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y loam soil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8초

밭작물 소비수량에 관한 기초적 연구(III)-고추 및 가을 무우- (Basic Studies on the Consumptive Use of Water Required for Dry Field Crops (3) -Red Pepper and Radish-)

  • 김철기;김진한;정하우;최홍규;권영현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71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asic data for irrigation plans of red pepper and radish during the growing period, such as total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coefficent of evapotranspiration at each growth stage, the peak stage of evapotranspiration, the maximum ten day evapotranspiration , optimum irrigation point, total readily available moisture and intervals of irrigation date. The plots of experiment were arranged with split plot design which were composed of two factors, irrigation point for main plot and soil texture for split plot, and three levels ; irrigation point with pH1.7-2.0, pF2.1-2.4 and pF2.5-2.8, at soil texture of sandy soil, sandy loam and silty clay for both red pepper and radish, with two replic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1/10 exceedance probability values of maximum total pan evaporation during growing period for red peppr and radish were shown as 663.6 mm and 251.8 mm. respectively, and those of maximum ten day pan evaporation for red pepper and radish, 67.1 mm and 46.9 mm, respectively. 2.The time that annual maximum of ten day pan evaporation can he occurred, exists at any stage between the middle of May and the late of August for red pepper, and at any stage between the late of August and the late September for radish. 3.The magnitude of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efficient for red pepper was occurred large in order of pF1.7-2.0 pF2.1-2.4 and pF2.5~2.8 in aspect of irrigation point and the difference in the magnitude of evapotranspiration and of its coefficient between levels of irrigation point was difficult to be found out due to the relative increase in water consumption resulted from large flourishing growth at the irrigation point in lower water content for radish. In aspect of soil texture they were appeared large in order of sandy loam, silty clay and sandy soil for both red pepper and radish. 4.The magnitude of leaf area index was shown large in order of pF2.1-2.4, pF2.5-2.8, and pFl.7-2.0, for red pepper and of pF2.5-2.8, pF2.1-2.4, pFl.7-2.0 for radish in aspect of irrigation point, and large in order of sandy loam, silty clay, sandy soil for both red pepper and radish in aspect of soil texture 5.1/10 exceedance probability value of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efficient during the growing period for red pepper were shown as 683.5 mm and 1.03, respectively, while those of radish, 250.3 mm and 0, 99. respectively. 6.The time that the maximum evapotranspiration of red pepper can be occurred is in the middle of August around the date of ninetieth to hundredth after transplanting, and the time for radish is presumed to be in the late of September, around the date of thirtieth to fourtieth after sowing. At that time, 1/10 exceedance probability value of ten day evapotranspiration and its coefficient for red pepper is assumed to be 81.8 mm and 1.22, respectively, while those of radish, 49, 7 mm and 1, 06, respectively. 7.Optimum irrigation point for red pepper on the basis of the yield of raw matter is assumed to be pFl.7-2.0 for sandy soil, pF2.5-2.8 for sandy loam, and pF2.1-2.4 for silty clay. while that for radish is appeared to be pF2.5-2.8 in any soil texture used. 8.The soil moisture extraction patterns of red pepper and radish have shown that maximum extraction rates exist at 7 cm deep layer at the beginning stage of growth in any soil texture and that extraction rates of 21 cm to 35 cm deep layer are increased as getting closer to the late stage of growth. And especially the extraction rates have shown tendency to be greatest at 21cm deep layer from the most flourishing stage of growth for red pepper and at the last stage of growth for radish. 9.The total readily available moisture on the basic of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become 3.77-8.66 mm for sandy soil, 28.39-34.67 mm for sandy loam and 18.40-25.70 mm for silty clay for red pepper of each soil texture used but that of radish that has shown the optimum irrigation point of pF2.5-2.8 in any soil texture used. 12.49-15.27 mm for sandy soil, 23.03-28.13 mm for sandy loam, and 22.56~27.57 mm for silty clay. 10.On the basis of each optimum irrigation point. the intervals of irrigation date at the growth stage of maximum consumptive use of red pepper become l.4 days for sandy soil, 3.8 days for sandy loam and 2.6 days for silty clay, while those of radish, about 7.2 days.

