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ic Preferenc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조망경관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관악산을 조망대상으로 한 난곡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view preferences - In the case of Nangokro by focusing on Mt. Gwanak as a view target -)

  • 고화정;송병화;양병이
    • KIEAE Journal
    • /
    • 제6권4호
    • /
    • pp.3-10
    • /
    • 2006
  • To preserve scenic-view of Gwanak Mountain from the urban development, the viewshed component ratio and the scenic-view preference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selecting view points at Nangokro. After 16 candidate view points are selected from the site, sight component ratio is measured through visual structure analysis and preference are measured by using the Likert scale. In addition,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9 factors to influence the scenic-view preference, two factors such as degree of natural landscape and degree of arrangement around the site are chosen to influence the scenic-view preference. Through the preference factor analysis, two preference factors are selected as follows; 1) The factor of the landscape formation -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scenic-view conservation, degree of the landscape opening, and degree of natural landscape, degree of the landscape originality, and degree of the landscape sequence, degree of the landscape intimacy 2) The factor surrounding the landscape - Degree of arrangement around the site, degree of the landscape complexity, and atmosphere around the site.

The Effect on Scenic Impression by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of Green Wall

  • Hong, Kwang-pyo;LEE, Hyu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33-142
    • /
    • 2019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impact scenic preference of green wall and clarify features of each construction method to help select the most suitabl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wanted image of a green wall by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furthe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reen wall.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proved that 11 adjectives can be used to describe scenic features of a green wall and 4 preference elements. The result of the Scenic evaluation, the Felt type scored high in 'Aesthetic' and 'Maintenance' meaning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method when constructing a green wall to improve urban scener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ink between the preference elements and scenic impression of a green wall. The result is that the higher the preference is on the design of a green wall, the higher the score is for 'Aesthetic'. Also, the higher the preference is on Bio-Diversity, Design, Growth, the higher the score is for 'Natural'. The above findings can be important measures and reference for selection of the right construction method when planning a green wall.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조망점 및 선호특성 분석 - 우면산 조망관리대상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Viewpoint and Characteristics of Preference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 Based on the Site of View Management in woomyeon Mountain -)

  • 송병화;양병이;이경진
    • KIEAE Journal
    • /
    • 제7권5호
    • /
    • pp.107-114
    • /
    • 2007
  • This study purposed to review the alternative criteria for preserving urban scenic view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methods by selecting preliminary viewpoints to preserve the views of woomyeon mountain.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the representative urban scenic view by analyzing its viewpoints and landscape preference. For this study, seventeen preliminary viewpoints were selected, the ratio of visual structure was calculated by types of landscapes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landscape preferen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o draw results. Conclusively, various side studies through statistical method for characteristic analysis with preference elements about viewpoint and visual structure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nagement on objective point of view in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landscape planning.

경관의 의미와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 경관의 미적 특질, 사람들의 목적 및 사회 문화적 경험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landscape meaning on landscape assessment focused on the interaction with scenic beauty, people\\`s purpose and socio-cultural experience)

  • 이영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9-73
    • /
    • 1997
  • Past research suggests that a landscape has a specific situational meaning that is comprized of physical, social, and functional dimensions. and that the meaning: influences person/landscape interaction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landscape meaning on three landscape assessment(scenic beauty assessment, picnic preference, living preference) was tested by manipulating landscape meaning in three ways: Korean-positive, Korean-neutral, American-positive The results showed that landscape ,mean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cognitive interactions and affective experiences of landscapes. However, it should be notch that the beneficial effect of positive meaning on landscape experiences depended on people's tasks and levels of oflandscape beauty. The effect was larger for both picnic preference (than scenic beauty and living preference) and low-beauty landscape (than the high-beauty) .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beneficial effect of positive meaning depend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lc nature of positive meaning and measurement context.

  • PDF

산림풍치자원관리(山林風致資源管理)를 위한 산림시업특성별(山林施業特性別) 시각선호도(視覺選好度) 평가(評價)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on Forest Working Systems' Characteristics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 송형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09-319
    • /
    • 1999
  • 본 연구는 산림 시업에 따른 풍치 관리 정보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 임분은 현재 산림무육작업 요구도가 높은 낙엽송 인공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촬영된 임분 사진의 모의조작을 통하여 산림작업별로 구분된 35매의 임분 경관이 이용되었다. 각 경관은 신뢰성 검정을 통해 얻은 3개 집단, 전체 593명의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각 선호도 평가는 1 - 10 point 평점값을 이용하였다. 이들 평점값의 보정은 RMRATE의 SBE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었다. 시각 선호도와 이미지 척도와의 관련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13매의 간벌 임분을 대상으로 어의 구별척을 이용하여 공간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육 전의 자연 임분 보다는 작업 후의 쾌적하고 질서 정연한 임분을 높게 선호하고 있었다. 시각 선호도는 나지 면적과 폐잔재 면적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임목 밀도, 지하고, 지피식생과 높은 관련이 있었다. 소규모 개별지의 벌구 모양은 곡선보다는 직선 모양을 선호하고 있었다. 시각 선호도는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들은 산림풍치관리를 위한 시업 수행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야외휴양(野外休養)을 위한 산림풍치(山林風致)의 영향인자(影響因子) 구명(究明) (Ident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Forest Scenic Beauty for Outdoor Recreation)

