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gitta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8초

동계 한국근해의 수괴지표성 모악류 (Note Sur Les Chaetognathes Indicateurs Planctoniques Dans La Mer Coreenne En Hiver 1967)

  • 박주석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34-41
    • /
    • 1967
  • 1. 아한대수의 전형적 지표종인 Sagitta elegans는 동해에서 대마난류축을 제외 하고는 전역에 균등히 분포하고 있으며, 표층 및 수직채집상으로 보아 감포동남방 57리 지점의 다수출현은 잠류남하하는 한류 및 저층냉수의 용승에 기인함을 실증하고 있으며, 한류의 이동은 외양에서는 축산원해에서 표면 이하로 잠류남하하는 것으로 본다. 2. Sagitta bedoti는 전역에 걸쳐, 난류 및 중간수역에서 광범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남해측에는 난류역을 피하고 제주서남방 및 서측에 풍부함으로서 냉수역 및 중간수대의 지표종이 되고 있다. 한편 난류성인 Sagitta enflata, Sagitta minima 와 Sagitta serratodentataa, Pterosagitta drace 등은 서해를 제외하고는 광범한 분포상을 시현하고 있으나 특히 남해에서는 난류주류역에 우세하였다. 생태상으로 보아 Sagatta enflata는 순표층성인데 반하여 Sagatta minima는 중층성으로서 난류의 강약 및 유동을 지표하는 종류로서 가치가 크다고 본다. 3. Sagitta crassa는 서해수의 지표종이며 동해 및 제주서남방에 대량출현하여 저철연안수의 특유한 지표역으 맡고 있다.

  • PDF

First Record of an Ectoparasitic Dinoflagellate, Oodinium inlandicum (Dinophyta) Infecting a Chaetognath, Sagitta crassa from the Korean Coasts

  • Horiguchi, Takeo;Harada, Ai;Ohtsuka, Susumu;Soh, Ho-Young;Yoon, Yang-Ho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01-205
    • /
    • 2004
  • An ectoparasitic din flagellate infesting plank tonic chaetognath, Sagitta crassa Tokioka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n coasts.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es, we investigated detailed morphology of the din flagellate using Nomarski interference optics as well as epifluorescent microscopes. The parasitic din flagellate consists of an oval to rod-shaped cell with a peduncle, by which the organism attaches to the host. The cell is covered with polygonal thecal plates. The nucleus displays two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cell cycle stages: in young trophont the nucleus is elongated and shows typical din flagellate nucleus (dinokaryon), while in matured trophont, the nucleus is dome-shaped and non-dinokaryotic. The peduncle is variable in length and is ornamented with the longitudinal striations. All these characteristics point to identity that the ectoparasitic din flagellate infecting Sagitta crassa in Korean coasts is Oodinium inlandicum Horiguchi et Ohtsuka, originally described from the Seto Inland Sea of Japan.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and host sizes differed from those in Japan.

한국 근해 병어류의 자원 생물학적 연구 4. 덕대(Pampus echinogaster)의 식성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4. Food of Pampus echinogaster)

  • 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291-293
    • /
    • 1989
  • 덕대는 동물플랑크톤을 주로 섭이하는 어종으로 주된 적이는 갑각류, hydromedusae, salps, Sagitta 및 어류였다. 덕대는 성장에 따른 덕이 선택의 변화를 보이는데, 5cm 이하의 자치어기에는 주로 copepods 등의 소형 갑각류를 선호하나, 성장함에 따라 갑각류의 섭이는 감소되는 반면 hydromedusae, salps, Sagitta 그리고 어류의 섭이가 크게 증가되었다.

  • PDF

한국 남해의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The Distribution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5-252
    • /
    • 1990
  • 한국 남해에 분포하는 요각류와 모악류의 수괴 지표성종으로써의 가치를 이용하여 수괴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2, 4 및 8월에 한국 남해안28개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동물성 부유생물을 분석하였다. 요각류와 모악류중 한국 남해의 주요 수괴 지표성종으로써 Acartia clausi,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종으로, Sagitta crassa는 연안성종으로, Pleuromamma gracilis, Undinula darwini, Calocalanus plumulosus, Calanopia elliptica와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종으로, 그리고 Temora discaudata, Centropages furcatus는 난류성종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종의 분포와 수심 30m에서 수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Cluster분석을 실시하여 수괴의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였다. 2월에는 크게 2개의 해역으로 남해 연안 해역과 남해 외양역으로 대별되었으며 4월에는 크게 4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다. 8월에는 크게 3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으며, 쓰시마난류가 연안으로 강하게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 PDF

