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sang constitution

검색결과 998건 처리시간 0.024초

한방간호연구 논문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Oriental Nursing Published in Korea)

  • 이향련;강현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5권1호
    • /
    • pp.102-113
    • /
    • 2000
  •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trends of study related with oriental nursing. This article reviewed 81 researches on oriental nursing from 1985 to July 2000, by examining them according to the articles' characteristics, sources by publication period, research design, nursing intervention effect of experimental study and concept, and content of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with oriental nursing has progressively increased by year from 1985, and that of articles was the highest during the period between 1995 to 1999. Since the 1990s, the number of articles including thesis and dissertation increased, and a third of subject articles were thesis among them. 2. The majority of research design were survey and correlational studies, and most of them were published in the 1990s. Literature review articles also occupied a certain portion, and most of them were published after 1995. In addition, the research design of dissertation revealed in various types. 3. Nursing intervention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was Dan Jeon Breathing, San-Yin-Jiao (SP-6) Pressure, Percutan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Guided Imagery, Diet for Sasang Constitution, Yoga Exercise, Qigong Exercise, Meridian Massage, Bed Exercise Program, Health Contract and Structured Rehabilitation Education. Among the study subjects,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were at the highest rate, and the most nursing intervention effects presented physiological effect,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lieving pain. In most studies, the affirmative effect proved. 4. The key concept of literature review articles is energy, oriental nursing, health promotion, oriental medicine management of illness and etc. Being important concepts to understand oriental nursing, they confirm similar perspective of oriental medicine and nursing and show simultaneously the importance of nursing considered into the cultural perspective. The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shows a tendency that the thesis and dissertation have been relatively considered with various research designs, while the others have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Especially, experimental study proved affirmative effect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treatment of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with oriental medicine. Besides in the literature review, inquiry of theories and practical perspective, which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nursing, was introduced. However, for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nursing, more studies are to be required along with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with health promotion.

  • PDF

치매에 대한 최신 실험적 연구 동향;2000년 이후 한의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A Review of Experimental study on Dementia in Oriental medicine;within Oriental medicine journal since 2000)

  • 최성열;김대현;김상태;김태헌;강형원;류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5-146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or the following experimental study of dementia by reviewing recent oriental medicine journals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Methods: We have investigated various types of studies in relation to dementia through 90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2000 to 2007 in recent oriental medicine journals were registered Korea research foundation. Results and Conclusions : 1. Since 2000, 88 articles in relation to dementia have been published and almost of them are herbal medicine-centered studies. Also they show a tendency to increase every year. Th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arries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in relation to dementia. 2.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paper, there are 30 cases of using herb simplexes, 48 cases of herb-combined prescription, and 10 cases of other ways. Especially 7 cases of using herb-combined prescription relation to Sasang constitution are all for the Taeumin. 3. There are 85 cases of Animal and cellular experimental, 60 cases of using pathologic model induced cytotoxic activity, a case of using L-NAME, 3 cases of 192 saporin, 4 cases of ibotenic acid, 10 cases of focal cerebral ischemia, 3 cases of alcohol-administered, and one case of natural degradation. 4. Moms water maze, Radial arm maze Passive avoidance learning model were using for examining learning and memory of model animal 5. We propose that following studies of dementia are to he investigated of the applied method of using siRNA with tranceduced gene, sample preparation by water-soaking, oriental medical diagnosis, standardization of differentiating symptom and herb simplexes, building the database by classified prescriptions, and experiment model which are based on precise examining mechanism with cell line as like mouse H19-7 hippocampus, rat HT22 hippocampus, astrocyte, microglia, using the model of animals at APP, PS1, BACE, CT99/PS1, APOE4, Tau, APP/PSI/Tau

  • PDF

뇌허혈 마우스모델에서 양격산화탕이 뇌 손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 (Yangkyuksanhwa-Tang Attenuates Ischemic Brain Injury in a Focal Photothrombosis Stroke Model)