  • PDF

연근별 토양이화학성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Panax ginseng Affected by the Annual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Cultivated Soil)

  • 이일호;박찬수;송기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84-91
    • /
    • 1989
  • 인삼재배산지에서 연근별 토양이화학성과 이삼생육변화를 조사하여 토성별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6년근 수량과 결주율에 미치는 토양이화학성의 영향을 구명코저하였다. 1. 산지 6년근 수량은 토성별고 사양토 1.44, 양토 2.13, 식양토 2.46kg/3.3$m^2$이었다. 2. 6년근 결주율은 사양토 51.6%, 식양토 33.6%이었고 묘직경은 3년근부터 사양토가 식양토보다 적었다. 3. 토양입단율과 공극율은 2년근 때보다 6년근에서 증가하였다. 4. 토양무기태질소는 2, 3년근에서 100-120ppm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가 4년근 75ppm, 5년근 34ppm, 6년근 25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사양토에서 감소폭이 컸다. 5. 본 포에서 $P_2O_5$, K, Ca, Mg는 연차간변화가 적었고 토성별로는 사양토가 N, P 함량은 높았고 양이온 함량은 낮았다. 6. 6년근 수량은 점토, 공극율, 수분과 유의성있는 정상관이었고 결주율은 모래, N 함량과 정상관이었다.

  • PDF

객토시 토성이 시설참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Textures by Soil Addi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배수곤;연일권;박소득;강찬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6-161
    • /
    • 2004
  • 시설참외 재배지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객토시 토성이 생육과 과실의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객토시 기존 작토층에 함유된 유ㆍ무기물질들은 교반으로 감소되었고, 토양수분 장력은 점토함량이 낮은 사양토가 양토와 미사질식토 보다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토양경도의 증가폭은 낮았다. 초기 생육은 사양토에서 초장과 엽면적 그리고 지상ㆍ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이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엽록소함량은 낮았다. 과실은 사양토에서 크고 무거웠으며 단도와 색은 미사질식토에서 높게 나타났다. 상품과와 비상품과 수량은 사양토에서 가장 많았으며 또한 발효과 발생률도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토성에서 경도와 과중은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당도는 저장 후 5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되었다. 따라서 시설참외 재배지 객토시 과실의 품질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토성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인공식재지반의 토양배합 및 비료종류에 따른 초본식물의 생육효과 (Effects of Several Soil Composites and Fertilizers to Plant Growing on the Artificial Planting Ground)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
    • /
    • 1999
  • 1. 인공식재지반 토양의 배합특성에 따른 켄터키블루글래스의 초기발아율은 버미큘라이트가 사용된 실험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밭흙의 경우 가장 낮았다. 초장에 있어서는 파종후 약 1개월 후는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혼합구에서(3.0cm), 2개월 후는 "밭흙+훈탄+모래"의 혼합구(5.0cm)에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3개월 후부터는 다시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혼합구(5.0cm)에서 가장 길었다. 피복율은 파종 2개월 후는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파종 3개월 후부터는 "밭흙+부숙톱밥+모래"의 혼합구에서 높은 피복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밭흙의 경우 발아율과 마찬가지로 초장 및 피복율에 있어서 가장 불량한 생육상태를 보였다. 즉, 혼합토양의 경우 단일토양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육상태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혼합한 토양개량재의 특성이 식물생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인공지반상의 토양종류별 시비종류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분석한 결과 먼저 밭흙의 경우 유기질비료의 시용구가 우수하였으며, 버미큘라이트 및 "밭흙+버미큘라이트+모래"의 토양구성에서는 초장 및 피복율은 유기질비료의 처리구에서 우세하였다. "밭흙+훈탄+모래"의 혼합구에서는 비료를 시비하지 않은 무처리구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생육상태를 보이고 있어, 인공지반상의 식재용토로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비료 요구도가 덜 한 것을 알 수 있다. "밭흙+부숙톱밥+모래"의 배합토에서는 초기발아율 및 초장, 피복율에 있어 유기질 비료의 처리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공식재지반의 시비방법에 따른 켄터키 블루글래스의 생장을 종합해 볼 때 초기발아율 및 초장, 피복율에서 유기질비료의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5종류의 토양중 인공식재지반조성시 "밭흙+부숙톱밥+모래"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생육상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시비종류에 따른 식물의 생육상태는 유기질 비료를 시용한 실험구가 가장 양호하였다. 토양종류와 시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무시비구에서는 "밭흙+훈탄+모래", "밭흙+부숙톱밥+모래" 등의 토양에서 생육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그러나 버미큘라이트를 사용한 실험구는 화학비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식재지반용토로 버미큘라이트 등을 사용할 경우 화학비료를 시비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혼합전의 토양과 유기질비료의 몇가지 화학적 특성은 측정되었으나 토양과 비료혼합후의 화학적 특성 등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아 비료혼합후의 이들의 반응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써레질 용수량과 지배요인에 관한 시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Harrow Water Reguirement and the Factors Influenced on It in the Paddy Field)

