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marsh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8초

간석지(干潟地) 식물(植物)과 관련된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의 분류(分類)와 분포(分布)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f Species and Distribution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Relation to Salt-Marsh Plants)

  • 고성덕;이형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75-181
    • /
    • 1984
  • Soil sieving을 통하여 4종(種)의 간석지식물(干潟地植物)들 (산조풀, 벌노랭이, 비쑥 및 띠등(等))과 관련되어 있는 Glomus속(屬)의 6종(種)과 Acaurospora 속(屬)의 1종(種)등 7종(種)의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를 분리(分離)하였다. Glomus속(屬)의 6종(種)은 G. albidum Walker & Rhodes, G. pulvinatum (Henn.)Trappe & Gerd., G. constrictum Trappe, G. sp. (4th type), G. caledonicum (Nicol. & Gerd.) Trappe & Gerd. (5th type) 및 G. sp. (6th type) 등이었으며, Acaulospora의 1종(種)은 A. scrobiculata 이었다. 7종(種)의 VA균(菌)가운데 G. mosseae (1st type), G. pulvinatum (2nd type) 및 G. sp.(4 type)의 3종(種)의 Glomus spp.가 가장 흔한 type들이었다. 산조풀과 비쑥의 근계토양(根系土壤)중에는 공(共)히 G. sp.(4th type)가, 벌노랑이와 띠의 근계토양(根系土壤)중에는 공(共)히 G. pulvinatum (2nd typc)이 가장 풍부(豊富)하게 존재(存在)한다는 사실(事實)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硏究)를 통(通)하여 토양(土壤)중 VA균종(菌種)의 다양성(多樣性)은 숙주식물에 달려있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수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munity maintenance Mechanism of five Halophytes on the distribution in Mankyung River Estuary)

  • 김창환;조두성;이경보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68-84
    • /
    • 2005
  • 2005년 2월부터 9월까지 만경강하구역 염습지에 있는 5종 염생식물의 군집유지기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5종 염생식물(칠면초, 퉁퉁마디, 갯개미취, 가는갯능쟁이, 나문재)의 발아기, 최대 발아률, 생물량, 줄기와 뿌리 길이생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염생식물 군집 유지기작은 저위염습지에 칠면초, 중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갯개미취, 가는갯능쟁이 그리고 고위염습지에 나문재가 분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칠면초는 정기적인 조수작용으로 수분공급이 원할한 저위염습지에, 퉁퉁마디는 부정기적인 조수작용으로 고염분 토양의 중위염습지에서, 나문재는 정기적인 수분공급이 적은 고위염습지에, 이들 중간의 중위염습지에는 갯개미취와 가는갯능쟁이가 군집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reation of an Environmental Forest as an Ecological Restoration

  • Lee, Chang-Seok;You,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2호
    • /
    • pp.101-109
    • /
    • 2001
  • We created an environmental forest on the basis of ecological design around the incineration plant of Jindo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 Ltd., which is located in Jeongwang-dong, Siheung-si, Kyunggi-do. To get ecological information of this si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on salt marsh, which is located close to the syudy site and of forest soil transported from other sit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were analyzed. Texture of salt marsh and transported soils were loam and sandy loam, respectively. pH, organic matter, T-N,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K and Na contents of salt marsh and transported forest soils were 6.7 and 5.4, 4.1 and 0.4%, 1.0 and 0.3mg/g, 46.7 and 6.8ppm, 521 and 207ppm, and 3.8 and 0.5mg/g, respectively. Introduced plants were selected among the dominant species of forests and the species composing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round the present study site. Those plants were selected again by considering the tolerances to air pollution and to salt, and their availability. Selected trees were Pinus thunbergii, Sophora japonica, Celtis sinensis, Quercus aliena, Q. serrata, Q. dentata, and Q. acutissima. Selected sub-trees were Albizzia julibrissin, Koelreuteria poniculata, and Styrax japonica and shrubs wer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R. mucronulatum, Callicarpa japonica, Euonymus alatus, E. japonica, and R. schlippenbachii. On the other hand, introduction of herbs was not considered except for Liriope platyphylla, which was ornamentally planted in one site. Planting bed of mound type was adopted to provide the fine drainage system. Mound was designed to furnish litter, A, B, and C layers simuating the profile of forest soil. Slope of mound was mulched by rice straw of 2cm in thickness to prevent for sliding of litter and soil in cases of strong wind or heavy rain. Height of mound was designed to secure more than 1 m by combining A and B layers. Narrow zones, in which mound with stable slope degree cannot be prepared, was designed to equip the standard soil depth with the introduction of stone for supporting. On the other hand, plants with shallow root system were arranged in some zones, in which satisfactory soil depth cannot be ensured. Plant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tree, sub-tree, and shrub from center to edge on the mound to make a mature forest of a dome shape in the future. Dispersion of plants was designed to be random pattern rather than clumped one. Problems on creation of the environmental forest by such ecological design were found to be management or inspection by non-specialized project operators and inspecting officers, and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without ecological background. Alternative plans to solve such problems were suggested.