  • 한도경;박맑은;권옥선;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58-1266
    • /
    • 2019
  • 양격산화탕은 9가지의 약재로 구성된 처방으로 한의학적 뇌졸중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처방 중 하나이며, 주로 사상체질이론의 소양인 뇌졸중 치료에 적용된다. 본 연구는 실험동물을 이용한 뇌졸중에 대한 양격산화탕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여, photothrombosis로 유발된 허혈성 마우스모델을 이용하여 양격산화탕의 효과를 살펴 보았다. 동물행동학적 변화와 더불어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뇌경색 용적에 대한 조직학적 검색 및 신경염증과 신생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으로 살펴 보았다. 동물행동학적 결과로 보아, 양격산화탕은 뇌허혈에 의해 손상된 운동기능, 즉 wire grip과 rotarod test에 의한 운동조정과 균형 능력 등에 대한 기능적 회복을 보였으며, 이는 조직학적 검색으로 관찰된 뇌경색 용적의 축소를 동반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결과를 보면, 양격산화탕은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myeloperoxidase 면역반응세포의 수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와 반대로 양격산화탕은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와 ionized calcium-binding adapter molecule 1 면역반응세포의 수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또한 양격산화탕은 Ki67/doublecortin 면역반응세포의 수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양격산화탕은 항염증, astrocyte와 microglia의 활성화 및 신경세포의 증식을 통해 뇌경색 용적을 감소시키며, 이는 뇌허혈성 운동장애에 대한 완화 효과로 이어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격산화탕은 뇌손상에 대한 신경기능적 완화효과를 보여 줌으로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유효한 치료제로 사료된다.

홍채로 진단한 교감항진 국소다한증 치험례 (A Case Report of Hyperhidrosis with Sympathicotonia Detected by Iris Diagnosis)

  • 왕경석;채인철;박미소;손수아;박성일;유호룡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001-1008
    • /
    • 2021
  • 목적: 국소다한증 환자의 홍채진단을 사용한 변증 및 한의 치료에 대한 연구 방법: 국소다한증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에게 한의학 기본 진단법인 사진법을 사용하여 태음인임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카메라를 사용하여 홍채를 촬영하였고, 얻어진 이미지에서 교감신경항진과 관련된 표지인 권축륜의 선명하고 굵은 모습과 다수의 신경긴장선이 존재하는 모습을 통해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태음인 체질방을 기본으로 교감신경 항진을 조절하는 약재를 가미한 한약처방을 1개월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결과: 다양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던 30년 가까이 된 수족 다한증이 한약치료를 통해 복약 4일차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6주 만에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80% 호전되었다. 결론: 만성적이고 다양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던 수족 다한증에 한약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보고한다.

화열과 음허로 진단된 급성기 뇌질환 환자의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ison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cute Stroke Patients between Fire-Heat and Deficiency of Yin)

  • 김혜미;곽자영;조승연;신애숙;이인환;김나희;나병조;박성욱;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39
    • /
    • 2009
  • Objects : This study propose to compare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acute stroke patients between Fire-Heat group and Deficiency of Yin group. Method : We recruited acute stroke patient within 4 weeks after stroke admitted t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f Kyunghee University Oriental Medicial Center,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Medical Center, Kyungwon University Songpa Oriental Medical Centar and Kyungwon University Incheon Oriental Medical Center from April 2007 to August 2009. We investigate age, sex, type of stroke, past history,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drinking alcohol, marriage sasang constitution, etc. Result : It was significant different in sex, smoking, dringking alcohol and marriage between Fire-Heat group and Deficiency Yin group. We need more cases for another result that could associate with diagnosis of stroke. Conclusion : We found that Fire heat group was more associated with lifestyle than deficiency yin group.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analysis for the diagnosis and the treatments of stroke.

