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holarly Publishing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에서 대학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고찰 - COPE 참가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les of Academic Libraries for Open Access Journal Publishing: Focusing on the Academic Libraries Participated in COPE)

  • 정경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5-69
    • /
    • 2012
  •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출판에서 대학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출판비용 지원과 그 외 서비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은 COPE와 $SCOAP^3$라는 협력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또는 개별적인 도서관차원에서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비용을 지원하고 있었다. COPE 참여 대학도서관의 경우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투고하는 논문에는 APC 지원을 거의 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비해 개별적으로 기금을 지원하는 대학도서관은 하이브리드 학술지 투고논문에 대한 APC 지원에 조금 더 관대하였다. 또한 기금지원이외의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과 관련하여 대학도서관은 저자의 논문투고 과정에서의 저작권 협상 지원, 발행과정의 기술적인 측면, 배포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학술정보전달시스템으로서 대학출판부의 활성화 방안-부산대학교 출판부를 중심으로-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37-170
    • /
    • 1998
  • The University Press, as a publishing division of the university, is a high quality and low cost scholarly communication system. In contrast to European and American university presses, Korean university presses publish very small amount of books. So the author took a case study of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Press(PNUP). She interviewed with faculty who had published or were going to publish. And then she analyzed why or why not the faculty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selected PNUP as a publish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he identified problems of the PNUP and she made an activating program that can be a n.0, pplied to most of Korean university presses. This program involved setting up the mission of the press; a n.0, ppointing a professional to the staff and establishing a fund; encouraging high quality scholarly publishing, refined bookmaking and positive marketing; and increasing the expense of the library and improving community su n.0, pport of the university press.

  • PDF

Do Younger Researchers Assess Trustworthiness Differently when Deciding what to Read and Cite and where to Publish?

  • Nicholas, David;Jamali, Hamid R.;Watkinson, Anthony;Herman, Eti;Tenopir, Carol;Volentine, Rachel;Allard, Suzie;Levine, Kennet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45-63
    • /
    • 2015
  • An international survey of over 3600 academic researchers examined how trustworthiness is determined when making decisions on scholarly reading, citing, and publishing in the digital age and whether social media and open access publications are having an impact on judgements. In general, the study found that traditional scholarly methods and criteria remain important across the board.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ounger (age 30 & under) and older researchers (over 30). Thus younger researchers: a) expend less effort to obtain information and more likely to compromise on quality in their selections; b) view open access publishing much more positively as it offers them more choices and helps to establish their reputation more quickly; c) compensate for their lack of experience by relying more heavily on trust markers and proxies, such as impact factors; d) use all the outlets available in order to improve the chances of getting their work published and, in this respect, make the most use of the social media with which they are more familiar.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Analysis on the Open Access Policies, Publishing, and Archiving in the Field of Medicine)

  • 정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89-414
    • /
    • 2006
  • 본 논문은 의학 분야의 오픈 액세스 정책, 출판, 아카이브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외의 경우 오픈 액세스 출판사를 통하여 질적으로 인정된 학술지들이 출판되고 있으며, 이들 학술지의 논문이 PMC 혹은 BMC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연구지원 기관이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이루어나가는데 참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오픈 액세스 기반 학술커뮤니케이션이 국가 혹은 민간 연구지원재단에서 정책으로 수립되어 체계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학술지들이 홈페이지를 통하여 논문을 공개하고 있으면서도, 오픈 액세스라는 새로운 출판 모델의 차원에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외국의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 내용과 국내 현황 파악을 기반으로 국내 의학 분야에서 오픈 액세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빅딜, 오픈액세스, 구글학술검색과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정보구독 (Big Deal, Open Access, Google Scholar and the Subscription of Electronic Scholarly Contents at University Libraries)

