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guisorba officinalis L. roo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지유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Effect for Foodborne Pathogens from Extract and Fraction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 서고은;김선민;표병식;양선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3-308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prepared fro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ed by evaluating the DPPH radical and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showed that the $SC_{50}$ value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3.85{\mu}g/m{\ell}$. The ethyl acetate fraction exhibited the most effectiv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As for the NO scavenging ability,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that of the extract and other fractions. These results are related to the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was investigat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However, the chloroform fraction had a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negative Vibrio vulnificus than that of the extract and other frac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d a higher antioxidant as well as antimicrobial activity, than did the other samples. Therefore,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s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오이풀 뿌리(Sanguisorba officinalis L. roots)의 다양한 생리 활성 및 항염증 효과 (Various Physiologic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Roots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박승미;오민정;염현지;심미옥;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6-41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다양한 생리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였다.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0 ㎍/ml의 농도에서 93.8%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을 통해 알아본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50 ㎍/ml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99% 이상을 나타내었다. 미백활성 검증을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을 시행하였으며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37.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주름개선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elastase 및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하였으며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84.9%, 90.3%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에 따른 Raw 264.7 cell의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ml 농도 이하에서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이하의 세포 관련 실험에서는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실험을 시행하였다. 오이풀 뿌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NO assay를 측정한 결과 500 ㎍/ml의 농도에서 50.8%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오이풀 뿌리 추출물이 염증발현 억제에 뛰어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w 264.7 cell에 오이풀 뿌리 추출물을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저해를 확인한 결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이풀 뿌리가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의 생리활성과 항염 활성이 있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 가능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AOM/DSS로 유도된 마우스 대장암 모델에서의 Ziyuglycoside-II의 항염증효과 (Ziyuglycoside II Attenuates Tumorigenesis in Experimental Colitis-associated Colon Cancer)

  • 천혜진;김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41-948
    • /
    • 2019
  • Ziyuglycoside-II ($3{\beta}-3-{\alpha}$-1-arabinopyranosyloxy-19-hydroxyurs-12-en-28-oicacid)는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L.)의 주요 활성 화합물 중 하나로 지혈작용, 항산화활성, 항염증활성 등의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염증성 대장암에서의 ziyuglycoside-II의 활성에 관해서는 아직 보고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 azoxymethane (AOM)/dextran sulfate sodium (DSS)으로 유발된 대장암 모델에서 ziyuglycoside-II 항종양활성을 조사하였다. 염증성 대장암을 유발하기 위해 BALB/c 마우스에게 AOM을 1회 복강 주사하고 AOM 투여 1주일 후 총 3 cycle의 2% 농도의 DSS를 음용수로 공급 하였다. Ziyuglycoside-II (1 또는 5 mg/kg)는 1주일에 3회 경구 투여하고, 64일에 대장을 적출하였다. 대장 조직에서의 종양 개수를 관찰한 결과 ziyuglycoside-II의 투여가 종양의 형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Western blot 방법과 면역 조직학 분석의 결과, ziyuglycoside-II의 투여가 대장 조직에서 nuclear factor kappa-B 양성 세포와 염증 관련 단백질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관찰하였다. 또한 ziyuglycoside-II 투여에 의해 대장조직내의 세포사멸이 촉진되었고 cleaved-caspase 3, cleaved-caspase 7과 같은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ziyuglycoside-II의 투여가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세포 자멸을 유도하여 염증성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