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ied Customer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5초

고객 만족/불만족 2차원 모형기반의 만족 고객 재분류를 이용한 고객만족경영 향상 방안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using the Satisfied Customer Reclassification based on a 2 Dimension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 서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15-3420
    • /
    • 2011
  • 고객만족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고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실제 조사 측면에서는 만족응답으로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져, 데이터 분석의 구조적 한계와 함께 고객만족 개선안 도출의 유용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만족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사용한 단일차원이 아닌, 만족/불만족 2차원 모형을 적용하여 고객 재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을 적용한 결과 만족과 관련된 속성과 불만족에 관련된 속성이 별개이고,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의 역할과 기능이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 재분류를 통하여 고객 만족을 최대화하고 동시에 고객 불만족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궁극적으로 고객만족경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잠재집단분석을 이용한 고객 세분화 연구 (A Study on the Customer Segmentation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서광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7-243
    • /
    • 2012
  • The more the satisfied customers increases in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the more the company has difficultly in improving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decreases due to its constitution limitation on its data analysis.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method to identify the strategy meanings and find the dissatisfied factors of satisfied customers using the satisfied customers reclassifi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atisfied customer segmentation using Latent Class Analysis.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satisfied customers a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we draw meaning results such a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factors through analyzing each group.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the role as the groundwork for the revitalization of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Latent Class Analysis 기반의 만족 고객 세분화를 이용한 고객만족경영 향상 방안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using the Satisfied Customer Segmentation based on Latent Class Analysis)

  • 송기정;서광규;안범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86-394
    • /
    • 2011
  • 최근의 고객만족도 조사에서는 만족응답으로의 쏠림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만족고객의 비율이 높아져 고객만족 개선안 도출이 어려워지고 있다. 게다가 이로 인한 데이터 분석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고객만족도 조사의 실제 적용을 효과성이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만족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는 Latent Class Analysis(LCA)를 이용하여 만족 고객의 세분화에 초점을 두어 수행되었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의 만족고객만을 대상으로 LCA를 적용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세분화된 결과를 얻었으며 각 집단별 만족요인과 불만족 요인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고객만족경영을 달성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고객만족도 조사가 다양하고 입체적으로 분석되어 고객만족조사의 활성화는 물론, 고객 만족경영 향상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만족고객 재분류 방법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Satisfied Customer Reclassification Methods for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 송기정;서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39-144
    • /
    • 2013
  • 본 논문은 고객만족도 조사가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의 개선 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다. 고객만족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고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실제 조사 측면에서는 만족응답으로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져, 데이터 분석의 구조적 한계와 함께 고객만족 개선안 도출의 유용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만족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를 위한 3가지 방법인 세부속성의 복합점수를 이용하는 방법, 만족/불만족 2차원 모형을 적용하는 방법, 만족 고객을 세분화하는 방법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사례연구결과,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고객만족도 조사가 다양하고 입체적으로 분석되어 고객만족조사의 활성화는 물론, 고객만족경영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속성복합점수 기반의 만족 고객 재분류를 이용한 고객만족경영 향상 방안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using the Satisfied Customer Reclassification based on Attribute Complex Scores)

  • 송기정;서광규;안범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45-353
    • /
    • 2011
  • 본 논문은 고객만족도 조사가 지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의 개선 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다. 고객만족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만족고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 실제 조사 측면에서는 만족응답으로의 쏠림현상이 두드러져, 데이터 분석의 구조적 한계와 함께 고객만족 개선안 도출의 유용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만족고객을 재분류하여 보다 전략적인 의미를 도출하고 만족 고객의 불만족 요인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부속성의 복합 점수를 이용한 만족고객의 재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제안 모델의 사례 연구결과 기존의 1차원 모형으로 전체 지수산출위주의 분석결과 보다는 개선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안 연구결과는 향후 고객만족도 조사가 다양하고 입체적으로 분석되어 고객만족조사의 활성화는 물론, 고객만족경영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외식업체 고객 유대 전략이 고객 만족도 및 관계 유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Foodservice Industr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ention)

  • 기영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32
    • /
    • 2006
  •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ho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foodservice industry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ention. Marketing strategy methods could be indicated to bear fruit in the food-industry based on this research. First, the properties of each factor rela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foodservice industr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tention were obtained from previous studies.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tention between customers and the foodservice industry as a consequent variable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a parameters. The result reached through convergent validity came to satisfy all variables. Third, it was strongly maintained that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the more satisfied customers were and that the more satisfied customers were, the stronger retention was. It was shown that customers would repurchase and had strong loyalty to a certain enterprise if its services satisfied them and met their expectations.

