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vage operat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1초

구조함정 Wet Bell Diving System 운용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peration Performance of Wet Bell Diving System in the Salvage Ship)

  • 최우석;장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76-183
    • /
    • 2020
  • 구조함은 수색 및 구조작업을 위하여 크게 세 가지 형태의 잠수체계(Diver Stage Diving, Wet Bell Diving 및 Scuba Diving)를 보유하고 있다. 어떠한 잠수체계를 활용하더라도 잠수요원이 잠수작업 완료 후 상승 시에는 잠수병 예방을 위하여 잠수작업수심 및 잠수 총 시간에 해당하는 감압표에 따라 감압절차를 준수하여야 한다. 감압절차는 크게 수중감압방법과 수중 및 함상감압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방법으로 나뉘게 된다. 특히 수중 및 함상감압을 함께 수행하는 방법의 경우 U.S Navy Diving Manual에 따라 수중감압에서 함상감압으로 넘어가는 단계인 Surface Interval이 5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실선 테스트결과 Wet Bell Diving에서 Surface Interval이 5분을 초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든 가능한 원인을 식별하여 원인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된 Wet Bell Diving의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개선된 잠수체계의 실선 테스트에서 Surface Interval이 5분 이내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잠수체계의 운용 및 개선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 평가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Assessment Module Formulation for the Trapped-Oil Recovery Operations from Sunken Vessels)

  • 강광구;이은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8-96
    • /
    • 2021
  • 각종 해양사고로 인해 유조선, 대형 여객선 및 화물선 등이 해저에 침몰하는 경우 선적된 화물유 또는 연료유는 해양환경에 대한 직접적 위험요소로서 안전하고 신속한 제거가 요구된다.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에서는 국내외 구난업체가 현장여건을 반영하여 다양한 방법 및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나 작업과정 전반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모듈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잔존유 회수작업 평가모듈 설계를 목적으로 상이한 작업환경에서 수행된 작업사례들의 자료를 조사하여 작업과정 단계를 사전준비, 작업실행, 작업완료 단계로 구분한 후 세부공정별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이 핵심요인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들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평가모듈을 설계하였다. 평가에서 특정인의 주관적 의견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최대한 계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 지표들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잔존유 회수작업 사례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일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침몰선 잔존유 회수작업 방법 및 기술 평가모듈을 각 회수작업의 사전 또는 사후 적정성을 검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과거 또는 미래의 여러 작업사례 평가데이터 축척 및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잔존유 회수작업 전반에 대한 안전성, 효율성, 현장적용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후두 및 하인두 편평세포암종에서 Level I 경부청소술의 유용성 (The Effectiveness of Level I Neck Dissect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 박만호;허성철;유승주;남순열;김상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7-151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Metastasis to the submental and submandibular lymph nodes rarely occur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and hypopharynx.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evel I neck dissect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Materials and Methods : Forty-thre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ositive cervical nodal involvement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treated between 1989 to 1998 were reviewed.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including level 1,28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excluding the level 1. Results : The regional recurrence at the level I in patients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excluding the level I, was shown in only one case (recurrence rate 3.6%), but this patient was efficiently managed with salvage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No recurrence was shown in patients treated with neck dissection including the level I. So, total recurrence rate at the level I was 2.3%.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dissection of the level I is not justified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larynx and hypopharynx even if metastasis to cervical lymph node was confirmed preoperatively (cN+).

  • PDF

골육종의 예후인자 (Prognostic factors in Osteosarcoma)

