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venging Factor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8초

인진(茵蔯), 울김(鬱金), 지실(枳實) 추출물(ACA)이 HepG2 세포에서 나타나는 이상지질혈증 관련 인자 발현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Curcumae Radix, and Aurantii Fructus Immaturus Complex Extract (ACA) on Dyslipidemia-related Factor Expression and Anti-oxidation in HepG2 Cells)

  • 유주영;조현경;유호룡;설인찬;김윤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7-375
    • /
    • 2017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emisiae Iwayomogii Herba, Curcumae Radix, and Aurantii Fructus Immaturus complex extract (ACA) on dyslipidemia-related factor expression and anti-oxidation in HepG2 cells. Method: After treatment with ACA in the HepG2 cells,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OS production, and glutathione (GSH) production were measured. The free fatty acid, lipid peroxidation (MDA), ACAT1, and HMG-CoA reductase mRNA expression were measured in the HepG2 cells after treatment with ACA. Results: 1.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an AC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2. ACA significantly decreased ROS produc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3. ACA significantly increased glutathione production. 4. ACA significantly decreased free fatty acid and lipid peroxidation (MDA) in the HepG2 cells. 5. ACA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ACAT1 and HMG-CoA reduct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e Iwayomogii Herba, Curcumae Radix, and Aurantii Fructus Immaturus complex extract (ACA) inhibits dyslipidemia-related factor expression and that it is effective in anti-oxidation. A future in vivo experiment with ACA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anti-dyslipidemia. It is expected that ACA is effective in anti-dyslipidemia and applied to cardiovascular disease, ischemic heart disease, stroke, etc.

Inhibition Effect Against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 Go, Yu-Jin;Kim, Ye-Eun;Kim, Hyun-Nam;Lee, Eun-Ho;Cho, Eun-Bi;Alex, Alex;Cho, Young-J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19
  • The thinning Green ball apple was extracted using water and ethanol and a phenolic concentration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was $50-200{\mu}g/mL$.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showed 94.69% and 92.24%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100.30% and 99.16%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mu}g/mL$, respectively.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showed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of 1.76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and 1.76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respectively.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101.46% and 99.64% anti-oxidative effect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mu}g/mL$. Hence,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hinning Green ball apple can be considered a potential anti-oxidant.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33.28% and 32.14% hyaluronidase inhibition, respectively,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150{\mu}g/mL$.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47.33% and 40.92% elastase inhibition and 46.19% and 65.58% collagenase inhibition at phenolic concentration of $200{\mu}g/mL$, respectively. About these experiments, thinning Green ball apple was found to exhibit anti-oxidation activity as well as hyaluronidase, elastase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Therefore, thinning Green ball apple can be considered a potential source for functional food.

  • PDF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Chestnut Extract on Cytokine Responses via Nuclear Factor-κB-signaling Pathway

  • Kim, Bora;Kim, Jin Eun;Choi, Byung-Kook;Kim, Hyun-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1호
    • /
    • pp.90-97
    • /
    • 2015
  • Water chestnut (Trapa japonica Flerov.) is an annual aquatic plant. In the present study, we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water chestnut extracted with boiling water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decrease the intracellular $H_2O_2$-induced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addition, water chestnut extract (WCE) inhibited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and suppress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The cytokine array results showed that WCE inhibited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Also, WCE reduc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induced nuclear factor-${\kappa}B$ activity. Furthermore, during sodium lauryl sulfate (SLS)-induced irritation of human skin, WCE reduced SLS-induced skin erythema and improved barrier regene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CE may be a promi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agent.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 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ripe Apple Peel Water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장영아;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00-907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시료의 항산화,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멜라닌 생합성량 측정 및 미백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1,00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77.3%,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93.1%로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미백활성 평가결과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농도 $50{\mu}g/ml$에서 tyrosinase 활성 억제 19.8%, 멜라닌 생합성 억제율은 17.3%로 나타냈다. ${\alpha}$-MSH로 유도된 B16F10 세포 내에서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되었고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이 저해되었다. Real- time PCR 실험 결과에서 상위신호단계에 있는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미숙사과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우수한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에서 Desmodium heterocarpon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Desmodium heterocarpon Extract in RAW 264.7 Cells)

  • 이수현;진경숙;손유리;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6-222
    • /
    • 2018
  • Desmodium heterocarpon은 콩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주로 한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 분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에 존재하는 신규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Desmodium heterocarpon 에탄올 추출물(DHEE)의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ROS 소거능, NO 생성 억제능 및 관련 단백질 발현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DHEE의 항산화능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분석한 결과 높은 소거활성을 보여 DHEE가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에서 H2O2에 의해 유도된 ROS에 대한 DHEE의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강한 ROS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 중 하나로 항산화능 보유 천연물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H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이 DHEE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한편 DHE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DHEE의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잠재적인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Malus melliana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Malus melliana Ethanol Extract)

