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ing out effec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n-Alkylamine Hydrochlorides on the Cloud Point of Nonionic Polyoxyethylated Surfactant

  • Han, Suk-Kyu;Kim, Young-Mi
    • 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6-161
    • /
    • 1976
  • The salting in and salting out of Octoxynol, N.F., a nonionic polyoxyethylated surfactant by n-alkylamine hydrochlorides w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ir effect on the cloud point of the surfactant at various salt concentrations. The carbon number of the alkyl chain was varied from zero to twelve. Ammonium chloride, methylamine hydrochloride and ethylamine hydrochloride tended to salt out the surfactant, lowering its cloud point in proportion to the salt concentration. n-Ankylamine and n-butylamine hydrochlorides showed salting-out effect at low concentrations of the electrolyte, while their effects were leveled off and showed rather salting-in trend at higher concentrations of the electrolyte. These salting-in effect was ascribed to the formation of a hydrotropy of the n-alky lammonium cations with the surfactant. The higher homolog compounds of n-alkylamine hydrochlorides showed extraordinarily high salting-in effect at very low oncentrations of the electrolyte. These large salting-in effects were more drastic as the chain length was getting longer. These large increases of the cloud point of the surfactant wer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mixed micelles of n-alkylammonium cations with the polyoxyethylated surfactant.

  • PDF

투과증발공정을 이용한 물-알코올계에 대한 금속이온이 치환된 이온교환막의 염효과 연구 (Salt Effect of Metal Ion Substituted Membranes for Water-Alcohol Systems Using Pervaporation Processes)

  • 임지원;전지현
    • 멤브레인
    • /
    • 제11권3호
    • /
    • pp.133-139
    • /
    • 2001
  • PVA/SSA-$H^{+}$으로 제조된 막은 1가 이온 $Li^{+}$, $Na^{+}$, $K^{+}$, 2가 이온 $Mg^{2+}$, $Ca^{2+}$, $Ba^{2+}$, 3가 이온 $Al^{+}$로 치환되었다. 각 금속이온이 치환된 막의 금속이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물-에탄올 및 물-메탄올 혼합용액에 대하여 팽윤도 및 투과증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의 치환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부분적으로 ESCA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물-에탄올 및 물-메탄올 혼합용액에 대한 팽윤도는 $Li^{+}$> $Na^{+}$>$K^{+}$의 순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금속이온의 `salting-out'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2가 및 3가이온의 경우의 팽윤도 결과는 `salting-out' 효과뿐만 아니라 electrostatic 가교 및 금속이온의 반응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투과증발실험을 통한 투과도면에서는 물-에탄올 용액에 대해 PVA/SSA-$Na^{+}$막에서 최소치를 보였다가 PVA/SSA-$K^{+}$막에서 다시 증가하는 결과를 얻은 반면에 선택도는 반대의 경향을 얻었다. 대표적 분리 결과는 $50^{\circ}C$에서 90%에탄올 수용액에 대하여 투과도는 59 g/$m^{2}$hr, 선택도는 44의 값을 얻었다. 물-메탄올 용액에 대해서는 1가이온의 경우 에탄올 용액과 같은 경향의 결과를 얻었으나 2가 및 3가 이온의 경우 팽윤도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salting-out' 효과 그리고 electrostatic 가교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 PDF

Influence of Inorganic Salts on Aqueous Solubilitie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Yim, Soobi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3호
    • /
    • pp.23-29
    • /
    • 2003
  • Setschenow constants of six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based electrolytes (i.e., NaCl, KCl, CaCl$_2$, K$_2$SO$_4$, Na$_2$SO$_4$, NaClO$_4$) for thre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e., naphthalene, pyrene, and perylene)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 variety of inorganic salts on the aqueous solubility of PAHs. Inorganic salts showed a wide range of K$\_$s/ values (L/mol), ranging from 0.1108 (NaClO$_4$) to 0.6680 (Na$_2$SO$_4$) for naphthalene, 0.1071 (NaClO$_4$) to 0.7355 (Na$_2$SO$_4$) for pyrene, and 0.1526 (NaClO$_4$) to 0.8136 (Na$_2$SO$_4$) for perylene. In general, the salting out effect of metal cations decreased in the order of Ca$\^$2+/>Na$\^$+/>K$\^$+/. The effect of SO$_4$$\^$2-/>Cl$\^$-/>ClO4$\^$-/ was observed for anions of inorganic salts. The K$\_$s/ values decreased in the order of perylene>pyrene>naphthalene for K$_2$SO$_4$. However, the order of decreasing salting out effect for NaCl, KCl, CaCl$_2$, and NaClO$_4$ was perylene>naphthalene>pyrene. Hydration free energy of the 1:1 and 2:1 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l-based inorganic salts solution was observed to have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etschenow constants. Thermodynamic interactions between PAH molecules and salt solution can be of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salting out effect for PAHs at a given salt solution.

