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bar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205초

Plant Settlement Patterns and Their Effects on Breeding Sites of Little Terns (Sterna albifrons) on Sand Bars on Ganwol Lake

  • Nam, Jong-Min;Yoon, Ji-Hyun;Kim, Heung-Tae;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37-43
    • /
    • 2008
  • We analyzed soil characteristics, soil seed banks, and plant communities in a small islet in Ganwol Lake from May 2005 to August 2006 to examine the forces driving plant settlement on sand bars and the effects of plant settlement patterns on nesting sites of little terns (Sterna albifrons). The soil nutrients contents in a site where the feces of wintering birds accumulate (N: 15.4 mg/kg, P: 10.5 mg/kg, LOI: 0.51 %, pH: 6.8) and a site where organic sediments accumulate (N: 20.7 mg/kg, P: 16.4 mg/kg, LOI: 0.40%, pH: 6.6) were much higher those of a control site which was not affected by bird feces and organic sediments (N: 4.1 mg/kg, P: 5.4 mg/kg, LOI: 0.41%, pH: 6.7). However, a seed bank was formed only on the site with accumulated organic sediments. Plant settlement was accelerated by feces from wintering birds and organic sediment accumulation on sand bars in Ganwol Lake. The percentage of area disturbed by human activities increased from 0.2% in May 2005 to 13.9% in August 2006, and the percentage of annual communities increased from 27.5% to 43.3%, but the percentage of open area decreased from 55.2% to 28.0% from May 2005 to August 2006. These increases in disturbed area and annual communities decreased the open area for breeding of little terns. The enlargement of P. communis and T. angustata communities was suppressed by irregular flooding.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little tern breeding sites for conservation purposes.

댐 하류 충적하천에서 식생이입 및 천이 - 낙동강 안동/임하 댐 하류하천을 중심으로 - (Recruitment and Succes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Alluvial River Regulated by Upstream Dams -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Downstream Andong and Imha Dams -)

  • 우효섭;박문형;조강현;조형진;정상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455-469
    • /
    • 2010
  • 낙동강 상류에 위치한 안동, 임하 댐 하류 하천에서 두 댐에 의한 충적하천의 변화와 식생이입 현상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하천형태 및 하상재료 분석 결과, 댐 하류는 전반적으로 저하되었고 일부 구간은 최대 3m 이상 세굴 되었다. 하상재료도 전반적으로 임하댐 건설 전 평균 1.5mm에서 건설 후 2.5mm로 조립화되었다. 댐 건설로 인한 하상소류력의 감소는 사주에 식생 활착을 촉진시켰으며, 그 결과 사주의 식생이입률은 1971년 자연 상태에서 8% 수준에서 안동댐 건설 후 1988년에 25%로 증가하였다. 임하댐이 완공된 1992년 이후 사주 상 식생이입은 가속화되어 겨우 3년이 지난 1995년에 사주 식생이입률은 43%가 되고, 그 후 10년이 지난 2005년에는 74%까지 증가하였다. 세부조사구간 중 하나인 윗절에서 항공사진에 의한 식생천이 현상을 분석한 결과 모래와 자갈이 노출된 '맨' 사주에서 시작하여 큰개여뀌, 달뿌리풀, 버드나무류 유식물 등 개척 단계를 지나, 일부 달뿌리풀은 유지되고 버드나무 관목이 등장하고 나중에는 선버들이나 왕버들 같은 교목림으로 정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회마을 앞과 강 건너 점 사주의 경우 타 논문에서 기제시된 여건 등으로 2005년 항공사진에서 식생이입은 억제되는 것으로 보였지만, 2009년에 촬영한 사진에 상당 부분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사주 상 식생이입의 가속화는 구담습지 등 자연 상태의 모래하천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배후습지를 창출하여 환경적으로 종의 다양성이 커져서 서식처로서 가치 자체는 높아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댐에 의한 홍수량 감소와 그에 따른 하상소류력 감소가 사주 상 식생이입 및 활착을 가속화시켰다는 가설은 대표 단면에서 무차원 하상전단응력의 검토 결과 확인되었다.

도시하천 하도구조와 경관의 계절변화 - 춘천시 공지천을 중심으로 - (Seasonal Changes in Structure and Landscape of Urban Stream Corridor - In the Case of Gongji Stream in Chuncheon-)

  • 조현길;한갑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8호
    • /
    • pp.739-7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asonal changes in structure and landscape of Gongji stream corridor in Chuncheon, and to suggest some guidelines to contribute to creating a desirable close-to- nature stream. The study seasonally surveyed floodplain and revetment conditions, channel micro-topography, streamflow level and velocity, and vegetational cover. Flooding, water level, and vegetation were major factors of affecting seasonal changes in streambed structure and stream landscape. Small sand bars and islands were considerably disturbed by flooding and water level change. However, large islands and sand bars in the upper and middle section of the study stream remained or reappeared even after flooding. Flooding also tended to repeat channel sedimentation at the same spot. Controlling water volume of the Euiam Lake, which is adjacent to the study stream, caused higher water level downstream in the dry seasons. The majority of vegetation in sand bars and islands was washed away by the floods. Vehicle passing, crop cultivation, and ball game were other elements which disturbed vegetation in the floodplain. Creating a close-to-nature stream should reflect micro-topographical changes of channel by flooding, prevent improper vehicle entry and human use, and remove concrete material in the revetment and floodplain.

