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오미자 수집종별 리그난 함량의 연차간 차이 (Varietal and Yearly Differences of Lignan Contents in Fruits of Collected Line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관수;박춘근;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5
    • /
    • 2003
  • 수집종의 리그난 분석결과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평균함량은 1996년산 실생 6년생인 24개 계통에서 각각 평균 0.78%, 0.25%, 0.63%를 나타냈고, 1997년산 실생 7년생인 59개 계통에서는 각각 0.72%, 0.22%, 0.63%를 나타냈다. 리그난 함량은 수집종 및 연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범위가 큰 변이를 보였으며, 조사된 23개 계통 중 충주 143, 충주 453, 충주 532 계통은 비교적 높은 0.9% 이상의 3개년$(1995{\sim}1997)$ 평균 schizandrin 함량을 보였다. 연차별 schizandrin 함량의 변이계수가 낮으면서 0.8%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낸 것은 충주 542, 충주 547, 충주 580 계통들이었다. 상관 분석에서 오미자 과실중과 리그난 함량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이고 리그난 성분들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오미자(五味子)의 일반성분(一般成分), 유기산(有機酸) 및 Anthocyanin 색소(色素)에 관하여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경임;남주형;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8-182
    • /
    • 1973
  • 오미자(五味子) 열매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을 살폈고, 유기산(有機酸)을 정량(定量)하였으며, 색소(色素)를 분획(分劃)하여 일부(一部) 동정(同定)하였다. 1. 숙성(熟成)한 오미자(五味子)에는 수분(水分) 84.2%, 지방(脂肪) 0.9%, 환원당(還元糖) 10.9%, 그리고 단백질(蛋白質)이 1.1% 함유(含有)되었으며, Total anthocyanin의 함량(含量)은 168mg%이다. 2. 오미자(五味子) 중(中) 확인(確認)된 유기산(有機酸)의 함량(含量)은 5.1%로서 citric acid 3.5%, malic acid 1.4%, 그리고 succinic acid 0.2%로 조성(組成)되었다. 3. 오미자(五味子)의 색소(色素)를 polyvinylpyrrolidone column에 통과(通過)시켜서 3개(個)의 획분(劃分)을 분리(分離)하였고, 그 중 80%를 차지하는 anthocyanin을 peonodin 3-glucoside로 잠정적으로 동정(同定)하였다.

  • PDF

오미자 물 추출물을 이용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with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ater Extract)

  • 정태성;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01-1306
    • /
    • 2008
  • 건 오미자 1%, 2%, 3% 첨가하여 침출시킨 오미자 물 추출물을 담금 용수로 하여 물김치를 제조하여 발효 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pH는 초기 대조구 6.53, 오미자 물김치의 농도별 pH는 각각 3,63, 3.29, 3.17이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는 낮아지고 오미자 물김치는 다소 높아졌다. 물김치의 산도 변화는 pH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과정 중 총 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유사하였으며, 오미자 물김치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균수는 적었으며, 오미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는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발효 기간 동안 경도, 씹힘성, 응집성, 탄력성이 감소하였으며, 1% 오미자 물김치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물로 담근 물김치는 전자공여능은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3% 오미자 물김치가 62.7%로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오미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숙성 12일째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기호성 검토결과, 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1% 오미자 물 추출물로 담금 김치가 가장 우수하였다.

오미자의 Schizandrin과 기름성분 및 추출수율 변화 (Schizandrin, Oil Compounds, and Their Extraction Yield in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관수;박춘근;류수노;방진기;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58-162
    • /
    • 2000
  • 오미자 인제수집종의 과실부위별 schizandrin과 기름함량은 종자에서 가장 높았는데 각각 1.01%와 27.6%로 나타났다. 국내 수집종 오미자 55계통에 대한 성분분석 결과, 과실에 함유된 schizandrin의 함량은 평균 0.84%이었고, 종자에 함유된 기름함량은 평균 27.9%이었으며 지방산조성은 palmitic acid 3.6%, stearic acid 0.6%, oleic acid 19.7%, linoleic acid 73.1%, linolenic acid 3.0%로 불포화지방산조성이 95.8%로 높게 나타났다. 인제수집종 종자에서 용매추출한 기름은 4.29%의 schizandrin을 함유하여 오미자의 schizandrin은 종자기름에 대부분 함유되었다. 분쇄하지 않은 종자와 과실을 끓는 물로 추출하였을 경우 schizandrin수율은 각각 23.8%와 17.3%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4개월 동안 물에 침지된 종자내 schizandrin과 기름성분은 상온 저장된 종자와 비슷한 함량인 1.18%와 25.2%를 나타내, 오미자 음료제조 후 부산물인 종자는 기름이나 지용성 약리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원료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었다.

