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

검색결과 11,879건 처리시간 0.043초

창업초기투자 촉진을 위한 한국형 SAFE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Policy of Surging Investment to Early Startups Via Boosting up SAFE in Korea)

  • 박진;양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1-12
    • /
    • 2022
  • 본 논문은 국내 창업초기 투자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SAFE 투자방식이 창업초기투자의 대표적 투자형태로 활성화되며 시장에 안착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SAFE와 컨버터블 노트 방식과의 비교를 통해 SAFE가 컨버터블 노트에 비해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에 보다 적합한 측면이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SAFE 관련 선행연구들이 SAFE 활성화의 가장 중요한 문제로 SAFE의 법률적 지위확보문제, 세제관련문제 그리고 후속투자 유치 실패 및 만기불확실성 문제를 주요 쟁점으로 다루고 있는 점을 참조하여 한국형 SAFE 활성화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SAFE 회계처리 관련, 선행연구들을 참조로 SAFE의 부채와 자본으로서 처리방안의 대안을 제시하며, 특히 SAFE 도입을 주도하는 벤처투자법의 내용을 토대로 SAFE를 자본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세제지원 관련, 현재 개정이 추진되고 있는 벤처기업 인증제도를 토대로, SAFE 투자가 벤처기업인증을 위한 투자로 인정되어야 SAFE 투자관련 세제지원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후속투자 유치 실패 관련, 해외주요사례 벤치마킹 연구들을 토대로, SAFE의 한국형 계약방식 즉, 계약조항 문구를 만들 때 후속투자유치 실패에 대한 안전장치와 만기일 및 그 이후에 대한 이벤트 협상 등의 내용을 담는 수정문구를 반영하는 방법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SAFE 투자가 국내 창업초기 투자방식으로 활성화되기 위한 방식으로 이 제도의 도입 법적근거인 벤처투자법과 제도의 주무부서인 중소벤처기업부의 보다 강한 역할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기존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보다 정책실행적인 관점에서 문제 해결 실행대안을 제시하였다.

원격 백업 시스템에서 2-Safe 방식을 위한 최적화된 트랜잭션 완료 프로토콜 (Optimized Transaction Commit Protocol for 2-Safe Approach in Remote Backup Systems)

  • 이창희;조행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717-1720
    • /
    • 2002
  • 원격 백업 시스템은 주 시스템에서 재해가 발생했을 때 주 시스템의 데이타를 안전하게 복구하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해 원격지에 주 시스템의 복사본을 두는 시스템이다.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책으로 1-Safe 방식과 2-Safe 방식을 들 수 있다. 1-Safe 방식은 주 시스템에서 트랙션을 완료한 후 백업 시스템에 완료 트랜잭션의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이고, 2-Safe 방식은 트랜잭션이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에서 동시에 완료하는 방식이다. 1-Safe 방식은 주 시스템에서 트랜잭션 처리 시간이 빨라진다는 장점을 갖지만, 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백업시스템에 반영되지 않은 완료 트랜잭션이 존재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2-Safe 방식의 경우 트랜잭션 처리 시간은 증가하지만,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 두 곳에서 동시에 완료 트랜잭션의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완료 트랜잭션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2-Safe 방식을 위한 최적화된 트랜잭션 완료 프로토콜인 O2PC를 제안한다. O2PC는 주 시스템과 백업 시스템간에 메시지 전송 오버헤드와 로그 기록 오버헤드를 최소화함으로써 2-Safe 방식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 PDF

Safe와 Non-safe 전력 부하 라인 분석을 위한 TFP트리 기반의 점진적 출현패턴 마이닝 (TFP tree-based Incremental Emerging Patterns Mining for Analysis of Safe and Non-safe Power Load Lines)

  • 이종범;박명호;류근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71-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특정 지역의 전력 소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safe와 non-safe 전력 부하 라인의 차이를 분석하여 정의하고, 출현패턴을 사용하여 잠재되어 있는 non-safe라인을 식별하기 위하여 제한된 메모리에서 효율적으로 패턴을 찾을 수 있는 TFP-tree 기반의 점진적 출현패턴 마이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두 개의 다른 최소 지지도 값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에서의 마이닝 문제를 해결한다.

Safe Petri Net의 상태천이행렬식에 의한 비연속시스템의 점화순서 결정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Firing Sequence of Safe Petri Net Using its Matrix Equation)

  • 황창선;이재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0권3호
    • /
    • pp.299-307
    • /
    • 1991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termination of a firing sequence of transitions in the reachability problem of Safe Petri Net. The determination problem of a firing sequence is very important from the point of practical view, especially in the control of the discrete systems modelled by Safe Petri Net. The determination method of a firing sequence of transitions by means of the matrix equation for the discrete systems modelled by Safe Petri Net is proposed. First,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dicence matrix and the firing rule for Safe Petri Net with self-loop are presented by defining the permissive arc in place of self-loop. Next, we develop a method that can find the enable transitions of Safe Petri Net by means of the matrix equation of Safe Petri Net. Finally, by using this method,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determines the firing sequence of transitions of Safe Petri Net.