두만강 하류 사구지형의 특징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process of sand dunes at the lower reach of the Duman river, Korea and China)

  • 주철;이민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40
    • /
    • 2012
  • 두만강 하류의 사구는 주로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 풍향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구가 발달한 지역의 인근 두만강 하상에는 사질성의 사주와 하중도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기술과 입도특성분석으로 볼 때 연구지역 사구의 형성과정은 퇴적환경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회룡봉, 경신-원정 및 두만강변 사구는 두만강이 운반해온 충적물이 하상에 퇴적되고, 다시 바람에 의해 인근의 사주단, 단구면과 보다 고도가 높은 침식 구릉지 등에서 퇴적된 것이다. 둘째, 방천-노동자지역에서의 이동사구는 첫 번째 유형과 유사하게 형성되었지만, 정착 사구는 수중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사료된다.

Accelerated Seaward Growth of Tidal Sand Bar during Giant Dyke Construction off the Mangyung River Mouth, West Coast of Korea

  • Lee, Hee-Jun;Choi, Kang-Won;Eo, Dae-Su;Chu, Yong-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6권3호
    • /
    • pp.72-82
    • /
    • 2001
  • The progress of giant dyke construction off the Mangyung and Donajin rivers, has yielded enormous impact on the estuarine environment, both hydrodynamically and sedimentologically. Especially the inter-dyke gap in the northern Saemankeum area, 4 km wide between Yamido and Piungdo, has acted as an artificial tidal inlet. Due to such a changed geometry, tidal regime has been reversed from being flood- to ebb-dominated with a directional change from NE-SW to E-W. As a result, a large tongue-like tidal sand bar (named Saemankeum Bar) has conspicuously grown seaward through the artificial tidal inlet. The Saemankeum Bar composed of well-sorted very fine sands (3.0-3.5${\phi}$) has grown at a rate of 1.63 km/yr for the past three yews (1996-1998). Such a rapid growth of the sand bar is attributed to enhanced sediment supply derived from the degradation of former tidal sand bars at the mouth of the Mangyung River. Eventually the reworking of the tidal sand bars also caused the pre-existing tidal channels to be wider, deeper and more straightened. All of these phenomena well examplify the critical effect of artificial modifications on the natural estuarine environments.

  • PDF

Bond properties of steel and sand-coated GFRP bars in Alkali activated cement concrete

  • Tekle, Biruk Hailu;Cui, Yifei;Khennane, Amar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5권1호
    • /
    • pp.123-131
    • /
    • 2020
  • The bond performance of glass fibre reinforced polymer (GFRP) bars and that of steel bars embedded in Alkali Activated Cement (AAC) concrete are analysed and compared using pull-out specimens. The bond failure modes, the average bond strength and the free end bond stress-slip curves are used for comparison. Tepfers' concrete ring model is used to further analyse the splitting failure in ribbed steel bar and GFRP bar specimens. The angle the bond forces make with the bar axis was calculated and used for comparing bond behaviour of ribbed steel bar and GFRP bars in AAC concrete. The results showed that bond failure mod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bond stress of the specimens at failure. In case of pull-out failure mode, specimens with ribbed steel bars showed a higher bond strength while specimens with GFRP bars showed a higher bond stress in case of splitting failure mode. Comparison of the bond stress-slip curves of ribbed steel bars and GFRP bars depicted that the constant bond stress region at the peak is much smaller in case of GFRP bars than ribbed steel bars indicating a basic bond mechanism difference in GFRP and ribbed steel bars.

