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angchae(men's quart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차경기법을 통한 전통공간에서의 감성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Space through Borrowed Landscape)

  • 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78-85
    • /
    • 2013
  • This study employed the Semantic Differential(SD) techniqu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borrowed landscape-the so-called interaction of landscape between space and nature-in traditional Korean space against the cultural backdrop of confucian ideology.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rrowed landscape between Sarangchae(Men's quarters) and Anchae(Women's quarters) and between Soteuldaemun(A lofty gate) and Sadangdaemun(A gate to an ancestral shrine), using the SD technique. Consequently, their marked distinction in the borrowed landscape were found to illustrate the influence of confucian ideology over spatial composition. Second, both the garden and the sky of Sarangchae appeared more open and dynamic, and soft, and comfortable, and warm compared to Anchae. Also, Soteuldaemun looked more open and dynamic than Sadangdaemun. In conclusion, traditional Korean space applies a monistic view of the world to nature and human beings, thereby embodying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space where humans enjoy their life in harmony with nature while playing with the landscape in a traditional space.

조선후기 한양의 상류주택과 비교를 통한 낙선재의 건축특성 연구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akseonjae through Comparisons with Hanyang's Upper-Class Houses in Late Joseon Dynasty)

  • 조규형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7-26
    • /
    • 2012
  • Nakseonjae in Changdeokgung Palace was established at The King Hunjong's 13rd year (1847), the mid-19th century. It was constructed for own rests of King Hunjong and the residence of Kyungbin (king's concubines), and is showing features of upper-class houses from several points such as rustic architectural types by getting out of authoritative aspects as king's shelter space within the palace, block and floor distribution that separated spaces for men and women, simplicity in structures and styles, and non-colorful painting etc. This study aims at tracing on which architectural types did the upper-class houses within Hanyang (modern Seoul) at late Joseon Dynasty have and what was characteristics of Nakseonjae. The resemblance between Nakseonjae and the upper-class houses was very little differences from scale aspects, and floor plan shapes of Anchae (women's quarters) and Sarangchae (men's quarters) were followed basic common styles. Also, resemblance could be confirmed in the structural styles too. Characteristics of Nakseonjae are showing apparent differences from clearance compositions such as hall configuration etc. Nakseonjae was king's dwelling place, and spaces for house's collateral functions such as kitchen, stable, and warehouse etc together with shrine were unnecessary, and such places were substituted into servants' quarters for assisting the Royal family. In detailed structural styles, column's size was larger 3cm or more than the upper-class houses, and its height was higher to the degree of 30~60cm. Besides, formality as king's shelter space was raised more in decorating aspects, and Nakseonjae was implemented by getting architectural influences from Qing Dynasty of China. This study induced features of Hanyang's upper-class houses at the 19th century by supplementing distribution and space configurations at existing cases of Seoul and Gyeonggi area together with house diagrams having been collected by Gaokdohyung (site and floor plan) of Jangseogak Library, and confirmed resemblances and differences with Nakseonjae, that is, features of Nakseonjae. Through the result, this study judges a fact that architecture of Nakseonjae seemed to be affected from conveniences of upper-class houses within Hanseong, and also architectural styles and distribution types of Nakseonje would give influences to the upper-class houses.

둔덕리 이웅재고가(李雄宰古家)의 공간 및 경관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nd Visual Composition of Yi Ung-Jae's Old House, Dundeok-ri)