  • 전대근;이종석;김석준;양현석;이수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1997
  • Osteosarcoma is the most common primary bony malignancy and its survivorship has been progressed markedly through refined chemotherapy and surgery. But still there are many non-responders and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may be helpful for them. Two hundred and sixty-six patients were enlisted between Mar, 1985 and Sep. 1994. Among them our inclusion criteria were: 1)primary, nonmetastatic classical osteosarcoma 2)extremity in location 3)no prior treatment at other institute and completed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surgery according to our protocol. One hundred and eleven cases were eligible. Analyzed factors were:age, sex, location, tumor size, and pathologic response. Statistical methods were log-rank test for univariate and Cox's test for multivariate analysis. Male to female ratio was 69:42 with an average age of 17.2 years. Locations of tumor were distal femur 59, proximal tibia 29, and proximal humerus 8. Tumor size were measured by its maximal diameter and 48 cases were above 10cm and 47 cases were below 10cm. For pathologic response, 57 cases showed more than 90% and 54 cases were less than that. Limb salvage procedure was 101 cases and amputation was 10 cases and their local recurrence rate were 3.6%. Average follow-up period was 24(9-78.2) months and their final status was CDF 86, AWD 8, NED 5, and DOD 12 cases. In univariate study: type of operation(p=0.005), tumor size(p=0.005), and pathologic response(p=0.02) were significant variables. Pathologic response(p=0.03) and type of operation(p=0.01) were meaningful prognostic factors on multivariate analysis. But the latter result was interpreted as a bias, so pathologic response remained as a sole meaningful prognostic factor. More aggressive chemotherapy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survival.

  • PDF

대동맥하단부-장골동맥의 급,만성 폐쇄성 동맥질환 2례 (Surgical Treatment of Aortoiliac Arterial Occlusion: Report of 2 Cases)

  • 마중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권1호
    • /
    • pp.19-24
    • /
    • 1972
  • The recent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surgery as well as aortoarteriogaphy has been established excellent operative result with great aid of limb-salvage. However, less consideration or less experience still exists on the regard of vascular accident and vascular disease, as well as vascular surgery in Korea. During the last 13 years, we experienced only two cases of aorto-iliac occlusion,acute and chronic, regardless of having had more than 300 cases of mitral valvotomy and gradual increasing tendency of arteriosclerosis and hypertension in Korea. Therefore it is noteworthy to report the cases in order to promote the consideration for vascular surgery. Case 1; 52 year old female who had 20 years history of mitral stenosis with uricular fibrillation and received medical treatment for recent 1 year in the medical department. 10 days before admission, acute saddle emboli developed and 15 days after the onset, embolectomy through both common femoral arteries on the groin and abdominal approach was made. The progression of emboll to the right popliteal bifurcation was found by arteriography on operating table and retrograde flushing with heparin solution by the polyethylene catheter inserted through posterior tibial artery. The operation was successful, but 9 hours after operation sudden death occurred. Considering this case, first, mitral valvotomy already before might prevent peripheral embolizatlon, secondarily, the more early detection and surgery might also prevent the progression of emboli. Thirdly, although preoperative or postoperatlve heparinization is controversial for mitraI stenosis, heparinization might prevent additional emboli to vital organs in this case Cases 2; 66 year old female who had 4 years history of left hip and calf intermittent claudication and has had rest pain, inability to walk and ischemic necrosis on the the left leg since last 3 months prior to admission to the orthopedic department under the suspicion of herniated disc. Absence of pulsation on the groin and aortography evidenced aortoillac occlusion predominantly on the left side. Thromboendarterectomy was made and the operative result was successful with absence of claudication, healing of ulcer and aortographic patency of occlusive site. This chronic occlusion is considered to result from arteriosclerosis in origin with the evidence of moderate hypertension, x-ray evidence of calcified plaque on the aortic knob and operative finding of palpable plaques.