하구사주의 생성 및 발달을 해석하기 위한 수치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Numerical Model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River Mouth Bars)

  • 김연중;우정운;윤종성;김명규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308-320
    • /
    • 2021
  • 해안침식의 근본적 대책으로서 감소한 공급 토사량 회복을 포함한 종합 토사관리 대책이 유효하지만, 계획에 있어서는 하천에서 바다로 유출된 토사 가운데 어느 정도의 양이 어느 정도의 속도로 해안에 다시 공급되는 토사량의 평가와 이를 위해서는 하천과 바다의 결절점인 하구지역에서 발생하는 토사의 이동 메커니즘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홍수 시의 하구사주 붕괴(flushing) 과정을 해석하는 수치모델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하구사주의 형성 및 발달 과정을 해석하는 수치모델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연구 진행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합토사관리를 위해 유출된 토사가 회복되는 토사량의 평가를 위해 파랑변형, 유황계산 및 지형변화 모델을 구축하여 하구사주의 생성과정을 수치해석을 통한 재현을 목적으로 한다. 하구사주의 생성과정을 모의하였으며 에너지 파랑 및 작용 시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장기간 표사이동의 예측을 실시하였다. 계산에 필요한 외력조건은 하구사주가 지배적으로 발달하는 동계시 작용하는 파랑조건과 하천의 유량을 고려하였으며 초기지형은 홍수시 마읍천의 하구사주가 붕괴(flushing)된 직후의 지형정보를 초기조건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입사파향에 따라 해빈류에 의해 하구사주의 발달과 생성과정을 재현하였으며 초기지형으로부터 약 66시간 경과 후 맹방하구 사주의 형태로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사 코팅 방법에 따른 FRP Hybrid Bar의 부착강도 평가 (Evaluation of Bond Strength for FRP Hybrid Bar According to Coating Methods using Silica Sands)

  • 정규산;박기태;유영준;서동우;김병철;박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18-125
    • /
    • 2017
  • 본 논문은 FRP Hybrid Bar의 최적 부착 성능 도출을 위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FRP Hybrid Bar는 이형 철근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형 철근 외측에 유리섬유를 감싸 만들어졌다. 콘크리트와의 부착 성능 향상을 위해 매끈한 FRP Hybrid Bar 표면에 수지와 규사를 이용하여 코팅하였고 수지의 종류 및 점도, 그리고 규사의 크기를 실험 변수로 하여 FRP Hybrid Bar의 부착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FRP Hybrid Bar의 부착 성능 평가를 위해 한 변의 길이가 200 mm인 정육면체 콘크리트 블록에 FRP Hybrid Bar를 매립하였고, 인발 실험을 통하여 FRP Hybrid Bar와 콘크리트의 계면에서의 최대 하중과 슬립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각 실험 변수에 따른 최대 하중 및 부착 강도를 산정하였고 FRP Hybrid Bar의 부착 성능이 가장 우수한 수지 종류 및 점도, 그리고 규사 크기를 도출하였다. 에폭시 수지와 5호 규사를 사용한 실험체의 최대부착강도는 이형철근의 최대부착강도 대비 약 35% 정도 증가되었다.

수중 불분리성 콘크리트의 부착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Bond Strength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 김명식;김기동;윤재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89-99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ond strength propertie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The arrangement of bars (vertical bar, horizontal upper bar, horizontal lower bar), condition of casting and curing (fresh water, sea water), type of fine aggregate (river sand, blended sand(river sand : sea sand = 1:1), and proportioning strength of concrete (210, 240, 270, 300, 330kgf/$\textrm{cm}^2$)a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parameters. The test results(ultimate bond stress) are compared with bond and development provisions of the ACI Building Code(ACI 318-89) and proposed equations from previous research(which was proposed by Orangun et. a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ultimate bond stres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which arranged bar on the horizontal lower, used the blend sand, and was cast and cured in the fresh water are higher that other conditions. The ultimate bond stres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 SQRT {fcu }) }}3 2. From this study, rational analytic formula for the ultimate bond stress are to be from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충적하천 사행하도에 발달한 사주에서의 식생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s in Fluvial Meandering Stream)

  • 이삼희;옥기영;최정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58-665
    • /
    • 2008
  • 충적하천의 이중 만곡부지형에 위치한 낙동강 하회마을은 한국내 대표적인 이동상 모래사주 구간이다. 그러나 상류에 댐이 건설된 이후 첨두유량이 조절되고 유사량 공급이 감소하면서, 하회마을구간에서는 모래사주의 이동성 저하, 사주의 식생정착 및 식생역이 확장현상이 나타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댐하류에 존재하는 하천의 대표적인 현상으로서 국내 외적으로 하도내 사주와 식생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회지구에서 모래사주의 지형변화에 따른 원인과 식생역의 확장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수리, 지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식생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홍수기 동안 만곡부 내측에 워시로드와 부유사의 퇴적작용으로 영양물질의 함량이 높은 매트릭스가 형성되면서 선구식물의 침입하게 되고, 일정기간의 무홍수 기간을 거치는 동안 천이과정을 거쳐 사주식생이 정착하게 되며, 이후 반복적인 홍수는 식생정착부의 유사퇴적을 촉진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토성의 변화를 가져오면서 식생역의 확장을 유발하게 된다는 메카니즘을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모래사주에서 식생역의 확장과정이 반복적인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출현과 유사이송, 그리고 토양의 영양물질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