  • 송형섭;김성일;조응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287-298
    • /
    • 1992
  • 본 연구는 산림(山林) 휴양지(休養地)의 풍치(風致) 조성(造成) 및 관리(管理)에 기본이 되는 산림(山林) 시업(施業)에 따른 산림환경의 풍치(風致) 영향(影響) 인자(因子)를 구명하였다. 평가 대상 임분은 62매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였으며 피험자(被驗者)는 신뢰성 검정을 통한 충남대학교 10개 학과 26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점(評點) 자료(資料)의 분석(分析)은 Brown & Daniel(1990)이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分析) 결과(結果)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는 전공별(專攻別), 성별(性別), 유년기(幼年期) 성장지(成長地), 산행(山行) 빈도(頻度)의 사회 경제적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피험자(被驗者)의 평점(評點) 값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와의 관련 여부를 조사 분석한 결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영향하는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중 나지(裸地) 면적(面積), 폐잔재(廢殘材) 면적(面積)의 인자(因子)는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부(負)(-)의 관계가 있었으며 흉고(胸高) 직경(直徑), ha당(當) 임목(林木) 본수(本數), 하늘 면적(面積), 산림(山林) 내(內)의 소로(小路)의 존재(存在)의 인자(因子)는 정(正)(+)의 관계(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6개(個) 인자(因子)가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 변량(變量)의 74% 정도(程度)를 설명(說明)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는 산림(山林) 근경(近景)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도로비탈면 돌망태공법의 특성 및 경관선호도 분석 (Analysis Gabion Works in Cut-slopes Characteristics and Scenic Preference)

  • 박재현;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06-212
    • /
    • 2015
  •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도로비탈면에 주고 적용하고 있는 돌망태공법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경관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임도 및 도로비탈면에 시공한 97개소의 돌망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비탈면 경사도에 따른 돌망태 시공지를 분석한 결과, 비탈면 경사 10% 이하지역에서는 돌망태가 30개소(31%), 11~30%의 경사에서는 31개소(32%), 31~50%의 경사에서는 20개소(21%), 51~80%에서는 16개소(16%)로 비탈면의 경사가 낮을수록 돌망태를 많이 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조사지 중 돌망태에 식생이 피복되지 않은 개소수는 34개소(35%)로 나타났으며, 1~30% 정도의 식생피복을 나타낸 개소수는 52개소(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한 경관분석 결과 일반인집단은 비탈면에 돌망태를 시공할 때 식생으로 피복되는 것이 경관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의식하고 있었다. 전문가집단은 비탈면에 돌망태만 처리한 경관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비탈면에 돌망태를 시공할 때 식생으로 피복되는 것이 경관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작업에 따른 임분의 시각선호도 평가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of Forest Stands toward Forest Working Systems)

  • 송형섭;오도교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39-147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informations toward forest working systems in pinus densiflora forest stands, etc. To get these information, visual preference and spatial image analysis methods are used. 25 different alternatives were simulated to visualize on basis of actual forest working methods with taken photos from May to July, 2003. The options were illustrated as photos produced by computer software. Respondents' ratings for 25 landscape scenes were obtained by interview survey method. Each alternatives were evaluated by forest major student group with total 103 respondents after reliability test. Visual preference evaluation was used 10 point rating scale. Spatial images of 12 alternatives were measured by 12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n general, the respondents preferred refreshing and ordering forest stand after forest working to natural forest stand before forest working. High visual preference for forest density produces 400-600 trees/ha in small diameter class forest stands. Regarding visual preference according to pavement type of trail, soil trail is ranked high. Visual preference for cutting area ranks mature forest stand and visual preference for trail slope cover type ranks shrub with grass as relatively high on the preference scale. Through the factor analysis, spatial images of 12 coniferous forest stands are classified as 'ordered opened' and 'beautiful healthy'. Results indicate how to conduct forest working systems for forest scenic beauty management.

  • PDF

명승 문화재의 경관자원 발굴을 위한 조망지점 분석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을 중심으로- (Landscape View point on the technique of GIS visibility analysis for Scenic Resources Excavation - Focused on haenam dalmasan mihwangsa (scenic sites No.59)-)

  • 이원호;김재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29-43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명승 경관자원을 위한 조망점 선정에 관한 연구로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명승 제59호)를 대상으로 조망점 선정기준을 마련하고 GIS를 이용하여 3D 가시권분석을 실시한 후 선호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명승과 같은 자연 문화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조망경관의 보호를 위한 기초연구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승 주변에서 조망점 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지점에서 3D 가시권 분석결과의 36개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 분석과 장소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호도와 장소성의 전체적인 평균점수가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나 조망점 선정기준이 적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지점이 장소성에 대한 인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D 가시권 분석은 명승의 경관자원 발굴과 조망경관의 보존 등을 위한 기초연구로 추후 선호도, 장소성에 관한 결과와 함께 가시거리, 조망면적 등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관자원의 발굴 및 관리에 있어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망지점 선정 등의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한 강릉 해안림의 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st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Considering Parallax Effect in Gangneung)

  • 서미령;김충식;안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27
    • /
    • 2012
  • 본 연구는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하여 동해안 곰솔림의 경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10개 동해안의 곰솔림에 대해 폭원, 간격, 직경이 조사되었다. 곰솔림 관리방법으로 정량 솎아베기 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를 통해 경관(바다, 논, 산, 주거지, 상업지), 수목의 직경(16cm, 22cm, 28cm), 수목의 간격(5m, 7m, 10m)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을 조합하여 작성된 45개의 경관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대해 어의구별척도와 리커트척도로 경관선호도가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선호도의 평균 비교 결과, 자연적 요소(바다, 산, 논)는 경관선호도가 높고 인공적 요소(주거, 상업)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바다에서 곰솔의 간격이 7m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녹지, 하늘, 건물, 도로 등)의 시각량과 경관선호도는 상관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깊이감(78%), 다양함(15.6%), 공간감(6.4%)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깊이감과 공간감요인은 직경 28c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직경이 클 때 입체감이 커져 원근감을 강하게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수목 간격은 5, 7, 10m의 공간감이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10m를 기준으로 곰솔림의 솎아베기가 경관관리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