  • PDF

Outcome of Limited Resection for Lung Cancer

  • Cho, Jeong-Su;Jheon, Sang-Hoon;Park, Sung-Joon;Sung, Sook-Whan;Lee, Choon-Tae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51-57
    • /
    • 2011
  • Background: Up to now, lobectomy, bilobectomy and pneumonectomy combined with extensive lymph node dissection have been regarded as the standard procedures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n high-risk patients, however, limited resection (LR) has been attempted as a salvage procedure, and, recently, indication for LR has been extended to selected cases with early-stage NSCLC. Material and Methods: Among the 773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procedures for NSCL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May 2003 to December 2008, 43 patients received LR. Medical records of these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Mean age at operation was $66.0{\pm}12.4$ years, and there were 30 males. Twenty-five patients underwent conservative limited resection (CLR) and 18 underwent intentional limited resection (ILR). Indications for CLR were multiple primary lung cancer in 9 (9/25, 36%) and severe concomitant diseases in 5 (5/25, 20%). Of these, 6 patients underwent segmentectomy and 19 received wedge rese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28.0{\pm}17.8$ months, 15 patient developed recurrent lung cancer. ILR was selectively performed in lesions almost purely composed of ground glass opacity (${\geq}$95%), or in small solid lesions (${\leq}$2 cm). Of these, 11 patients underwent segmentectomy and 7 underwent wedge rese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of $31.7{\pm}11.6$ months, no patient developed recurrence. Conclusion: Intermediate-term outcome of LR for early-stage lung cancer is comparable to that of standard operation. For the delineation of the indications and 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s for LR, prospective randomized multi-institutional study may be expedient.

하지동맥 재건술 후 폐쇄성 합병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Occlusive Complications after Lower Limb Arterial Bypass Surgery)

  • 김종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52-156
    • /
    • 2005
  • 배경: 동맥 재건술 후에 발생하는 폐쇄성 합병증은 치료가 어렵고 재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동맥 재수술에 관하여 임상양상 및 수술방법, 사용된 이식편, 술 후 결과들을 분석하여 이식편 폐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치료 방침을 세우는 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173명의 동맥재건술 후 재수술을 받은 33명(55예)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임상적 특성과 치초 수술의 유형, 재수술시까지의 경과한 시간, 사용한 이식편, 치료의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33명 중 32명이 남자였고 재수술 당시의 평균연령은 63.5세였다. 첫 수술에서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11.9개월이었고 원인질환은 동맥경화증이 28예, 버거씨병 5예였다. 동반된 질환은 고혈압 19예, 당뇨병 11예, 심부전 6예 등의 순이었다. 한 환자당 평균 1.67회의 재수술이 시행되었고 치초의 수술유형은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이 19예로 가장 많았다. 수술에 사용되었던 이식편은 PTFE가 25예, Dacron이 6예였고 이식편에 따른 재수술률은 차이가 없었다. 재수술은 혈전제거술이 20예, 혈관 성형술 18예, 우회로 재조성술이 13예, 요부 교감신경절제술이 4예에서 시행되었다. 재수술의 결과는 하지의 기능회복이 15명, 하지보존 7명, 슬상부절단 5명, 슬하부 절단 3명, 사망 3명이었다. 걸론· 하지 동맥 재건술 후 발생하는 폐쇄성 합병증은 유입 동맥이나 유출동맥의 폐쇄가 발생하며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치료의 방침은 최초의 수술방법과 사용된 이식편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무엇보다도 이식편의 감시가 중요한데 이차 수술의 시행빈도가 가장 높은 시기인 술 후 1년 이내의 이식편 감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재우회로술 뿐만 아니라 방사선학적 중재술 및 교감신경 절제술과 같은 부가적인 치료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하지 보존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중기 추시 결과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Intermediate-term Follow Up in $MUTARS^{(R)}$ Tumor Endoprostheses)

  • 강동준;김정일;오종석;문태용;이인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3
    • /
    • 2011
  • 목적: 사지의 악성 골 종양에서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중기 추시에서 합병증 발생과 기능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받은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9.2세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39.8개월이었다. 후향적으로 최종 추시에서 합병증을 분석하고 Enneking 기능 점수와 ISOLS 방사선학적 대치물 평가 체계를 이용하여 기능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3명이 사망하였고 4명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1명이 국소 재발하였다. 12명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창상 및 심부감염 6명, 하지 부동 2명, 방사선학적 이완 2명, 대퇴골 골절이 1명, 나사못의 이완이 1명이었다. 최종 추시 시 기능적 분류 척도의 평균 점수는 근위 대퇴골에서 81.2%, 원위 대퇴골에서 77.4%, 근위 경골에서 78.1%, 근위 상완골에서 80.2%였으며 방사선학적 결과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MUTARS^{(R)}$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기능적, 방사선학적으로 만족할 만한 방법이지만 감염 등의 합병증에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s of Ovarian Dysgerminoma)

