 어떤 조직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레퍼런스를 구현하였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본 연구의 분석방법과 결과물들이 식품산업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서도 바로 적용 가능한 실용적 가이드와 참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