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via miltiorriza extrac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단삼 추출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작용 및 사료 적용 시험 (Antibacterial Effect of fish Diet Soaked in Salvia miltiorriza Extract)

  • 목종수;송기철;최낙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57-163
    • /
    • 2001
  • 단삼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어류질병에 대한 천연 항균약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최소증식억제농도, 최소살균농도 및 어류사료에 적용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단삼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그람음성균에 대하여는 항균활성이 약하였다. 단삼 추출물의 그람양성균에 대한 최소증식억제농도는 13.4 ~40.3 $\mu\textrm{g}$/ml이었으며, 67.2~403.0 $\mu\textrm{g}$/ml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보였다. 그러나 그람음성균인 Edwardsiella tarta에 대하여는 403.0 $\mu\textrm{g}$/ml를 첨가하여도 살균작용은 물론 균 증식을 억제하지도 못하였다. 사료를 단삼 추출액에 침지시 적정 침지시간은 10분이었고, 단삼 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는 사용된 모든 어류질병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10.5~14.5 mm의 저해환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Streptococcus 속 및 Vibrio anguillarum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료 중량에 따른 추출물 흡수량은 식 Y=2.4953X+3.3276 ($R^2$=0.9999)으로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단삼추출물에 침지시킨 사료의 항균활성은 저장온도 10~35$^{\circ}C$에서 28일까지 안정하였다.

  • PDF

단삼에 의한 Candida albicans 바이오필름 발달의 억제 (Growth of Candida albicans Biofilm is Inhibited by Salvia miltiorrhiza)

  • 이흥식;김연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65-472
    • /
    • 2019
  • Candida albicans는 기회감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병원성 진균 중의 하나이다. 캔디다증 치료과정에서 항진균제에 대한 내성이 흔히 발견되는데, 그 이유는 Candida가 바이오필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우리는 단삼(Salvia miltiorriza)의 에탄올추출물이 세포막의 투과성을 변화시키고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10개 C. albicans 임상균주가 형성한 초기단계의 바이오필름을 대상으로 XTT 환원분석법으로 대사활성을 측정하니, $78{\mu}g/ml$ 단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바이오필름의 대사활성이 평균 51.3% 감소되었다. C. albicans 세포들이 폴리스티렌 표면에 부착하거나 germ tube를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영향을 현미경으로 분석하니, $39{\mu}g/ml$ 단삼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부착된 세포의 밀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germ tube 형성은 거의 억제하지 못했다. 단삼 에탄올추출물이 C. albicans SC5314 세포의 균사에 특이적인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qPCR로 분석한 결과, EAP1은 34.7% (p < 0.001), ALS1은 45.0% (p < 0.001), ALS3는 48.1% (p < 0.001), ECE1은 21.3% (p = 0.006)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단삼의 에탄올추출물은 초기단계의 C. albicans 바이오필름 발달을 효율적으로 저해하며, 이는 EAP1, ALS1, ALS3 유전자의 발현억제에 따른 세포부착 억제와 관련이 있다. 더불어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C. albicans 세포막 기능저해와 세포벽 합성억제에 의한 구조변화 또한 세포부착단계에서의 바이오필름 발달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