  • PDF

조간대 감습지 수로지역의 저생조류의 종조성 및 일차생산 (Species Composi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the Benthic Algal Assemblage along a Channel in Salt Marsh, Kyonggi Bay, Korea)

  • Cho, Kyung Je;Joon 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1호
    • /
    • pp.1-15
    • /
    • 1988
  • Studies on species compostion, promary production of benthic algal assemblage were carried out along a channel of the salt marsh near Inch'on, Kyonggi Bay, Korea. Possible biological, physical and KDICical factors controlling the aglal assemblage were also examined. The oveall diatoms were encountered one hundred and thirty-seven taxa, of which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alia sulcata and Cymatosira belgica. These two species accounted for 32.6% relative abundance throughout the study period. Diatom taxa had no clear seasonal pattern in abundance analysis. But at the algal blooming period in spring, euglenoids occurred with a high abundance. The chlorophyll a content of benthic algae showed definite seasonal pattern. The algal biomass of the appeared to influence the spatial fluctuation in the algal biomass of the channel was regulated primarily by water content of sediment. Grazing by zoobenthos apperaed to influence the spatial fluctuation in the algal biomass of the sediment surface. The algal photosynthesis was measured in the laboratory with oxygen method. Photo-synthetic rate was independent of the temperature under the lower irradiance. The gross production from March to November was estimated to be 190g C/m2 at the channel slope. Photosynthetic efficiency was 0.37% on the basis of the photosyntherically active radiation for the study period.

  • PDF

순천만과 벌교 하구 연안습지의 2009년 기준 갈대 및 칠면초 우세 군집 분포양상과 면적 제시 (The 2009-based detailed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of Phragmites communis-dominant and Suaeda japonica-dominant communities on the Suncheon-bay and Beolgyo estuarine wetlands)

  • 홍석휘;전승수;엄진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7
    • /
    • 2015
  •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습지의 퇴적상은 대부분 실트질 니와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계절변화는 매우 작았고, 지형구배는 경사도가 $0.0007{\sim}0.002^{\circ}$로 매우 평탄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염생식물은 평균해수면보다 0.7~1.8 m 높은 곳을 점하고 있었으며, 갈대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1.1~1.8 m, 칠면초 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0.7~1.3 m 높은 고도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생육하고 있다. 2009년 분포를 기준으로 순천만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79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22km^2$로, 총 면적은 약 $1.01km^2$이다. 벌교천 하구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 면적은 약 $0.31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031km^2$이며, 총 면적은 약 $0.341km^2$이다. 순천만-벌교 하구 염습지에서 각기 105개와 60개의 염생식물 단위군락의 분포양상과 면적이 제시될 수 있었다. 2008/2009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양상과 면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염습지인 해당 연구지역에서 향후 염습지 관련 모니터링의 기본자료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경강 하구역에 분포하는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에 관한 연구 (Population Formation Strategies of Halophytes in Mankyeong River Estuary)