금속이온으로 치환된 PVA/SSA 이온교환막의 메탄올 투과특성 연구 (Studies on the Methanol Permeability through PVA/SSA Ion Exchange Membranes Substituted with Various Metal Cations)

  • 이충섭;정선영;전지현;신현수;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12권1호
    • /
    • pp.51-53
    • /
    • 2002
  • Poly(vinyl alcohol) (PVA)/sulfosuccinic acid $(SSA)-H^+$ 막은 1가 이온 $Li^+, Na^+,K^ + 2$가 이온 $Mg^{2+}, Ca^{2+},Ba^{2+}, 3$가 이온 $Al^{3+}$로 치환하였다. 또한 $Li^{+}$의 경우 치환도를 화하였다. 금속이온치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iffusion cell을 이용한 메탄올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메탄올투과도를 1가 이온의 경우는 'Salting-out'효과뿐 아니라 electrostatic 가교와 금속 이온의 반응성에 의존한다고 사료되었다. 또한 $Li^+$이온이 경우 치환도에 비례하여 메탄올 투과도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Salting-out'효과에 기인한다고 사료되어진다.

가지의 절임방법에 따른 성분변화 (Effect of Salting Methods on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ggplants)

  • 윤경영;홍주연;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86-790
    • /
    • 2006
  • 본 연구는 가지의 수출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수출용 가지품종인 축양과 시키부를 염가공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염절임 방법에 따른 품질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절임 3일째 감소하였으며, 염절임 7일째 미강과 소금을 혼합하여 염절임한 가지의 수분감소가 소금물을 단독으로 하여 염절임한 가지의 수분감소에 비해 컸다. 회분함량은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시키부 품종의 당도가 축양 품종의 당도에 비해 높았으며,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당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미강과 소금의 혼합 처리시의 당도증가가 소금물 단독 처리시의 당도 증가에 비해 현저하였다.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미강과 소금을 혼합 처리하여 염절임한 가지가 소금물 단독으로 염절임한 가지에 비해 환원당 함량이 높았다. 축양의 수용성단백질 함량이 시키부 품종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염절임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고, 미강과 소금의 혼합 처리 시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컸다.

염지액농도, 염지시간 및 염지압력에 따른 계란의 염 침투효과 (Permeation Effect of NaCl into Shell Egg with Concentration of NaCl Solution, Salting Time and Salting Pressure)

  • 전기홍;유익종;장윤희;강통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5-131
    • /
    • 1993
  • 본 시험은 계란의 껍질을 파괴하지 않고 적절한 압력을 이용하여 적절한 농도의 염지액이 단시간 내에 계란의 난백 및 난황층으로 이동되어 염분이 가미된 계란을 제조한 다음 이를 열처리 과정을 거쳐서 반숙 또는 완숙된 계란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열처리하지 않은 가염된 생계란을 제조하여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는 계란의 가미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지계란의 염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염지액 농도(0~40%, wt/vol), 염지시간(O~45h), 그리고 염지압력(O~4.5kg/$\textrm{cm}^2$) 등으로 이들 조건에 따른 계란의 소금 험하였다. 계란의 소금농도는 염지액농도, 염지시산, 염지압력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구 중 난백내에서 0.70~l.00%, 그리고 난황내에서 0.40~0.45%가 가장 바람직한 염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지계란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관능검사는 염지액농도(20~40%) 염지시간(12~20h), 그리고 염지압력(3~4.5kg/$\textrm{cm}^2$)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위 시험의 결과, 염지계란을 제조하는 조건으로 염지액농도 30%, 염지시간 16h 그리고 염지압력 4.0kg/$\textrm{cm}^2$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HOG SMALL INTESTINE II. EFFECT OF SALTING LEVEL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MALL CASINGS

  • Lee, K.T.;Kim, H.R.;Katao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523-526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salting and desalting of small casings from hog and to determine the shelf-life during cold storage. The concentration of salt in the casings equilibrated with that of the added salt after 1 day for 10%, after 2 days for 20% after 7 days for 40% salting level. During desalting at 15 and $30^{\circ}C$, residual salt concentrations in the casings decreased to less than 1% after 1 hour for 10% salt, after 12 hours for 20% salt and after 24 hours for 40% salt. The total colony count of the freshly prepared casing was about log10 4.2. The initial microflora of the prepared casings was 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The higher the salting level, the greater the microbial growth was suppressed during 6 months of storage at refrigerator temperature ($4^{\circ}C$). A salt content of 20% is satisfactory if the casings are being stored for less than 1 month before being used.

