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b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3초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ab of Japanese Apricot in Korea

  • Kim, Gyoung Hee;Jo, Kyoung Youn;Shin, Jong Sup;Shin, Gil Ho;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5호
    • /
    • pp.450-457
    • /
    • 2017
  • Scabs caused by Venturia carpophila greatly reduce the quality of the fruits of the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when the disease is not properly managed. The disease produces a superficial blemish that is unlikely to affect the overall yield of processed fruit, but reduce the value of fruit intended for the fresh market. Incidence rates of scab at sprayed and unsprayed orchards range from 0% to 21.5% and from 30.2% to 100%, respectively, in the major cultivation regions of Jeonnam Province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09. The trends in disease progress were quite similar, regardless of regions, and cultivar Namgo was relatively less damaged by scab compared to cultivar Cheonmae among the tested Japanese apricot cultivars. The fruits on branches 1.5 m above the infected Japanese apricot trees and the stem-end parts of the infected fruits were more severely damaged by scabs, possibly because of rain and run-off facilitate dissemination of conidia of V. carpophila and subsequent infection of the fruits or branches. The conidia of V. carpophila were dispersed from March 24 to April 26 in 2010, and more conidia were dispersed from 2-year-old branches than 1-year-old branches. Since the control efficacies were higher than 90% after more than two applications of Trifloxystrobin WG at 10-day-intervals from mid April, it is that effective fungicides be applied at least two times at 10-day-intervals from the middle of April to manage scabs of Japanese apricot in orchards.

Studies on Pathogenicity of Wheat Scab Fungus(Gibberella zeae) to Various Crop Seedlings

  • Chung H. W.;Chung H. S.;Chung B. J.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21-25
    • /
    • 1964
  • 1. 본 시험은 이병된 식물의 잔재물 또는 토양중에 있는 맥류적미병균(Gibberella zeae (Mont.) Sacc.)이 14종의 작물유묘에 미치는 병원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2. 이들 작물은 병원균을 인공적으로 접종한 토양, 그리고 맥류적미병의 발생이 자연적으로 심했던 곳과 경했던 곳의 토양에 공시하여 본균에 대한 이병성을 검정하였다. 3. 인공접종시험에 있어서 보리, 밀, 호밀, 콩, 벼, 메밀, 옥수수, 목화, 녹두는 이병성이었고, 팥, 참깨, 수수, 무, 배추 등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 인공접종시험에 있어서, 이병성작물의 발아율은 벼, 옥수수, 목화를 제외하고 접종토양과 배접종토양에 있어 현저한 유의차가 있었다. 아시전립고는 보리, 옥수수에서만, 아시후립고는 호밀, 밀, 벼, 메밀, 보리, 옥수수에서 일어났다. 이병성작물의 대부분은 제2차근이 거의 부패하였고 제1차근도 부패 내지 변색되어 있었다. 이병성작물은 초장이 접종토양과 비접종토양에 있어 현저한 유의차가 있었다. 5. 자연상태에서 맥류적미병의 발생이 심했던 곳과 경했던 곳의 토양에 보리, 밀, 호밀을 파종하였으나 본균에 의한 침해나 영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배 검은별무늬병균(Venturia nashicola) 감염특성과 방제기술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A Review)

  • 최으뜸;송장훈;서호진
    • 식물병연구
    • /
    • 제29권2호
    • /
    • pp.101-107
    • /
    • 2023
  • 배 검은별무늬병을 일으키는 원인 병원균은 Venturia nashicola는 국내를 포함한 일본, 중국, 대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병이다. 이 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관리가 되고 있었다. 하지만 지속인 화학적방제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병원균의 저항성 출현을 야기하여 보다 지속 가능한 관리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V. nashicola의 생환 및 감염 특성을 이해하고 과거부터 이어져온 달력형 방제나 특정 계통의 살균제 연용에서보다 기상환경조건에 따라 능동적인 방제시기 설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배 검은별무늬병인 V. nashicola의 병환, 감염특성 그리고 방제체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보다 효과적인 방제관리체계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리뷰하였다.

저에너지 레이저 조사가 창상치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energy laser irradiation on wound healing)

  • 한창수;김명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29-637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laser energy for wound healing. The skin wound with 8mm diameter was induced over the lumbar vertebrae of the rats, and wound squares, scab hardness, hematologic findings and histopathlogic findings according to irradiation of laser energy were studied. 1. Wound square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Day 1 (p<0.01), 2 (p<0.01), 3 (p<0.05), 7 (p<0.01) and 8 (p<0.05), respectively in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group II,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Scab hard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 1 (p<0.01), 2 (p<0.01), 3 (p<0.05), 5 (p<0.01) and 7 (p<0.01), respectively in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group II,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hematological findings, red blood cells and white blood cell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lapse of days, but they were not significant. 4. In histopathologic findings,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group II, revealed early scab formation, early appearance of phagocytes and fibroblast, rapid growth of granulation tissue and collagen, and promotion of wound healing in the result.

