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il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7초

담수(湛水)에 의한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변화(變化)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due to Submergence and Paddy Rice Yield)

  • 안윤수;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4-200
    • /
    • 1985
  • 담수(湛水)에 의한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 함량변화(含量變化)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고져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이 상이(相異)한 9개 토양통(土壤統)으로 실내(室內) 및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포장시험(圃場試驗) 결과(結果) 토양간(土壤間)의 무비구수량(無肥區收量)과 최고수량(最高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이 있었지만 상대수량(相對收量)은 54~76으로서 토양간(土壤間) 차이(差異)가 컸다. 무비구(無肥區) 수량(收量)과 토양화학성분(土壤化學成分)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는 담수무처리(湛水無處理)의 암모니아태 질소(窒素)에서만 상관(相關)이 있었다. 담수항온시험(湛水恒溫試驗) 결과(結果) pH에서 무비구(無肥區) 수량(收量)이 높았던 부용(芙蓉), 사촌(沙村), 지산통(芝山統) 담수(湛水) 5~25일까지의 건토(乾土)에 대한 pH상승폭(上昇幅)이 다른 토양(土壤)보다 컸고 담수(湛水) 70일까지 건토(乾土)의 pH가(價)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토양별(土壤別) 암모니아태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건토(乾土)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관련(關聯)이 적었고 무처리담수구(無處理湛水區)와 삼요소담수구(三要素湛水區)의 함량(含量) 차이(差異)가 컸던 토양(土壤)들이 시비효율(施肥效率)이 높은 편(便)이었다. 건토(乾土)의 유효인산(有效燐酸) 및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낮고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높은 전북(全北), 대정(大靜), 췌동통(萃東統)은 담수(湛水)에 의한 인산유효화량(燐酸有效化量)이 적고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의 인산시비효율(燐酸施肥效率)이 컸다. 점토함량(粘土含量)이 낮은 사촌(沙村), 용지(龍池), 예천통(醴泉統)은 그 반대(反對)였다. 대체로 담수(湛水)에 의해서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은 증가(增加)하였지만 건토(乾土)의 유효규산함량(有效珪酸含量)이 극히 높은 전북(全北), 대정(大靜), 췌동통(萃東統)은 담수무처리(湛水無處理)에서 건토(乾土)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감소(減少)하였다.

  • PDF

비상업용 정부선박의 국제해양법적 지위 - 국립대학 실습선을 중심으로 - (Legal Status of Government Ships Operated for Non-Commercial Purpose in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 Forcusing on Training Ship of National University)

  • 임지형;이용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6-162
    • /
    • 2020
  • 20세기 초부터 비상업용 정부선박의 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와 법제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전통적 국제법상의 절대적 주권면제이론에 대한 비판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대체 이론으로 제한적 주권면제이론이 등장하면서 주권면제이론은 더욱 구체화 되었다. 국제관습법 및 국제해양법에서는 군함과 함께 비상업용 정부선박에 대한 주권면제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권면제와 관련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우리나라 국립대학의 실습선이다. 우리나라 국립대학은 고급해기사 양성 및 어업 실습 등의 교육목적으로 실습선 및 조사선을 건조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실습선은 국내 관할수역 뿐만 아니라 타국의 관할수역 및 공해까지를 활동범위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타국의 항구에도 입항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법상 국립대학 실습선의 법적지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국제 항행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습선이 어떠한 법적 지위를 누리느냐에 대해서는 단순히 답할 수 없는 요소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은 국제법상 비상업용 정부선박의 개념 및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국립대학 실습선이 이와 일치하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전통 국제법상의 주권면제 범위와 현행 국제협약상의 주권면제에 대한 규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국립대학 실습선이 해양에서 누릴 수 있는 주권면제의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9930M국 로란-C 신호를 이용한 내륙 ASF 측정 연구 (Inland ASF Measurement by Signal of the 9930M Station)