  • PDF

오미자가 나박김치의 발효 중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during Fermentation)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22-831
    • /
    • 2000
  • Application of omija(Schizndra chinensis Baillon)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eservation of nabka kimchi was attempted and the optimal amount of omija level and its effect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마 kimchi during fermentation were examined. Effects of omija juice which had been prepared by extracting omija seeds for 9 hr at room temperature (22.5$\pm$0.5$^{\circ}C$) with different ratios (0.5, 1.0, 1.5, 2.0%;w/v) of water were examined against control (kimchi prepared without omija). Organoleptic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were measured up to 25 days at 1$0^{\circ}C$ after preparation.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s of both acceptability and intensity characteristics. In whole, 0.5 and 1.0%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s of evaluation, compared to control, 1.5, and 2.0% treatment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As fermentation progresses, however, sample of 1.0% treatment ranked first between day 4 to 7 and also so did sample of 0.5% treatment along with 1.0% treatment from behind day 10. As for color, control, 0.5% treatment, and 1.0% treatment were more favored than rest of the samples. In texture, 2.0%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whereas control was rated the lowest. In the intensity of characteristics 1.5% and 2.0%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s except sweet taste in which 1.0% treatment ranked top during the initial 7 days and then 0.5% treatment took the first place at behind day 10. total cell counts an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howing the maximum levels of microbial counts on different days, to say, day 2 for control and 0.5% treatment nd day 7 for 1.0, 1.5 and 2.0% treatments. The application of omija juice in nabak kimchi enhanced eating qualities of the fermented product and the fermentation-retarding effect of omija juice was clearly shown during the initial seven days of fermentation. The optimum levels of omija juice in nabak kimchi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were between 0.5 to 1.0% for color, fermentation-retarding effects, and savory taste of the product.

  • PDF

오미자의 부위별 일반성분과 무기질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이정숙;이미경;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3-176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general and mineral components between the original sample and water extract in each part of omija. The content of Carbohydrate was highest in endocarps, and that th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seeds. The contents of K and Mn in the fruits, endocarps, and seeds were all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ations. The content of K and Zn in endocarps were three to four times as much as those of seeds. and the content of Na, Ca, and Cu in endocarps were 1.5 to 1.75 times of seeds. Mineral contents by water extract in each part were ordered as K, Mg, Ca, and Fe. As the percentage of each ion in water extract on the basis of original sample, Fe was the highest ratio of behavior, and Mn was lowest.

  • PDF

오미자의 부위별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the Total Amino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이정숙;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1-184
    • /
    • 1989
  • The compositions of total and free amino acids in parts of Omija were investigated.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fruits, endocarps, and seeds were arginine (50.80%), lysine (14.37%), glutamic acid (14.22%), respectively. Since the amino acid scores of fruits, endocarps, and seeds were 9.4, 11.9, and 16.7, respectively, the limiting amino acid of each part were S-compound amino acids. In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contents of lysine were highest one such as 51.78, 57.00 and 32.88% in fruits, endocarps and seeds,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histidine from free amino acids were 23.62% in fruits, 22.37% in endocarps, and 26.41% in seeds.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동결 및 열풍 건조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in Freeze-dried and Hot Air-dried Schizandra Frui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t Different Microwave-as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 박은주;안재준;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67-674
    • /
    • 2013
  • 본 연구는 열풍 건조와 동결 건조한 오미자를 시료로 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조건(W, 시간, 에탄올 농도)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DPPH, ABTS radical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용량(100-200W)이 증가할수록 동결 및 열풍 건조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추출시간(1-8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동결건조 시료에서는 증가하였지만, 열풍건조 시료의 경우는 4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용매를 달리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은 에탄올 및 물 혼합 용매 추출물(50, 7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수 추출물과 99% 에탄올 추출물은 낮게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추출 조건에서 동결건조 오미자는 열풍건조 오미자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조건별 실험인자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동결 오미자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에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열풍건조 오미자는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은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결건조 오미자는 열풍건조 오미자보다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