위 내용물 및 지방산 구성을 통한 황해 모악류(Sagitta crassa와 S. nagae)의 먹이 섭식 특성 (Diet of Chaetognaths Sagitta crassa and S. nagae in the Yellow Sea Inferred from Gut Content and Fatty Acid Analyses)

  • 윤현진;고아라;강정훈;최중기;주세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35-46
    • /
    • 2016
  • To understand the diet of chaetognaths, the gut content and fatty acid trophic makers (FATMs) of Sagitta crassa and S. nagae, which are the most predominant species of chaetognath in the Yellow Sea, were analyzed. Gut contents of the two species examined by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that copepods a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diet (> 70% of gut cont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gut contents of two species collected in spring and summer season. Although 16:0, 20:5(n-3) (Eicosapentaenoic acid) and 22:6(n-3) (Docosahexanoic acid), which are known as phytoplankton FA markers, were the most dominant among the fatty acids in both chaetognath species, the detection of copepod FA markers, 20:1(n-9) (Gadoleic acid) and 22:1(n-11) (Cetoleic acid), provided evidence that their food sources include copep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crassa and S. nagae are carnivores and mainly feed on copepods in the Yellow Sea.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 연구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특성- (Bioecological Studies in the Upwelling Area of Cheju Island - Standing Stock and Distribution of Pelagic Zooplankton-)

  • 고유봉;오봉철;최영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1-278
    • /
    • 1996
  • 제주도 서부 고산 연안 용승역에 출현하는 표층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용승역과 그 인접 외해역에서 1993년 4월 부터 1994년 3월까지 격월로 부유성 요각류, 화살벌레류, 익족류 및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Siphonophora와 Thaliacea)을 조사하였다. 요각류는 6월과 11월에 각각 $235ind./m^3,\;301ind./m^3$로 2차례에 걸쳐 피크를 보여 제주도 주변 연안해역과 일치하고, 출현 개체수에 있어서도 용승역이라고 해서 특별히 높지는 않았다.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은 용승역과 외해역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 반면, 인접하는 중간역에서만 6월과 11월에 $75\~458\;ind./m^3$로 다량 출현하는 특성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생물량은 $35.8mg/m^3$으로 11월에 가장 높고 1월에 가장 낮았다. 화살벌레류는 Sagitta의 사체가 6월과 11월의 용승역에서 $43\~74\%$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11월의 용승역에 출현한 Saitta는 $48\~71\%$가 요각류인 Oncaea venusta, O. mediterranea 및 Candacia bipinata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 있었다. 또한 각을 갖고 있어서 그 분포가 제한을 받는 유각 익족류는 외해역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은 반면, 용승역에서 용승현상이 강한 시기인 11월에 $27\~64\;ind./m^3$의 높은 밀도로 출현하므로써 용승에 의한 상승류를 이용, 적응하는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 PDF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1-264
    • /
    • 1992
  •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 군집구조 그리고 요인분석으로써 황해 동남 해역에 분포하는 수괴의 시공간적 변동 및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요각류인 Undinula darwini, Lucicutia flavicornis, Pleuromamma gracilis와 모악류인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 종으로, Euchaeta russelli 와 Euchaeta plana는 난류성이나 내성이 강하여 분포 범위를 넓게 가지는 종으로, Sagitta wassa는 연안성 종으로, Sagitta bedoti는 혼합성 종으로 그리고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 종으로 특성 지어졌으며, 이들의 분포로써 수괴를 분석하였다. 2월의 경우, U. darwini, L. flavicornis, P. gracilis, E. russelli, E. plana 그리고 S. enflata가 출현하는 제주도 서방, 수온 $14^{\circ}$ 이상인 해역이 쿠로시오 난류 수괴로, 수온 $10^{\circ}$이하이며,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해역이 황해 냉수괴로 나타났다. E. plana와 E. russelli가 소량 출현하며, 혼합성 종인 S. bedoti가 출현하는 수온 $12-14^{\circ}$인 제주도-진도간 해역은 혼합 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경우, 수온 약층을 경계로 하여 0-20m층과 20m- 저층으로 분리하여 수괴를 분석하였다. 0-20m 층의 경우, E. plana와 E. russelli가 출현하는 대흑산도까지 난류가 미치며, 집괴 분석 및 수괴지표성 종의 분포로써 볼 때 수괴는 연안에서 외양으로 가면서 크게 대별되어졌다. 20m-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화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 최근형;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24-437
    • /
    • 1993
  •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변이의 약 3/4 가량이 계절에 따른 변이로 파악되었으며 만의 안쪽과 바깥쪽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그러나 만의 안쪽과 바깥쪽에서의 주요종의 조성율 차이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어 방조제 건설 등에 따른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았다. 조사 기간 3년 동안 종별로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이 서로 달랐으나 각종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계절은 3년 계속 일치하고 있었다. Calanus sinicus와 Acartia bifilosa는 봄철에, Sagitta crassa, Paracalanus parvus, Acartia pacifica, Tortanus spinicaudatus, Corycaeus affinis 및 Decapoda larva는 여름철에, Labidocera euchaeta와 Bivalve larva는 가을철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겨울철에 가장 많이 나타난 종은 없었다. 대체로 가을철에는 많은 종류가 적게 출현하고, 겨울철에는 종수와 양이 모두 적었고, 이들은 모두 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여름철에는 많은 종이 모두 다량 출현하는 변화양상 이었다. 지지하는 증거는 불충분하지만 이러한 변화양상에 대한 가설을 제기하였다.