  • 심원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3-163
    • /
    • 2012
  • 현재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전자학술정보 입수는 일명 빅딜로 불리는 수백, 수천 종의 전자학술지 묶음을 다년간, 고정된 인상율로 계약하는 구독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1990년대 중반에 시작된 이러한 구독방식은 대학도서관과 이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했다. 하지만 이들 패키지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이러한 방식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까지 pay-per-view 방식을 제외하면 구독기반 모형의 구체적인 대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 도서관 예산문제가 심각한 뇌관으로 남아있다. 2000년대 초반 시작된 오픈액세스 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학술지의 출판과 유통의 장벽을 제거하고 있다. 오픈액세스 출판 규모는 매년 두 자릿수로 증가하고 있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논문은 Scopus와 Web of Science 인용데이터베이스에의 편입비율이 20%에 육박하는 등 양적, 질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04년에 시작된 구글 학술검색은 현재 대다수 학술출판사의 학술지 논문에 대한 편리한 검색 및 접근 도구로 성장하고 있다. 비록 학술지 선택의 기준, 제한된 검색 기능, 독점화에 대한 우려 등이 있지만 구글 학술검색을 대학도서관 데이터베이스의 대안으로 진지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학도서관의 예산 문제, 오픈액세스 출판의 활성화, 구글 학술검색과 같은 무료 도구의 성장은 구독기반 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파괴적인 변화로 인식되고 있으며 대학도서관 사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을 고민해야 한다.

생태학 분야 데이터 저널 발행 전략 연구 - K기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ublishing Data Journals in the Field of Ecology: Focused on K Institution)

  • 정영임;권오석;김기동;김소형;서태설;김선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83-100
    • /
    • 2020
  • 오픈 사이언스 시대 연구데이터의 공개를 가속화하고 접근성 및 인용가능성 개선 및 연구데이터에 대한 표준화된 기술문서 제공은 또 다른 과학적 발견에 기여할 수 있어 데이터 출판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출판된 데이터 역시 연구논문과 동등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데이터 논문이 대두되고, 새로운 학술출판의 유형으로 데이터 저널 발간이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생태학 분야는 대규모 연구데이터가 생산되고 관리되어야 하는 분야로 전세계적으로 데이터 저널 발간이 활발하다. 반면 국내에는 데이터 저널 연구가 초기 단계이고, 생태학 분야 데이터 저널이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 분야의 데이터 저널을 발간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하고 제시하였다. 먼저 국내외 데이터 저널 발간 현황과 국내 저널 출판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학술출판 및 오픈액세스 정책 전문가, 생태학 학술지 발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현재 데이터 저널 발간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고 이에 대한 평가체제가 갖추어 지지 않은 국내 학술출판 관행을 반영하고 국내외 조사결과와 전문가 FGI를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학 분야 데이터 저널 출간 방향, 데이터 논문 투고지침, 저널 구성 및 발행주기, 저널 편집위원 구성, 원고의 수급 측면에서 전략을 제시하였다.

Journal Publishing and Authorship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Early Career Researchers in South Korea

  • Shin, Eun-J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1호
    • /
    • pp.6-16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journal publishing and authorship by South Korean early career researchers (ECR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This research analyzed relevant journal publication data and conducted interview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ECRs. Results indicated that South Korean ECRs in LIS were highly productive. This was evidenced by their annual publishing rate of 2.04 articles per person. In addition,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SSCI) publications were produced at an annual average of 0.26 articles per person, while the quartile ratings for SSCI journal publications were also relatively high. However, unlike the trends seen in other academic fields, their collaborative research efforts were not considered very high because such efforts did not correspond to half their total publications. ECRs often participate as lead or corresponding authors despite being new researchers. ECRs are publishing first in the journals approved by their universities. These researchers cannot receive proper credit if the journal was not approved in this manner. ECRs are particularly disadvantaged when publishing in international journals corresponding to specific areas that are not on the SSCI list. By examining the journal publishing and authorship efforts of ECRs, this study discovered a variety of difficulties that should be addressed. For example, South Korean universities do not currently have cooperative research guidelines to solve authorship problem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to establish academic publishing and authorship policies while promoting scholarly communication in LIS and other scientific fields.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국내 전자학술지 중복서비스에 관한 연구 (An Overlap Study on Domestic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 최재황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1-69
    • /
    • 2004
  • 인터넷의 발전은 연구환경과 정보수집에 있어서 근본적인 사고의 틀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인터넷 연구환경에서 국내의 인쇄형 학술논문을 전자학술지로 변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일반이용자에게 서비스하는 국가 정보유통기관에는 어디가 있고 그 양은 어느 정도인지, 서비스되는 전자학술지에는 중복이 있는지, 그리고 과학기술 학문분야간 전자학술지의 서비스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과학기술분야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정보유통기관간 전자학술지의 중복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