친수성 고분자의 코팅을 통한 Poly(acrylonitrile) 나노복합중공사막의 제조 및 성능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Poly(acrylonitrile)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through the Coating of Hydrophilic Polymers)

  • 박철오;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9권3호
    • /
    • pp.140-14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Polyacrylonitrile (PAN) 중공사막을 지지체막으로 하여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을 이용하여 layer-by-layer법으로 선택층을 형성시켰다. 코팅용액에 Mg염을 첨가하여 염석법(salting out method)을 이용하였다. 코팅용액의 이온세기, 고분자 농도, 코팅시간 등을 달리하여 나노여과막을 제조하였으며 NaCl, $MgCl_2$, $CaSO_4$ 100 mg/L를 공급액으로 하여 2 atm의 구동 압력에서 투과도와 염 배제율을 평가하였다. PSSA 20,000 ppm, 코팅시간 3분, 이온세기 1.0, PEI 30,000 ppm, 코팅시간 1분, 이온세기 0.1의 조건으로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다. 100 ppm의 NaCl, $MgCl_2$, $CaSO_4$ 공급액에서 각각 20.4, 19.4, 18.7 LMH의 투과도와 67, 90, 66.6%의 염 배제율을 나타내었다.

"굴비" 제조과정중의 지방의 이동에 대한 조직학적 관찰 (MICROSCOPIC OBSERVATIONS OF FAT TRANSLOCATION IN THE TISSUE OF YELLOW CORVENIA DURING SALTING AND DRYING)

  • 변재형;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3-71
    • /
    • 1968
  • "굴비" 제조과정중 근섬유의 변화와 지방의 분포 및 이동상태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조기는 진피 밑에 피하지방층이 있으며, 혈합육이 지방조직으로 둘러 쌓여 있는 곳이 많다. 대부분의 지방질은 피하지방층에 축적되어 있고, 백색육에는 거의 지방이 분포하지 않았다. 또한 혈합육과 백색육간에 결체조직으로 경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떤 부위에는 혈합육과 백색육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것 등이 특징이었다. "굴비" 제조과정중 염장공정중에는 피하지방의 일부가 결체조직이나 근섬유간을 통로로하여 침투되어 들어간다. 그러나 건조공노중 침투된 지방은 결체조직을 따라 이동하여 복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굴비"의 심부백색육에는 거이 지방이 분포하지 않았다 . BHA 처리 "굴비"는 지방의 이동속도가 늦어, 내부에 침투된 지방이 상당양 그대로 잔존하였다. 그리고 "굴비"의 근육조직은 각섬유가 씨로 밀착하여 경계가 뚜렷하지 않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굴비" 제품중에는 상당량 지방이 주로 피하지방층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실험에 있어, 조개표본을 제작하는데 편의를 보아주신 부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박 해춘하 재청 양교수 그리고 현징경 사진촬영을 도와 주신 국립수산진흥원 김 성준 연구관, 김 복원 연구교사 몇 많은 조언을 주신 부산수산대학 김장양 교수, 신필현 교수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 PDF

폴리올 농도를 변화시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유변학적 거동 (Rheological Behaviour of Surfactant Mixtures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Polyols)

  • 조완구;김기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2-427
    • /
    • 2009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yols and NaCl on the rheological behaviours of surfactant mixtures.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cocamidopropyl betaine (CAPB), disodium cocoamphodiacetate (DSCA), cocamide DEA (CDEA) and lauroyl/myristoyl DEA (LMDE) were used as surfactants. The polyols added into the surfactant mixture were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sorbitol, dipropylene glycol, PEG 1500 and PEG 400. The addition of amphoteric surfactant to SLES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the height of foam and the viscosity of the system. The addition of nonionic surfactant, LMDE or CDEA to the SLES aqueous solution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ffect of LMDE was better than that of CDEA. The effect of adding polyols and NaCl into the surfactant mixture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system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the kinds of polyol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alting in or salting out of surfactant of th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