  • 양성훈;이창복;이종구;김영재;이상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603-607
    • /
    • 2010
  • Loran (LOang RAnge Navigation) 신호에 의한 항법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활성화 전까지 주요한 항법시스템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선박들의 중장거리 항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항행 외에 항만 근접과 육로 항법으로서의 백업기능 그리고 정밀시각활용 등과 같은 분야에서는 현재 활용할 수 있는 성능 보다 우수한 정확도를 요구한다. 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Loran 송신국과 사용자 위치 사이의 전파지연 즉, ASF (Additional Secondary Factor)를 정확히 측정하여 보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포항의 로란-C 주국(9930M)에서 발사하는 신호를 이용하였으며 TOC (Time of Coincidence) 테이블이 없는 Loran 신호 송출시스템에서 절대시간 지연을 측정할 수 있는 기법을 이용하여 포항 로란송신국으로부터 33 km 이내의 4 지점에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결과 33 km 지점의 경우에 전파지연오차에 의하여 약 210 m의 거리오차가 발생하였지만 ASF 보정에 의해 40 m의 거리오차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I와 AR기반의 스마트 해상교통안전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Maritime Traffic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AI & AR)

  • 김원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2-648
    • /
    • 2019
  • 선박은 충돌방지를 위해 해상충돌예방규칙에 의해 운항한다. 하지만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운항하는 특수상황 시에는 해상충돌예방규칙을 적용하기 곤란하며 이때는 운항자의 개인능력에 의한다. 이러한 경우 해상교통관제를 통한 교통상황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VTS(Vessel Traffic Services)를 통해 해상교통이 관리되고 있으며 운용 방법은 관제요원이 VTS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험상황을 판단하고 통신시설을 이용하여 선박들에게 안전운항을 권고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방법에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법을 추가하여 운항자의 관점에서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관제 효율성 증대를 위해 AR(Augmented Reality)기법을 추가한 해상교통안전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시스템은 위험상황 및 위험 우선순위 예측이 정량적으로 가능하여 복잡한 교통상황시 실제 운항자가 충돌회피하는 방법과 동일한 순차적 위험상황 해소가 가능하다. 특히, 위험상황을 관제요원의 관점뿐만 아니라 각 선박의 운항자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어 기존의 방법보다 실제적이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정량적인 위험수역 파악이 가능하여 충돌회피를 위한 권고항로 지원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이 시스템은 해상교통상황이 복잡한 해역에서의 선박간 충돌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해양분야 제4차 산업혁명에 주요한 분야를 차지하는 자율운항선박에 충돌방지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구기자혹응애(Eriophyes ruro KISHIDA) 및 그 혹(Gall)에 관한 연구 II. 혹의 성장에 따르는 효소활성 및 화학성분에 대하여 (Studies on Eriophyes kuko KISHIDA and its Galls -On the Activity of Enzymes and the Chemical Constituents in Growing Galls-)

  • 김창효;기우경;성낙계;박우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30
    • /
    • 1971
  • 구기자혹응애(Eriophyes kuko KISHIDA)의 침입기에 의하여 구기자나무(Lycium chineens MILL.)외 잎형성된 혹(mite gall)의 생화학적 성질을 구명할 목으로 몇 가지 효소의 활성도, 화학성분의 함량 및 호량 등에 관하여 실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talase와 peroxidase 활성도는 건전한 잎의 직보다 혹 조직에서 높았으며 혹이 점차로 커짐에 따라 활성도도 높아졌다. 2. 조효소의 phosphorylase 활성도는 큰 혹(matured gall) 조직과 건전한 잎의 조직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활성 측정에 미치는 다른 효소의 영향을 고려하면 건전한 잎의 조직이 높은 것 같으며, phosphomonoesterase의 활성도는 건전한 잎의 조직보다 큰 혹 조직이 5배 가까이 높았으며 $\beta-amylase$와 invertase 등의 활성도는 큰 혹 조직이 2배 가까이 높았다. 3. 조단백질 함량은 혹의 발생 형성초기인 작은 혹일때는 $20\%$ 정도 건전한 잎의 조직보다 증가하였으나 혹이 점차 커 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은 자은 측일 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혹이 점차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인과 tannin의 함량도 혹이 점차커짐에 따라 증가하여를 혹이 건전한 잎보다 2배정도 많았다. 4, 호흡에 있어서 $QO_2$는 혹 조직이 건전한 잎보다 높았으나, $QCO_2$는 반대로 건전한 잎이 높았으며, RQ는 혹 조직이 낮았다.