  • PDF

HDL을 이용한 고장안전(Fail-Safe) 인터페이스 설계 (The Design of Fail-Safe Comparator by HDL)

  • 양성현;백순흠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6호
    • /
    • pp.803-8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결함허용(Fault Tolerant)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2진 신호를 고장안전(Fail-Safe) 신호로 변환하는 SFS(Strongly Fail-Safe)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SFS 특성은 자체검사(Self-Checking) 기법을 근거로 만족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개별 부품에 의한 기존의 고장안전 인터페이스 설계와는 달리 집적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고장안전 시스템 설계에 대한 정의를 함으로써 새로운 시스템 구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MBR-Safe 변환 : 유사 시퀀스 매칭에서 고차원 MBR의 저차원 변환 (NBR-Safe Transform: Lower-Dimensional Transformation of High-Dimensional MBRs in Similar Sequence Matching)

  • 문양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7호
    • /
    • pp.693-707
    • /
    • 2006
  • 대부분의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은 다차원 색인을 사용한 검색 속도의 향상을 위해, 많은 수의 고차원 시퀀스를 저차윈 변환한 후 이들 변환된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저차원 MBR을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MBR자체를 직접 저차원 MBR로 변환하는 정형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사용하면 유사 시퀀스 매칭에서 필요한 저차원 변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이를 위해, 우선 변환의 MBR-safe 개념을 정형적으로 제안한다. 어떤 변환이 MBR-safe하다 함은 고차원 MBR을 직접 변환한 저차원 MBR이 개별 고차원 시퀀스가 변환된 저차원 시퀀스를 모두 포함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기존 저차원 변환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DFT와 DCT에 대해 각각 MBR-safe 변환을 제안한다. 먼저, 기존 DFT와 DCT가 MBR-safe하지 않음을 보이고, DFT와 DCT를 확장한 mbrDFT와 mbrDCT를 각각 정의한다. 그리고, 이들 mbrDFT와 mbrDCT가 MBR-safe함을 정형적으로 증명한다. 또한, mbrDFT(흑은 mbrDCT)가 고차원 MBR을 저차원 MBR로 직접 변환하는 DFT(혹은 DCT) 기반의 최적 MBR-safe 변환임을 증명한다. 분석과 실험 결과, 제안한 mbrDFT 및 mbrDCT를 사용하면 저차원 변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볼 때, 본 논문에서 제시한 MBR-safe 개념은 고차원 MBR의 저차원 변환이 필요한 많은 응용에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연구 결과라 사료된다.

SAFE댐퍼 보강골조의 구조성능 실험적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of RC Frame with SAFE Damper)

  • 소병찬;이창환;주영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5-94
    • /
    • 2015
  • SAFE damper is a hybrid damper which is comprised of a friction damper and a metallic damper. These two dampers combine to resist external energy in stages. Under minor earthquake loads, the friction damper operates alone. However, the friction damper and metallic damper dissipate the energy together when a severe earthquake occurs. In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for seismic retrofitting, the SAFE damper has many advantages. The SAFE damper doesn't cause damage to façade of the building,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reduced when retrofitting. This paper describes experiments evaluat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AFE damper.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RC bare fram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SAFE damper.

Defining a "Safe System of Work"

  • Caponecchia, C.;Wyatt, 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421-423
    • /
    • 2021
  • Providing a "safe system of work" is the essence of the general duties that employers have to their employees under workplace health and safety regulations. Despite this, consistent and appropriate definition of what constitutes a safe system of work is almost non-existent. Available definitions tend to confuse a safe system of work with management practices intended to bring about a safe system, or conflate the broad system suggested in general duties clauses with procedures or work methods that are focused on particular hazards or tasks. This article develops a definition of safe systems of work which recognises the broad scope of the concept and includes psychological health and return to work processes. This definition can be used by a range of stakeholders to better communicate the scope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duties and more consistently assess whether a safe system has been provided both before and after incidents occur.

지역사회 보건 융합에 활용 가능한 노인 운전자용 자가-보고식평가(SAFE-DR)의 타당도 연구 (Validity of the Self-report Assessment Forecasting Elderly Driving Risk (SAFE-DR) Applicable to Community Health Convergence)

  • 최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5-182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용 자가 보고식 평가 SAFE-DR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운전위험성 선별을 위한 기준점수를 확인하고 평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Driver 65 Plus평가를 통해 노인운전자 132명을 58명의 위험성 운전자와 74명의 안전성 운전자로 구분하고, 이를 기준으로 SAFE-DR 평가의 위험성 예측 기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SAFE-DR 평가의 구성 타당도, 내용 타당도,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SAFE-DR 평가의 운전위험성 예측을 위한 기준점수는 74.5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기준의 양성 예측도는 88.6%, 음성 예측도는 86.3%로 판별력은 훌륭한(excellent)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집중타당성, 법칙타당성, 내용타당성이 적절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SAFE-DR은 위험한 노인운전자를 선별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임을 확인하였다.

Factors affecting the safe sexual behaviors of Korean young adults by gende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Nalae Moon;Hyunjin Kang;Su Ji Heo;Ju Hee Kim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5-127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afe sexual behaviors of Korean young adults and identify differences by gender. Method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ed safe sexual behavi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ata from 437 Korean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between January 3 and January 28, 2022.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on sexual body image, sexual role perception, sexual attitudes, sexual socialization, sexual communication, and safe sexual behavio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Results: According to the overall model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final model was acceptable and explained 49% of safe sexual behaviors. Sexual attitudes (β=h-.70, p<.001) and sexual communication (β=.53, p<.001) directly affected safe sexual behaviors, and sexual role perception (β=.42, p<.001) indirectly affected safe sexual behaviors in a combined model.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 from sexual attitudes (β=-.94, p<.001) and sexual communication (β=.66, p<.001) to safe sexual behaviors and from sexual body image (β=.27, p<.001) to sexual communication. Conclusion: Sexual attitudes and sexual communication were predictors of safe sexual behaviors, which differed by gender. Strategies that consider sexual attitudes, sexual communication, sexual role perception, an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safe sexual behaviors of young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