  • 권영현;윤정목;김철기;한찬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0-95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the harrow water requirement applicable for the irrigation plan of paddy field and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ed on a variation in the requirement. The plots of experiment were arranged with randomized block design which was compo- sed of three kinds of soil texture (sandy loam, loam and silty loam) and ploughing depth (12cm, 17cm, and 22c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arrow water reguirement is not only changed by soil texture, but influenced by soil water content just before irrigating 2. Magnitude of total harrow water reguirement appli(able for the irrigation plan, when surface water depth and the water content just before irrigating is fixed on the basis of 30 mm and a shrinkage limit respectively, generally becomes to be 177.5mm, 116.3mm and 113. 8mm in the sandy loam, loam amd silty loam block, respectively. 3. The more a percolation of soil layer occurs, the more the harrow water requirement increases, but it is not much influenced by the increase in ploughing depth. 4. The larger a porosity of soil layer is, the more a net harrow requirement increases 5.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a variation in the harrow water requirement are appea- red to be percolation of soil layer, soil water content just before irrigating, porosity of soil layer, ploughing depth and designed surface water depth etc.

  • PDF

궤도(軌道)의 장력(張力)이 콤바인의 주행(走行) 성능(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Track Tension on the Tractive Performance of Combine)

  • 박길배;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37-246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effect of track tension on the tractive performance of rice combin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the two in-door soil bins with soil types of loam and sandy loam. The initial track tension was varied by three different values of 0.71, 1.75 and 3.84kN at three different forward velocity settings of 0.17, 0.32 and 0.45m/s, respectively. The data acquisition system was designed and used for the measurement of pull, driving axle torque and its velocity under the test conditions to calculate the tractive efficiency.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effect of the initial track tension on the tractive efficiency was found being significantly dependent on soil types but not on forward velocities. Therefore, the benifit of adjusting the initial track tension may be obtained when the types of soils on which combines operate are changed. 2) In loam, tractive efficiency decreased with increase in track tension. However, it increased in sandy loam until it reached to a peak value and then decreased with increase in track tension. 3) The maximum tractive efficiency of the tested combine was obtained with an initial track tension of about 1.75kN on sandy loam, and below that on loam at about 5% slippage without being noticeably influenced by the forward velocity.

  • PDF

간척지 토양특성과 토양염류도 변화 개관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Salinity Changes in the Reclaimed Tideland of Korea)

  • 이승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Spc호
    • /
    • pp.14-19
    • /
    • 2009
  • 간척지 토양에 대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9개소의 간척지 과제지역에서 약 90여개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였다. 조사 결과 토양은 점토(2-35%), 미사(2.0-80%), 모래(8-95%) 정도로 구성되있고 토성은 주로 사질양토 또는 미시질양토로 조사되었다. 토양 pH는 5.5-9.1, 유기물함량은 $0.5-19.2g\;kg^{-1}$, 총 질소함량은 $4-1159mg\;kg^{-1}$ 그리고 유효태 인산함량은 $3.5-147.7mg\;kg^{-1}$, 전기전도도는 $0.6-31.6dS\;m^{-1}$ 그리고 Na와 Mg 함량은 가리나 칼슘함량보다 높았다. ECesms 표층과 심층 모두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배토양의 수분 및 토성이 시호의 생육상황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and Texture on Saikosaponins Content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Bupleurum falcatum L.)