  • 정은지;서창옥;성진실;금기창;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21-228
    • /
    • 1996
  • 목적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 국소 제어율, 치료 실패 양상, 생존율 등 치료 성적을 분석해 보고,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13 환자들에서의 적절한 치료 방침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5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연세 의대 신촌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34명의 난소 미분화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예의 gonadoblastoma(46,XY)와 3예의 혼합 배세포종(mixed germ cell tumor)을 제외하고 나머지 순수 미분화세포종(pure dysgermlnoma) 환자 29예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치료 방법에 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성적을 분석하였다. 1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21예였고,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군으로 8예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8-39세였고 중앙치는 23세였다. 진단 시 임상 증상은 촉지되는 복부 골반부 종괴가 가장 호발하였다. 병기는 I이 23명으로 $89.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병기 I, II에서는 전복부조사 20-25 Gy, 골반부에 축소하여 10-15 Gy 추가 조사하였고 종격동과 쇄골 상부의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II기 이상의 진행된 병기에서 20-26 Gy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추적 관찰 중앙치는 80개월(13-201개월)이었다. 결과 :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인 1군(21예)은 전원 국소제어 및 무병 생존중이었다.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8예인데 이중 6예에서 국소 재발지 발생하여 4예는 구제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1예는 항암화학요법을 1예는 재수술만 시행 받았다. 구제 치료 결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4예중 3예, 항암화학요법 받은 1예 및 재수술을 받은 1예는 완치되었으나, 1예만 암종증(carcinomatosis)으로 진행되어 방사선치료후 11개월에 사망하였다. 그러므로 29예 전체의 5년 국소 제어율 및 5년 생존율은 $96.6\%$(28/29)였다. 일측 난소에 국한된 병기 la 환자 13예 중 7예는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은 전원 국소제어 되어 20-201개월간(중앙치 80개월) 무병 추적 관찰 중이나, 수술로 일측 난소난 관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없이 지내던 6예의 환자 중 5예에서 재발하였으나 이들 모두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재수술 등의 구제치료에 성공하였다. 즉 13예의 병기 la 환자 전원이 20-201개월간 무병 생존 중이다. 결론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부가함으로 종양의 크기, 병기, 수술법에 관계없이 $100\%$ 국소 제어율 및 $100\%$ 5년 생존율을 획득하였다. 수술후 재발한 경우라도 암종증(carclnomatosis)이나 복부 이외의 장기에 원격 전이가 없다면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또는 재수술로 구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la 환자에서는 보존적 수술인 일측 난관난소절제술만 시행하고 추적 관찰하는 것도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겠다.

  • PDF

4세 소아 대퇴골 골육종의 슬관절 보존형 절제 및 재건술 - 증례 보고 - (Knee Joint Sparing Tumor Resection in 4years-Old Patient with Osteosarcoma - A Case Report -)

  • 조완형;조상현;원호현;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2
    • /
    • 2008
  • 악성 골종양의 사지 구제술이 보편화 되었으나 슬관절 주위의 골육종환자 중 예상되는 하지부동이 5 cm 이상 되는 경우의 재건 술식의 선택은 아직 논란이 많다. 양측 골단판 중 하나를 희생하는 것이 불가피한 미성숙 소아의 슬관절 주위 악성골종양에서 가장 이상적인 재건술은; 1)인접 골 단판을 손상하지 않고, 2)가동관절을 유지할 수 있으며, 3) 일차술식이 추후 하지 연장술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4세 원위 대퇴골 간부 골육종을 분절절제술 후 저온 열처리 자가골 재삽입술로 재건하였다. 술 후 6개월에 대퇴골 과 열처리 자가골 근위부의 불유합, 열처리 자가골의 흡수 및 파괴 와 내고정물의 해리가 발생하여 환자의 근위 대퇴골을 동종골 간단부에 안착시키는 술식을 이용하여 3개월 만에 근위부 골유합을 얻었으며 기능적 결과도 양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