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pular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동적 서기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ing on Dynamic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 김군하;최한성;이형일;신화경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1호
    • /
    • pp.15-20
    • /
    • 2014
  • Purpose: We investigat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dynamic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was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training group randomly. Control group(n=15) had only genera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raining group (n=15) had both the genera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ntensive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They were treated for 15minute/5 times/4 week. We measured PALM (palpation meter) to measure affected side's distances from spine to scapular. We measured FRT (functional reach test), FSST (four squared step test), and BPM (balance performance monitering) to evaluate dynamic standing balance. Results: Trai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tances from spine to scapular, FRT, FSST, and variables of BPM comparing control group (p<0.05). But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s have positive effects on dynamic standing position.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pular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Applying EMG Biofeedback on Upper Trapezius, Pectoralis Major and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 윤삼원;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9-1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건강한 성인 남성 15명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적용 시 위등세모근과 큰가슴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앞톱니근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를 통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이 선택적으로 앞톱니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에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