  • 정형진;신동현;이인중;권순태;임종국;유정민;정규영;김길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5-103
    • /
    • 2000
  • 토성 및 토양수분에 따른 시호근의 생육특성과 saikosaponin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조사해 본 결과, 수분과다 토양에서 는 삼도시 호는 장수시호보다 생육 억제정도가 매우 높았고, 건물중은 과습, 적습, 과건 재배 순으로 높았고, 수분조건에 따른 토성별로는 과건은 식양토, 사양토, 사토 순으로, 적습과 과습시는 사토, 사양토, 식양토 순으로 높았다. 토양수분조건별 saikosapon a, d, c함량은 과건, 적습, 과습 순으로 높았고, 토성간에는 사토, 사양토, 식양토 순으로 높았다. POD 활성은 지상부는 장수시호가 삼도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토양 수분함량간에는 장수는 과건, 과습, 적습 조건 순으로 높았으나, 삼도시 호는 과건, 적습, 과습 순으로 높았다. SOD활성은 지상부와 지하부 공히 장수시호가 높은 경향이나, 수분조건별로는 과건, 과습, 적습순으로 높았으며, 건조상태의 경우 두 품종 모두 사토에서 높았다. 시호에서 뿌리의 Saikosaponin함량과 POD 및 SOD 함량과는 정의상관을 나타내는 경향이었고 줄기 및 뿌리길이와 POD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 PDF

왕겨 바이오차 및 음식물쓰레기 바이오차가 밭 사양토에서 상추발아 및 수용성 유기탄소 용출에 미치는 영향 평가 (Evaluating germination of lettuce and soluble organic carbon leachability in upland sandy loam soil applied with rice husk and food waste biochar)

  • 한경화;장용선;정강호;조희래;손연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69-377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rice husk (RHB) and food waste biochar (FWB) on upland soil with sandy loam texture, in term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lettuce seed germination test, and orgainc carbon leaching experiment. RHB and FWB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each other. Carbon to nitrogen ratio (C/N ratio) of RHB was 32, showing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FWB. FWB had high salt and heavy metal content, compared to RHB. This is probably due to different ingredients and production processing between two biochars each other. Results of germination test with Lettuce showed lower germination rate when FWB was applied because of higher salt concentration compared to control and RHB. Organic carbon leaching test using saturated soil column (${\Phi}75{\times}h75mm$) with $10MT\;ha^{-1}$ biochar application rate, showed higher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rice husk biochar treatment column, compared to control and food waste biochar treatment. The highest total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in column effluent was lower than those in both of rice husk biochar and food waste biochar, whereas the differences was negligible after 9 pore volumes of effluent. Consequently, biochars from byproducts such as rice husk and food waste in sandy loam textured upland soil could enhance a buffer function such as reduction of leaching from soil, but the harmful ingredient to crops such as high salt and heavy metals could limit the agricultural use of biochars.

약용작물(藥用作物)과 그 재배토양(栽培土壤)의 토성별(土性別)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tents in Medicinal Plants and Soils with Soil Texture)

  • 정구복;김복영;김규식;이종식;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8-164
    • /
    • 1996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작물인 당귀, 황기, 길경, 작약, 양유, 천궁, 시호 등의 생약재와 약초재배지 토양 254점을 채취하여 재배지의 토성을 분류하고 토성별 토양 및 생약재중 중금속함량을 분석 검토하여 얻어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약용작물 재배지의 토성별 분포비율은 사양토 46.1%, 양토 26.0%, 양질사토 19.3%, 미사질양토 8.6%이었고 중립질인 양질토양(사양토, 양토, 미사질양토)에서 염농도, 유기물, 치환성 Ca 및 Mg함량이 높았던 반면 조립질인 사질토양(양질사토)에서는 유효태 $P_2O_5$함량이 높았다. 2. 토성별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크롬을 제외한 모든 성분이 양질사토보다 양질토양에서 높았다. 3. 당귀 생약재는 사양토에서 카드뮴, 양토에서 구리 및 크롬함량이 각각 높았고, 황기는 사양토에서 납 및 아연, 양토에서 구리 및 크롬함량이 높았다. 4. 길경 생약재는 양질사토에서 납함량이 높았고, 양유는 양질사토에서 아연, 사양토에서 납함량이 각각 높았고 작약은 사양토에서 납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5. 토성별 토양의 중금속함량과 생약재 간의 관계는 구리는 사양토 및 양토에서, 아연은 양토에서, 크롬은 사양토, 양토 및 양질사토에서 각각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6. 토양 pH와 토양 중 Cd, Pb, Zn 및 Ni함량과는 정의 상관, CU함량과는 부의상관을 보였으며 생약재중 Cu함량과 정의 상관, Cd, Zn 및 Ni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