  • PDF

친환경 자재가 배 과원의 병해충 방제 효과 및 과실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Insect and Disease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in Pear Orchards)

  • 최현석;오수옥;김월수;이 연;최병민;국용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5-416
    • /
    • 2011
  • 본 실험은 '신고' 배 과원에 친환경 자재인 키틴분해미생물 배양액에 님오일, 은나노, 그리고 보르도액을 혼용하였을 경우, 그리고 위 친환경 자재에 합성농약을 살포했을 때 흑성병과 가루까지벌레 방제율, 과실품질 그리고 항산화 물질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친환경 자재를 이용한 무농약 처리구인 키틴분해미생물+님오일은 잎과 과실의 흑성병 감염율을 30% 이하로 감소 시켰으나 키틴분해미생물에 은나노나 보르도액 혼용은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친환경 자재에 합성농약 처리구는 흑성병 감염율을 20% 이하로 감소시켰다. 키틴분해미생물+보르도액 무농약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가루깍지 벌레 발생율을 모두 10% 이하로 감소시켰다. 과실품질 특성은 처리구간에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적색을 나타내는 Hunter value a값은 병해충 발생율이 높았던 키틴분해미생물에 은나노나 보르도액을 혼용한 무농약 처리구에서 합성농약 처리구보다 더 높게 관찰되었다. 친환경 자재에 무농약 처리구 과실이 합성농약 과실 보다 과피의 페놀함량을 제외하고 과피와 과육에서 높은 총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항산화활성을 보여주었다.

배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원교 나-흑성 2호" (Scab (Venturia nashicola) Resistant Pear, "Wonkyo Na-heukseong 2")

  • 신일섭;황해성;신용억;허성;김기홍;강삼석;김윤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4-357
    • /
    • 2009
  • Venturia nashicola에 의한 검은별무늬병 저항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을 1997~1999년까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포장검정 및 인공 접종을 실시하여 저항 성친으로 서양배 "청마려"을 선발하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에서 고품질 만생종 "만수"에 "청마려"를 1997년에 교배하여 저항성 우량 계통인 중간모본 "원교나-흑성 2호" 을 2008년에 선발하였다. 2008년 만개일은 4월 19일로 "만수" 보다 1일 늦고, "청마려"보다 7일 정도 빠르며 수세는 강하고 수자는 직립형이다. 검은별무늬병에 "청마려"와 "Bartlett"과 같이 강하고 "신고", "원황"등 국내 주요 재배 품종들과 교배 친화성이 있다. 과실은 만개 후 180일경에 성숙되어 양친에 비해 20일 정도 성숙 일수가 짧으며, 과형은 방추, 과피는 황녹갈색이다. 평균과중은 484 g, 당도는 $13.2^{\circ}Brix$이며 과즙량은 중~다이다 석세포가 적고 동양배의 아삭아삭함이 있다.

오이 유묘와 과실을 활용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검정 방법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ucumber Cultivars against Cucumber Scab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Using Cucumber Fruits and Seedlings)

  • 박소향;홍성준;심창기;김민정;박종호;한은정;박종원;지형진;김석철;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18-24
    • /
    • 2016
  • 본 연구는 검은별무늬병균의 배양적 및 병원학 특성을 구명하고,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저항성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균은 2015년 3월 말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시설 오이 재배농가에서 채취한 병든 과실로부터 분리하였고 PDA상에서 배양하면서 형태적인 특성에 근거하여 검은별무늬병균(C. cucumerinum PT1)으로 동정되었다. 상처 유무와 과실 크기가 검은별무늬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과일 크기를 유과(10 cm 미만), 중과(10-20 cm), 대과(20 cm 초과)로 구분하고 과실 크기별로 상처와 무상처 조건으로 오이 과실표면에 $1{\times}10^5$ 포자/ml 농도의 병원균을 접종하였다. 작은 과실에서는 표면 상처 여부에 관계없이 심한 수침상의 병반과 빠른 병원균 생장을 보이면서 피해정도가 매우 컸던 반면, 중과와 대과에서는 상처 부위와 무상처 표면 모두에서 경미한 수침상의 병반이 나타났지만 식물체 안쪽 조직으로 병이 진전된 것은 상처 낸 과실에서 뿐이었다. 오이 유묘와 유과에 검은별무늬병균의 포자 현탁액을 접종하여 81개 시판 오이 품종의 병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미니오이와 피클오이 품종군은 대부분 저항성이었다. 특히 '처음처럼' 품종은 아무런 병징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나머지 품종들은 저항성-중도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품종군의 오이 품종은 대부분 감수성 품종으로 판명되었다. C. cucumerinum PT1에 대한 오이의 병 저항성은 품종 간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일부 품종에 있어서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 간에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오이 유묘 검정과 유과 검정을 병행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선발된 저항성 품종을 농가에 적용한다면 오이 검은별무늬병 방제를 위한 실질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국내감자 연작지대에서 분리한 더뎅이병원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otato Common Scab Pathogens from Continuous Cropping Fields in Korea)

  • 김주희;이왕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5
    • /
    • 1996
  • 국내 감자 연작 재배지에서 수집하여 분리동정한 더뎅이병원균인 Streptomyces scabies의 배양적,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병감자에서 분리된 균들은 병원성 균주와 비병원성 균주들로 구분되었고, 이들 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내는 병원성균주는 비병원성균주와는 달리, 나선형의 포자사슬, 회색 포자,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고 D-glucose, L-arabinose, D-fructose, D0mannitol, raffinose, rhamnose, sucrose, i-inositol, D-xylose 등의 탄소원을 이용하였으며, 또한 7% NaCl 및 streptomycin sulfate, crystal violet, olean domycin(10$\mu\textrm{g}$/ml, 100$\mu\textrm{g}$/ml)등의 항생물질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45-52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N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e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_2$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N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 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rr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