  • PDF

토양의 카드뮴흡착과 수도체 카드뮴흡수에 미치는 토성, 물관리 및 개량제 효과 (Effects of Soil Texture, Irrigation System, and Soil Ameliorators on the Cadmium Adsorption in Soil and Uptake in Rice Plant)

  • 정구복;김규식;이종식;권순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8-133
    • /
    • 2000
  • 용액중의 카드뮴 농도 및 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내 카드뮴 흡착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흡착시험을 수행하고, 논에서 토성, 물관리 및 토양개량제 시용에 따른 수도의 카드뮴 흡수 경감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카드뮴이 $0.01\;mg\;L^{-1}$로 함유된 관개용수를 토성(사양토, 식양토) 및 개량제(퇴비, 석회)를 처리한 토양에 상시담수 및 간단관수로 조절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에 의한 카드뮴 흡착량은 용액의 카드뮴 초기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양질토양보다 식질토양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유기물 및 석회처리 중가로 토양의 카드뮴 흡착율은 증가하였고 단용보다 병용처리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수확기 경엽 및 현미중의 카드뮴함량은 사양토보다 식양토에서 낮았고 간단관수보다 상시담수에서 낮았으며 상시담수구중 석회 및 퇴비 병용구에서 흡수 경감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생육중기 및 시험후 토양의 pH는 경엽중 카드뮴함량과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수확기의 경엽과 현미중의 카드뮴함량 관계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논 토양 서식 미생물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Soil Microbial Diversity of Paddy Fields in Korea)

  • 서장선;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0-207
    • /
    • 1997
  • 우리 나라 논 토양 환경의 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13개 농업기후지대별 63개 지점의 이앙전 무담수 논 토양의 표토를 채취하여 주요 토양 미생물의 밀도 및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농업기후지대별 전국 평균치 이상의 미생물 종류는 북부지방 보다는 남부지방일 수록 많았으며, 검정된 미생물중 지역간 차가 가장 큰 균은 형광성 Pseudomonas 속이었다. 지형간 미생물 밀도는 호기성 세균, 형광성 Pseudomonas 속과 Azotobacter 속등이 하해혼성지에서, 토성간에는 사상균이 식토에서, Bacillus 속, Azotobacter 속 그리고 탈질균은 식양토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한편 Azotobacter 속과 암모니아 산화세균의 밀도는 토양 pH가 높아 질수록 증가하였다. Bacillus 속, 형광성 Pseudomonas 속, Azotobacter속, 탈질균, 암모니아 산화균, 아질산산화균, 방선균 및 사상균등을 요인으로 한 미생물 다양성 지수의 지역간 최소 값은 0.109, 최대 값은 0.661 이었다. 지형별 다양성 지수는 하해혼성지가 0.332, 홍적대지 0.335, 하성평탄지 0.432 그리고 곡간선상지 0.447이었으며, 토성별 다양성지수는 사질 0.443, 사양질 0.427, 미사식양질 0.414, 식양질 0.405 그리고 식질토양이 0.362로 사질토양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풍력발전기 증속기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SaaS 클라우드 인프라 개발 (Development of SaaS cloud infrastructure to monitor conditions of wind turbine gearbox)