  • 김창환;조두성;이경보;최송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9-310
    • /
    • 2006
  • 만경강 하구역 염습지에 우점 분포하는 5종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에 대하여 유묘 출현율, 생물량, 뿌리 줄기길이생장, 교차이식 생존율, 토양환경 요인 등을 2005년 2월에서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유묘 출현 시기는 칠면초가 가장 빨랐으며 그다음으로 가는갯능쟁이, 퉁퉁마디, 갯개미취, 나문재 순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의 수분상태와 염도에 따른 발아율은 칠면초가 침수구 상태의 고온과 저염도에서, 퉁퉁마디가 고염도에서, 가는갯능쟁이와 갯개미취가 건조구와 침수구에서, 나문재가 건조상태의 고염도에서도 발아가 잘 되었다. 5종 염생식물의 교차이식 생존율은 저위염습지에 칠면초, 중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가는갯능쟁이, 갯개미취, 고위염습지에 나문재가 높았다. 토양환경요인은 비슷하였으나 토성은 점토, 모래, 미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5종 염생식물의 개체군 형성 전략은 칠면초는 저위염습지에, 퉁퉁마디, 가는갯능쟁이 그리고 갯개미취는 중위염습지에, 나문재는 고위염습지에 분포하여 이루어진다고 여겨진다.

재첩국 자숙 조건 (Processing Condition of Corbicula elatior Broth by Hot Water Extraction)

  • 강동수;김해섭;이영재;곽지만;김혜리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3-210
    • /
    • 2001
  • To produce the instant marsh calm(Corbicula elatior) soup with abundant taste and flavor. optimum conditions of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for extraction were investigated. Excretion rate in a pre-treatment for excretion of estuary was 82% at 15% salt concentration for 6 hr and 95% at pH 7.5 for 10 hr. The contents of glycogen and amino-nitrogen were the most high levels in the treatments extracted at 9$0^{\circ}C$ for 3 hr, at 10$0^{\circ}C$ for 1.5 hr and at 11$0^{\circ}C$for 1 hr. The contents of total free amino acids in the extracts treated at 9$0^{\circ}C$, 10$0^{\circ}C$ and 11$0^{\circ}C$ were 367.05mg/100g, 472.23 mg/100g and 463.54 mg/100g, respectively and optimal temperature was above 10$0^{\circ}C$. The mineral contents was the most high level for the extract treated at 10$0^{\circ}C$ for 1.5hr.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astes for the marsh calm extracts had no significant discrimination, while external appearances and flavors for the extract done at 10$0^{\circ}C$ for 1.5 hr were excellent. The extracts at 10$0^{\circ}C$ showed a little dark color and those at 9$0^{\circ}C$ smell a little fish flavor.

  • PDF

TerraSAR-X를 이용한 조간대 관측 (Investigation of Intertidal Zone using TerraSAR-X)

  • 박정원;이윤경;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3-389
    • /
    • 2009
  • TerraSAR-X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 X-밴드 SAR시스템을 이용한 조간대 갯벌 관측에의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연구대상지 역은 강화도 남단과 영종도를 잇는 조간대이며, 단일편파자료와 이중편파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X-밴드 영상에서의 연안의 레이더 반사도 특성 연구 및 waterline 추출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연안지역의 waterline은 HH 편광자료의 레이더 반사도 특성을 통하여 추출하였을 때 가장 신뢰도가 높았으며, TerraSAR-X 시스템의 짧은 파장과 높은 궤도정밀도로 인하여 정밀한 지리좌표로의 변환이 가능하였다. 연구지역의 조간대 지형 경사도는 평균적으로 수평방향으로 60 m당 20 cm의 고도변화를 가지므로, TerraSAR-X HH 편광자료를 이용한 waterline 추출은 정밀한 조간대 DEM 추출로 응용될 수 있다. 둘째, 이중편파자료의 편파특성을 이용한 조간대 영생식물의 산란특성을 관측하였다. 조간대 수륙경계부에서 잘 관측되는 칠면초와 같은 염생식물은 해수면변화에 따른 조간대의 육지화 모니터링에 좋은 표적이 된다. TerraSAR-X 이중편파자료의 산란특성을 이용한 염생식물 관측결과는 2007년에 현장에서 취득된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3 dB 이내의 정밀도로 일치하였다. 셋째, 단일편파자료의 레이더 간섭기법을 이용한 조간대 DEM작성을 시도하였다. 조간대 내에서 육지화가 진행된 지역은 표면에 염생식물이 발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간섭긴밀도를 나타내었다. 레이더 간섭기법을 통한 DEM의 제작은 일반적인 조간대에서는 적용이 제한적이며, TanDEM-X의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