  • PDF

동해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에 미치는 해황의 특성 (The Influence of Oceanic Conditions on the Occurrence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in the East Sea)

  • 심정민;황재동;정창수;이용화;전경암;권기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385-1395
    • /
    • 2010
  •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have been frequently occurred in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since 1995. We compared the oceanic conditions in years 1995, 2001 and 2003 when the C. polykrikoides bloom was strong, and in years 1998 and 2004 when the C. polykrikoides bloom was not appeared. We studie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upwelling and geostrophic currents on the western channel of Korean Strait, an entrance of the East Sea. The period and occurrence area of C. polykrikoides bloom was depended on variation of upwelling in summer. In the distributions of geostrophic current, southward current was dominant near the coast in August, 1998 and 2000. Whereas northward current was dominant near and off the coast in August, 1995 and 2003 which the C. polykrikoides bloom was strong. When compared dominant phytoplankton of the coastal areas in each year, Kuroshio indicator species Proboscia alata and Chaetoceros affine were dominant, respectively, in 2001 and 2003 at every stations. However, the dominant species was variable at each coastal area in 1998 and 2000. In 2003, the abundance of Sagitta elegans which is known as the cold water indicator was low, but the abundance of S. enflata, warm water indicator, was very high in Gangneung compared to Sokcho. It seemed that the distribution of S. elegans is restricted by strong warm water current. In conclusion, it was estimated that the distribution of C. polykrikoides bloom in the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strength of East Korea Warm Current and upwelling.

득량만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Deukryang Bay, Korea)

  • 한동훈;홍성윤;마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7-532
    • /
    • 1995
  • 득량만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2년 7월, 9월 그리고 1993년 1월, 3월에 걸쳐 득량만내 15개 정점 (3월은 14개)에서 채집된 동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3월에 가장 높았고, 7월에 가장 낮았으면, 출현 개체수는 9월에 가장 많았고 3월에 가장 적었다. 득량만에서의 현존량은 Sagitta crassa의 체장 변화에 의해 좌우되었다. 3월에 많이 출현한 S. crassa는 체장이 커서 현존량이 매우 높았다. 반면, 9월에는 작은 Noctiluca scintillans 다량 출현하였다. 득량만내 동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출현 개체수는 수온의 계절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주로 동물플랑크톤 분류군 중 7월에는 십각류 유생, 9월과 1월에는 요각류 그리고 3월에는 Coelenterates가 다량 출현하였다. 요각류중 7월과 3월에는 Paracalanus indicus, 9월에는 Acartia pacifica. 그리고 1월에는 Pseudodiaptomus marinus가 주요 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