  • PDF

노인질환에 대한 한양방동시종합검진 결과에 대한 보고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 권경숙;이태환;송정모;김인섭;윤호영;임준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7
    • /
    • 1994
  • 연구(硏究)의 목적(目的) 및 배경(背景) : 본 연구는 노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노인병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노인건강검진 사업의 일환으로 전주우석대부속한방병원 및 부설우석의원에서 국내최초의 한양방동시종합검진을 실시한 바 있어서, 이를 토대로 노인질환의 분포와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한양방동시종합검진의 효율성을 검토해 보기 위함이다. 연구(硏究) 방법(方法) :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김제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641명을 대상으로 전주우석대부속한방병원 및 부설우석의원에서 1994.6.24부터 1994.7.13까지 실시한 한양방동시종합검진(1차 검진) 결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방의 1차검진은 X-ray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혈압, 시력, 청력 등의 측정으로 행해졌고, 한방검진은 한방의 사진법(四診法)(望,聞,問,切(망,문,문,절))과 현증력(現症歷), 주소증(主訴證), 과거력(過去歷), 가족력(家族歷), 사회력(社會歷) 등을 살피는 문진표(問診表)와 사상체질(四象體質) 테스트법을 이용하여 행해졌다. 결과(結果) 및 결론(結論) :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양방종합판정상 검진 대상자 641명중 운동기계질환자 75.8%, 소화기계질환자 43.4%, 순환기계질환자 41.5%, 호흡기계질환자 22.3%, 안이비인후과질환자 8.1%, 내분비계질환자 5.6%, 비뇨생식기계질환자 5.3%의 순으로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병명에 따른 질환의 빈도를 살펴보면, 요통, 위염 및 소화성궤양, 슬통, 심장병,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빈혈증, 당뇨병, 폐결핵, 시력장애, 중풍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연령별 질환의 빈도를 살펴보면, 60-75세, 76-85세, 86세 이상으로 구분할 때 대부분의 질환이 60-75세에 다발하는 경향을 보이고, 오히려 연령이 높아질수록 질병이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안이비인후과질환만이 점진적 증가를 보여 대조를 이루었다. 4) 가족력과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중풍환자의 25.0%가 중풍의 가족력을, 고혈압환자의 11.6%가 고혈압의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력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그밖에 결핵은 5.6%, 당뇨병은 2.6%가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음주와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호흡기질환의 36.4%, 고혈압의 34.7%, 심장병의 33.3%, 소화기질환의 28.4%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주의 정도는 조사되지 않아 음주와 질환과의 필연적 관계는 알 수 없었다. 6) 흡연과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호흡기질환의 44.1%, 심장병의 38.0%, 고혈압의 29.8%가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흡연의 정도는 조사되지 않아 흡연과 질환의 필연적 관계는 알 수 없었다. 7) 사상체질의 분포는 태음인(太陰人) 44.6%, 소양인(少陽人) 30.7%, 소음인(少陰人) 24.7%, 태양인(太陽人) 0.0%의 순으로 나타났고, 체질별 질환빈도는 모든 체질에서 운동기계 질환과 소화기계 질환의 이환율을 높았는데, 태음인에서는 순환기계질환(50.0%), 호흡기계질환 (23.1%)이 타체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소양인에서는 운동기계질환(77.7%), 난청등 안이비인후과 질환(12.2%)이 타체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소음인에 있어서는 소화기계 질환(65.8%)이 타체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8) 양방의 1차검진상 이상소견자의 빈도와 한양방종합판정에 의한 질환의 빈도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질환의 특성상 건강검진에 한방의 참여가 필요한 이유가 되는 내용이라 사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이번에 실시한 국내최초(國內最初)의 한양방동시종합검진(韓洋方同時綜合檢診)은 양방위주의 건강검진보다 노인의 질환과 건강실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훨씬 효율적(效率的)이었다고 사료되는 바이나, 처음 실시한 만큼 미진한 면이 많았다. 앞으로 한방이 공중보건사업에 효율적으로 차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양방동시종합검진의 모델과 한방보건사업의 프로젝트가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음인(少陰人)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이 흰쥐의 뇌(腦)와 간조직(肝組織)의 항산화(抗酸化) 기전(機轉)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Antioxidative Effects of Sipyimiguanjungtang and Osuyubujayijungtang,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s for Soum Constitutes, in Brain and Liver of Rat)