  • 노재현;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0-76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가치 발굴과 재조명을 목적으로, 임실 이웅재고가의 공간적·시각적 배치 특성과 경관과 정원 구조를 검토하여 전통정원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부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가가 입지한 둔덕리 동촌마을은 배산임수의 전형적인 형국으로 3개로 모인 물줄기 북측에 전착후관한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단구대와 삼계석문의 경승을 갖는 동촌마을은 노적봉과 계관봉은 안산(案山)으로 한 '지네가 하늘을 나는 형국(飛天蜈蚣形)'의 길지로 이해된다. 이웅재고가는 16C 중반 춘성정 이담손에 의해 조영된 전북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가이자 조선 왕실가문의 종가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및 일제강점기 일본에 저항한 충정과 대문채의 효자정려 그리고 편액과 주련에 담긴 충효의 가풍은 물리적인 가옥의 가치를 부상시키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경사진 지형에 거스르지 않게 배치된 사랑채나 안채의 배치 그리고 높은 돈대에 올린 사랑채는 최대한 원경을 차경하는 효과를 거두며 왕가 건물로서의 위엄성과 위계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사주문과 중문을 통한 안채 진입방식, 넓은 후원과 채원의 할애 그리고 안채에 배려된 공루 등의 가옥 구성은 일반 사대부가에 비해 매우 독특하다. 그러나 전후관계로 보면 사당을 주변으로 넓은 후원을 안배함으로써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는 한편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지금은 교란·훼손되었으나 외원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방지원도형(方池圓島型)의 지당(池塘)이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가에서 주목되는 식재수종은 후원의 소나무, 팽나무, 감나무, 매화, 홍단풍 그리고 측정의 산수유를 비롯하여 외원의 자두나무 등이다. 석축 위로 조성된 화계는 고가의 정원상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공간으로 정원 특성을 잘 간직한 공간이지만 화계 식생경관에 어울리지 않게 종 다양성과 사당에 어울리지 않는 화려함이 극도로 높아 식재의 짜임새를 상실한 느낌이다. 이웅재고가는 조선 전기 궁궐 밖에 조성된 궁가(宮家) 건축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는 조영물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웅재고가의 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가평 이천보(李天輔) 고가(古家)의 정원 현황과 원형 복원을 위한 제안 (A Study of the Current State of the Garden and Restoration Proposal for the Original Garden of Yi Cheon-bo's Historic House in Gapyeong)

  • 노재현;최승희;장혜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118-135
    • /
    • 2020
  • 우리나라 사대부 민가 정원 중 그 형태는 물론 정원의 구조와 기능 등이 온전히 남아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경기도 가평군 상면에 위치한 이천보 고가(경기도문화재자료 제55호)는 명문가로서의 내력이나 장소성 그리고 잔존하는 건물과 자연문화재 등의 측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정원 유산으로 판단되지만, 현재는 사랑채를 제외하고는 그 진가를 찾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이천보 고가를 비롯하여 경기 북부와 가평군 관내 민가 정원의 배치 양식 등을 문헌 연구, 현장 연구, 1954년 항공사진 비교 검토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천보 고가의 가치를 조명하고, 이천보 고가의 정원 원형을 추론하는 등 산림채와 정원 복원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원의 장소성이 그나마 잘 보존된 반계천 일대의 반계동문(磻溪洞門) 암각서와 반석암의 존재를 통해 외원의 영역과 경관상을 살피고 이천보 고가의 입지 및 풍수 형국 그리고 조망축을 해석하였다. 이와 함께 사랑채에 걸린 상고당(尙古堂), 반계정사(磻溪精舍) 그리고 옥경산방(玉聲山房) 3개의 편액을 통해 사랑채의 경관성과 용도 및 상징성을 추론하였다. 더불어 내원에 현존하거나 존재했던 수목에 대해서는 실측 조사를 병행한 결과, 연하리향나무(경기도기념물 제61호)는 안내판이나 문화재 정보 등의 실제 규격보다도 과소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 아니라 행랑채 전면에 잔존하는 향나무 또한 제원 조사 후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내원에 남아 있는 사랑채와 이전된 행랑채의 배치와 형태 그리고 사랑채 누마루와 지붕 측면부 합각 형태의 비대칭성 등을 통해 소실된 안채의 모습을 유추하였다. 또한 소실된 안채 및 사당 등의 복원을 통해 정원의 완전성을 추구할 목적으로 원래 모습을 추정한 결과, 안채는 사랑채 우측(북쪽)에 '구(口)자' 또는 '튼구(口)자'형태로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이천보 고가에 대한 복원 대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