  • 이광세;최정철;강승진;박사일;이진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16-325
    • /
    • 2018
  • 본 논문에서, 풍력발전기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하기 위해, 분산되는 전산자원을 통합하고 인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 할 목적으로 SaaS 클라우드 방식의 상태 감시 인프라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개발한 인프라에서 관련 업무 및 서비스에 따라 각 데이터들을 계층화 하였다. 인프라 상에서 상태 감시를 수행 할 경우에 필요한 기본적인 SW를 개발하였다. 측정 시스템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SW, 현장 측정 SW, 데이터 전송 SW, 모니터링 SW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SCADA 데이터 뿐 아니라 추가적인 센서를 설치하여 풍력발전기의 상태 관측이 가능하다. 상태감시 알고리즘 내 단계 별 지연 시간을 모델링하여, 현장 측정에서 최종 모니터링 단계 까지 소요되는 총 지연 시간을 정의 하였다. 진동 데이터는 고해상도 측정에 의해 취득되기 때문에, 지연 시간은 불가피하고 유지보수에 관한 프로그램 운영 시 지연시간 분석은 필수적이다. 모니터링 대상은 MW 용량의 풍력발전기의 증속기이며, 해당 풍력발전기는 운전 한 지 10년이 넘는 모델로서, 이는 앞으로 해당 풍력발전기의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정확한 상태 감시가 필수적임을 뜻한다. 본 인프라는 연간 50TB 용량의 고해상도 풍력발전기 증속기 상태를 처리 할 수 있도록 운영 중이다.

표면세척이 수삼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Washing Treatment on Quality of Fresh Ginseng during Storage)

  • 김은정;김건희;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0-385
    • /
    • 2007
  • 수확직후 흙이 묻은 수삼을 저장${\cdot}$유통시키는 기존방식을 개선키 위한 기초연구로 표면을 세척한 수삼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흙이 묻어 있는 수삼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확직후 수삼과 이를 불과 솔로 세척한 후 표변의 수분을 제거한 수삼을 각각 0.05 mm 두께의 PE 필름으로 MA 포장한 후 0, 5, 10,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중량감소, 변질률 , 관능적 품질, 호흡률, 경도 및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0^{\circ}C$에서 45일간 저장 시 세척수삼의 중량 감소율은 대조구의 수삼과 거의 유사하였으나 $5^{\circ}C$$10^{\circ}C$에서 저장하였던 경우 세척수삼이 대조구의 수삼에 비해 각각 46% 및 37% 정도 낮았다. 변질률도 세척 수삼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는데 $10^{\circ}C$에 저장한 대조구의 수삼이 세척 처리하여 $20^{\circ}C$에서 동일기간 저장하였던 수삼에 비해 변질이 빨랐다. $10^{\circ}C$에서 45 일간 저장하였던 세척수삼의 항목별 관능적 평점은 6.8-8.2점 범위이었던 반면 대조구는 5.7-6.9점 범위를 나타내었다. 호흡률은 세척수삼이 저장 초기 대조구에 비해 약간 높았지만 저장 중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척수삼은 대조구에 비해 생균수는 0.87 log unit, 곰팡이 및 효모는 1.55 log unit, 대장균군의 경우 0.95 log unit 낮은 값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저장 기간 동안 유지되었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고분자제품의 생산일정 관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roduction Scheduling Management Program using Genetic Algorithm for Polymer Production)

  • 소원섭;정재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49-159
    • /
    • 2006
  • 본 연구는 고분자제품을 생산하는 실제 조업 중인 한 화학공장에서 발생되는 최적 생산일정을 얻어내고 그 결과를 산업에서 비전문가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최적 생산계획의 목적함수를 생산량 환산 손실량(톤)으로 한 최적화용 모델을 작성하였고 최적화를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 공장에서는 3가지 제품이 생산된다. 주요 생산품은 두 가지이나 제품 교체시 발생하는 저급 제품을 싼 가격에 판매하므로 총 3가지 제품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제품별로 포장의 종류가 bulk 제품, 국내용 포장제품, 수출용 포장제품 등 3가지(저급제품은 포장 종류가 한 가지)이다. 이 산업체는 여러 가지의 포장 종류에 따른 수요가 늘어 납기일에 제품을 완성하는데 어려움을 격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모델링을 위해 현장 조업상황과 제약조건을 현실감 있게 구성하였고 이 모델을 바탕으로 최적의 생산일정을 찾아내는 S/W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적화에 사용된 유전알고리즘은 본 산업체의 공정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최적 해를 이끌어 내어 주었다. 그 결과 기존공정의 생산일정에 비해 50% 이상의 손실액 감소를 얻어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