  • 정봉연;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7-250
    • /
    • 1999
  • 소음인(少陰人)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과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의 항산화(抗酸化) 효능(效能)을 검증(檢證)하기 위해, 약재(藥材)의 항산화력(抗酸化力)을 측정(測定)하였으며, 흰쥐에 투여(投與)하여 뇌(腦)와 간(肝) 조직(組織)의 항산화력(抗酸化力) 증강(增强) 효과(效果)를 실험(實驗)한 결과 유의성(有意性) 있는 성적(成績)을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과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의 화학적(化學的) 항산화력(抗酸化力)을 검증(檢證)한 결과(結果) 비교적 높은 항산화(抗酸化) 활성(活性)을 보여주었다. HepG2 세포주(細胞株)와 적혈구(赤血球)를 이용한 항산화력(抗酸化力) 검증(檢證)에서도 높은 활성(活性)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은 강한 수용성 항산화력제(抗酸化劑))로 알려진 vitamin C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실험용(實驗用) 흰쥐에게 탕제(湯劑) 추출물(抽出物)을 4주간(週間) 투여(投與)한 뒤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과 GOT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 탕제(湯劑) 비투여군(非投與群)과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아 탕제(湯劑) 투여(投與)에 의한 독성(毒性)은 없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활성산소(活性酸素) 발생제(發生劑)인 2.2'-azobis(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APH)로 산화적(酸化的) 손상(損傷)을 유발(誘發)한 실험용(實驗用) 흰쥐에서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투여군(投與群)은 혈장(血漿) 총항산화력(總抗酸化力), 혈장(血漿) 지질과산화(脂質過酸化)가 억제(抑制)되었으며, 혈장(血漿) thiol 그룹의 감소(減少)도 억제(抑制)되었으나.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 투여군(投與群)에서는 유의적(有意的) 차이(差異)가 나타나지 않았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 투여군(投與群)은 간(肝) 및 뇌조직(腦組織)에서 AAPH로 유도(誘導)된 산화적(酸化的) 손상(損傷)을 유의적(有意的)으로 억제(抑制)하였으며, 체내(體內) 중요(重要) 항산화(抗酸化) 물질(物質)인 glutathione을 보호(保護)하여 체내(體內) 항산화(抗酸化) 능력(能力)을 증진(增進)시킨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오수유부자이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 투여군(投與群)은 제한적(制限的)인 효과(效果)만을 보였다.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은 항산화(抗酸化) 효과(效果)가 높은 처방(處方)으로 볼 수 있는 바 임상(臨床)에서 노화방지(老化防止)에 널리 활용(活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급성기 중풍환자의 발병시간에 따른 특성 및 위험인자 연구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Study According to Onset Time in Acute Stroke Patients)

  • 김미영;김영지;이승엽;최원우;임정태;김창현;민인규;박성욱;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011-1024
    • /
    • 2008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ccording to onset time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 We studied hospitalized patients within 4 wks after the onset of stroke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Kyunghee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Kyunghee University East-West Neo Medical Hospital, Kyungwon University Songpa Oriental Medical Hospital, Kyungwon University Incheon Oriental Medical Hospital, and Dongguk University Ilsan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April 2007 to August 2008. The 24-hour day was divided into quartiles (6:00 to 12:00, 12:00 to 18:00, 18:00 to 24:00 and 24:00 to 6:00). W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ccording to onset time in acute stroke patients. Results : 468 subjects were included into the final analysis. 1. The most common time period for ischemic stroke onset was between 6:00 and 12:00. It demonstrated a 50% excess risk between 6:00 and 12:00. 2.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tients, the rate of hyperten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rom 18: 00 to 24: 00 than 24:00 to 6:00.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oke type, Sasang constitution, or lifestyle between times. 4. According to the blood test,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at 24:00 to 6:00 and lower at 12:00 to 18:00 than other time-groups. 5. The patients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were significantly more at 12:00 to 18:00 and fewer at 24:00 to 6:00. 6. Hypertension and coffee drinking showed close relationship with patients whose stroke occurred while awake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tendency of acute stag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varied according to their onset time.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as a basis mater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