  • PDF

서비스 기업의 종업원 만족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formance on Employer's Satisfaction of Service Company)

  • 박정섭
    • 유통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01-119
    • /
    • 2005
  • For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inside customer satisfaction must be made by offering the service of a good quality to the inside customer. If the inside customer is not satisfied with own business, the achievement of customer's loyalty & customer satisfaction which have direct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a corporation, comes to be difficul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what effect the inside customer satisfaction has on the yield performance of a corporation on the subject of the salespersons of the direct-control store among the retail store business.

  • PDF

소비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판매원 서비스 평가와 구매행동 특성 (A Study on Evaluation of Salesperson′s Service and Purchase Behavior as related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 마윤진;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155-1166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1) to identify shopping orientation according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2) to examine perceived importance of servi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3) to find the relationships of evaluation of salesperson's servic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each of customer's personality types. The data were collected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434 female formal wear shopper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V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hopping orientations varied according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E type had stronger Hedonic/self-confidence than I type, F type had higher Depending decision making than T type and P type had higher Quick decision making than J type. And service items satisfied the customers with a certain personality type. E type was satisfied with timely and proper A/S, not forcing to purchase and trustful behavior of salesperson more than I Type was. And also with expertise, individualized care, polite attitude, and merchandising promotion. N type was satisfied with individualized care more than S type was. A service evaluation criterion affected the re-purchase intention for a customer with a certain personality type. Customer's convenience in E. I. S, N, T, F, J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Expertise/ care in E, N, T, J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lso Politeness in E, I, S, N, T, J, P types did. But in only E type, Merchandising promotion affected re-purchase intention.

  • PDF

고객보상 프로그램이 고객 유지에 미치는 효과: 교육 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Loyalty Program on the Effect of Customer Retention: Focused on Education Service Industry)

  • 전호성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5-53
    • /
    • 2011
  • 이번 연구는 실제 기업 자료를 기반으로 고객보상 프로그램이 고객 유지(retention)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1년이 넘는 장기적인 시간 프레임 속에서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도입 시점을 전후로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의 비교를 통해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 설계를 고려한 이유는 종적 자료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이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도입 시점 이후부터 가입 고객과 비가입 고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자기선택오류(self-selection bias)의 가능성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도입 시점을 전후로 두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자료를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절단(censoring)하였다.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은 다른 분석기법에 비해 불완전한 자료가 포함되더라도 분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므로 이번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보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소비자들의 거래기간이 평균 179일이었으나 고객보상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후에는 227일로 약 50일 정도 더 늘어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구 가설을 지지하였다. 또한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사용하여 고객보상 프로그램과 영향 변수들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한 결과 기존고객들은 고객보상 프로그램이 도입된 후 신규고객들에 비해 회사와의 거래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서비스(예: 30일 이내 입회)를 경험한 고객들도 회사와의 거래기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정적인 서비스(예: 30일 이후 입회)를 경험한 고객이라 하더라도 고객보상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후에는 회사와의 거래기간이 증가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정리하면 고객보상 프로그램은 고객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이탈 장벽까지 구축해 줌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수단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PDF

CM에서 고객만족도에 기반한 추천의향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eferral Intension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in Construction Management)

  • 정민;이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100-110
    • /
    • 2010
  • CM의 특성상 기존고객에 의한 재구매나 기존고객의 추천에 의한 신규고객 유입이 CM서비스의 주요 수주경로라고 볼 때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대한 연구는 CM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재 CM이 도입된 지 15년이 지났지만, 그동안 CM분야에서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기반으로 하여 충성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M서비스를 경험한 135명의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CM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측정하였다. 고객만족도는 건설단계별로 기획단계, 설계단계, 조달단계, 시공단계 및 준공후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다. 고객충성도는 NPS(Net Promoter Score, 순고객추천지수) 이론에 근거하여 고객의 추천의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에 따라 비추천고객, 중립고객, 추천고객으로 분류하여 건설단계별 만족도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객만족도 수준에 따라 비추천고객, 중립고객, 추천고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초기단계인 기획단계 만족도가 추천고객을 형성하는 데 가장 큰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터넷 등 정보의 발달로 고객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구전이 급속도로 노출되는 환경에서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관리함으로써 충성고객을 확보하는데 사전 예측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