  • 이수현;진경숙;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83-789
    • /
    • 2017
  • Malus melliana (Hand.-Mazz.) Rehder (M. melliana)는 장미과에 속하는 중국 자생 식물 중 하나로 현재까지 보고된 생리활성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M. melliana 에탄올 추출물(MMEE)의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능, ROS 소거능, NO 생성 저해능 및 Western blot hybridization을 통한 연관 단백질 발현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MMEE의 항산화능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과 유사한 정도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여 MMEE가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에서 $H_2O_2$에 의해 유도된 ROS에 대한 MMEE의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강한 ROS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H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MEE에 의해 HO-1 및 Nrf2의 발현이 증가됨을 보였다. 한편 MME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MMEE의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잠재적인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칸나비디올(CBD)의 항산화 활성 및 인간 모유두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Cannabidiol (CBD) and Effect on Its Prolifera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 김수현;심규상;천정윤;장재웅;정수진;서예희;안혜명;송봉근;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4-241
    • /
    • 2023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대마초 및 대마제품을 합법화하고 대마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마에는 생물학적 효과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여러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모유두 세포(HDPC)의 모발 성장에 대한 칸나비디올(CBD)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 (ABTS) 및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활용하여 CBD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유두 세포에서 CBD의 세포생존률은 WST-1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CBD 처리에 의한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은 real-time PCR 및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다. CBD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DPPH 및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의 IC50 값은 각각 15.46±0.24 μM 및 13.90±0.06 μM으로 뛰어난 활성 산소 제거능을 나타냈다. CBD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세포 증식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Real-Time 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 모발 성장 관련 인자를 측정한 결과, CBD 처리로 인하여 성장 관련 인자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은 CBD는 모유두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 성장 관련 인자들을 긍정적으로 조절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CBD가 탈모증에 대한 잠재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기간 대기오염 및 기상측정 자료 (2000~2009)를 이용한 PM10과 NO2의 강수세정 기여율과 바람분산 기여율의 정량적 추정연구 (Quantitative Estimation of Precipitation Scavenging and Wind Dispersion Contributions for PM10 and NO2 Using Long-term Air and Weather Monitoring Database during 2000~2009 in Korea)

  • 임득용;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5-347
    • /
    • 2012
  • Long-term air and weather data monitored during the period of 2000 to 2009 were analyzed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precipitation scavenging and wind dispersion contributions of ambient $PM_{10}$ and $NO_2$ in Korea. Both air pollutants and meteorological data had been respectively collected from 120 station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rom 20 weather stations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in all parts of Korea. To stochastically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a meteorological factor and an air pollutant, we initially defined the SR (scavenging ratio) and the DR (dispersion ratio) to separately calculate the precipitation and wind speed effects on the removal of a specific air pollutant. We could then estimate the OSC (overall scavenging contribution) and the ODC (overall dispersion contribution) with considering sectoral precipitation and wind speed probability density distributions independently. In this study, the SRs for both $PM_{10}$ and $NO_2$ were gener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s of precipitation and then the OSCs for $PM_{10}$ and $NO_2$ were estimated by 22.3% and 15.7% on an average in Korea, respectively. However, the trend of the DR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SR. The DR for $PM_{10}$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wind speed up to 2.5 m/s and further the DR for $NO_2$ showed a minimum in the range of $1<WS{\leq}1.5$. The ODCs for $PM_{10}$ and $NO_2$ were estimated by 14.9% and 1.0% in Korea, respectively. Finally, we have also provided an interesting case study observed in Seoul.

천년초 뿌리의 항산화 및 염증 매게 물질 조절 효과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ediators Regulation Effects of the Roots of Opuntia humifusa)

  • 김예진;박찬익;김수진;안은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분획물에 따른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80% MeOH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EtOAc Fr., n-BuOH Fr. 및 $H_2O$ Fr. 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 분획물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scavenging 방법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모든 분획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고, 그 중 OHRE 분획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179.3 mg/g)을 나타내었고, $IC_{50}$ 값이 DPPH는 $77.0{\pm}1.38{\mu}g/mL$, ABTS는 $26.3{\pm}2.02{\mu}g/mL$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염증 효과는 PMACI로 HMC-1 cells에 염증을 유발시킨 뒤 천년초 뿌리 분획물을 처리하여 TNF-$\acute{\alpha}$를 비롯해 IL-$1{\beta}$, IL-6, IL-8등의 염증 매게 물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뿌리는 높은 항산화 활성과 및 염증 매게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민들레 분말을 이용한 쿠키의 품질과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ies Prepared from Taraxacum coreamm Powder)

  • 박인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15-422
    • /
    • 2021
  • This study assessed the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from Taraxacum coreamm powder (TCP) (0, 2, 4, 6, 8%) substituting wheat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CP. However the density of the cookie doug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est groups. The baking loss rate of the groups with TCP was slightly lower, whereas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spread factor of the cooki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CP. The hardness of the cookies increased as TCP increased. In Hunter's color value, the L and a value of the cook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TCP, while the b value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CP.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CP can be a good ingredient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cook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