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jo festiva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The effects of Daegeum Sanjo Rhythm (DSR) compare with Jinyang-jangdan and Jajinmori-jangdan on music therapy

  • Ko, Kyung Ja
    • 셀메드
    • /
    • 제8권2호
    • /
    • pp.10.1-10.2
    • /
    • 2018
  •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at Daegeum Sanjo Rhythm (DSR) compare with Jinyang-jangdan and Jajinmori-jangdan on music therapy. Daegeum has the largest range of notes in wind instruments through Korean music. Jangdan is the essential element of rhythm in Korean music. Just as human body sound and resonant with their rhyme and meters, jangdan has its own rhythms of physical structures and sequence and repeat. Jinyang-jangdan, which is close to western minor code, expresses heartbreaking grief and great mourning feeling, so it makes one feel the catharsis through that rhythm. Jinyang-jangdan of daegeum music may be slow, but it can be sublimated into grim music for human. So, people overcome the sadness through grim music. On the other hand, jajinmori-jangdan gives charm and gaiety to people and to everything. So, it is exciting that it's often performed in festival and parade. Rhythmical music is a tool to improve the well-being of humanity and increase our life choices. Therefore, music therapy surely needs both influences of daegeum sanjo music regardless of the rhythm. Because, daegeum sanjo music is nature-friendly music of the rhythm.

현대사회 문화콘텐츠로서 산조의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Utilizing Sanjo as Cultural Contents in Modern Society)

  • 조석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399-426
    • /
    • 2016
  • 본고는 산조는 음악적 완성도뿐 아니라 한국인의 정서를 가장 잘 담아 낸 곡으로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신봉하는 가치의 중심이 변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가치가 정립되기 때문에, 산조 역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동시대적 가치를 보유하기 위해 또 다른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이러한 '대중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산조의 발전방향을 시대적가치의 실현, 실험과 사회적 변신, 21세기형 창조적 축제, 융합융화의 도약, 콘텐츠의 사회화라는 다섯 가지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첫째, '시대적 가치'로서의 산조는 크게 전통과 계보를 고수하며 이 시대의 새로운 '더늠'으로서 창작활동을 하는 것과, 산조가 제시하는 기본 형식과 틀 안에 머물면서도 자유롭게 이탈을 일삼는 창작활동을 가리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어느 쪽이든 산조는 새로운 창작에서 '시대적 가치'를 갖는다. 새로운 선율이 가미된 새로운 유형의 산조만이 현대의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대적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가치가 사회적으로 실현될 때, 비로소 산조는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무한한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둘째, 실험과 사회적 변신으로서 '21세기 전통악기의 변모'를 살펴보았으며, 서양음악어법을 연주하기 위해 우리 악기가 변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음악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 악기가 변모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창조성의 사회 확산은 '21세기 새로운 산조축제'로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을 소개하고 설명하였다. 넷째, 융합융화의 도약과 관련해서는 '스토리텔링 산조'와 '미디어아트 도입'을 통해 산조 공연을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는 매개물로서 대중들과 소통시킬 수 있는 공연문화를 제안하였다. 다섯째, 콘텐츠의 사회화에서는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산조가 대중매체의 콘텐츠로 자리 잡아야 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