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WAT BFlow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pplication of Seasonal Alpha Factor using SWAT BFlow Program (SWAT BFlow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절별 alpha factor 적용)

  • Kang, Hyun-Woo;Ryu, Ji-Chul;Kum, Dong-Huck;Jeong, Young-Hun;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2-462
    • /
    • 2012
  • 수문 분석과 갈수기 유량 산정, 가뭄관리에 직접/기저 유출 분리 및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많은 모형들이 개발되었고, 실제 유역에 적용되어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 Baseflow filter program(BFlow)을 이용한 감수곡선의 Alpha factor 산정 방법이 직접/기저 유출 분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BFlow는 장기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그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Alpha factor 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계절별/연별로 변화하는 감수곡선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기에는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별로 변화하는 감수곡선 특성을 조금 더 정확하게 실제 유역에 적용하기 위하여 BFlow 프로그램이용, 장기간의 유량 특성을 분석하여 계절별 Alpha factor를 산정하고 이를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에 적용하여 기존의 방법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SWAT 모형의 경우 alpha factor가 실제로는 Hydrologic Response Unit (HRU) 별로 활용되기 때문에, 계절별 Alpha factor 산정이 미치는 영향이 실제로 다소 크게 분석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저유량 부분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Alpha factor 저유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SWAT 모형의 단점인 저유량 산정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Baseflow through Application of SWAT-BFlow β Parameter by Flow Conditions (SWAT-BFlow의 β 매개변수 유황별 적용을 통한 기저유출 분석)

  • Jeong Yeonji;Bak Sangjoon;Lee Seoro;Lee Gwanjae;Choi Yonghun;Jeong Yecha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0-200
    • /
    • 2023
  • 기후변화로 홍수 및 가뭄의 빈도 증가로 인해 수자원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하천유량은 기저유출과 직접유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갈수기의 유량의 대부분은 기저유출로 이루어져 있다. 기저유출의 감소는 어류의 서식지 감소, 수질 악화 등 부정적인 영향을 하천 환경에 준다. 하천의 유역별로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하여 기저유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그 변동성을 해석하는 것은 유역관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기저유출 분리 방법 중 BFlow (Baseflow filter program)는 유역 단위 모형인 SWAT과 연계되어 장기유출에 대한 기저유출 특성을 파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BFlow는 유역의 특성에 따라 총 3개의 filter 중 한 개를 선택하여 하천유량에 대한 filter의 통과량으로 기저유출을 계산하며 총 세 번의 filter값을 각각 pass 1 ~ 3로 표현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pass 1, pass 2를 이용해서 기저유출을 산정하였으나 pass 2보다 pass 1의 첨두가 하천유출수문곡선의 하강부에 있는 변곡점에 접근하여 기저유출이 분리된다. 또한, BFlow에서 기저유출 분리시 단일 β parameter가 적용되며 수문곡선의 감수부에 민감도가 높은 변수이다. SWAT 모형을 통해 모의된 유출량은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검,보정하였고 모의 결과의 기저유출량과 BFlow의 β parameter를 유황별로 적용한 pass 1의 기저유출량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존 SWAT 기저유출량보다 수정된 BFlow를 통해 하천유량에서 기저유량을 분리한 결과가 수문곡선감수부의 변곡점에 기저유출 첨두가 위치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황별로 β parameter를 적용시켜 감수부 특징을 반영할 수 있게 수정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 및 유역 환경 관련 정책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Web-based SWAT LUC with SWAT BFlow Alpha Factor and Slope-based CN modules (Web 기반의 SWAT LUC 및 BFlow Alpha factor와 경사도 기반 CN 모듈 개발)

  • Lee, Dongjun;Han, Jeongho;Sung, Yunsoo;Kim, Jonggu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1-291
    • /
    • 2016
  • 토지이용변화는 환경 변화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이기 때문에 수문 모델링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다. 특히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지는 지역에 대해서는 토지이용변화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인구와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CLUE-S 모델이 개발되었지만 아직까지 대부분 수문모델은 토지이용변화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Pai, N. 와 D. Saraswat은 SWAT2009_LUC Tool를 개발하여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토지를 고려한 수문모의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SWAT2009_LUC는 새로운 종류의 토지이용종류를 고려할 수 없어 유역 내 새로운 토지이용도가 추가될 시 이를 모의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Friedrich J. Koch Koch는 Land use Update and Soil Assessment(LUPSA)를 개발하여 새로운 토지이용도 및 변화된 토지이용도의 경사도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LUPSA 모듈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AT 사용자들이 토지이용변화를 많이 고려할 수 있도록 Web 기반의 LUC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SWAT BFlow Alpha Factor와 경사도 기반의 CN을 산정할 수 있는 모듈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Web 기반의 LUC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SWAT 사용자들로 하여금 급격하게 토지가 변화한 유역에 대해 정확한 수문모의를 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Baseflow at Four Major Rivers using Web-based SWAT Bflow System (Web 기반 SWAT Bflow을 이용한 4대강 유역 기저유출 분석)

  • Kum, Dong-Hyuk;Moon, Jong-Pil;Ryu, Ji-Chul;Kang, Hyun-Woo;Jang, Won-Seok;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3-373
    • /
    • 2011
  •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Four River Restoration Project (i.e., Han, Geum, Nakdong, and Yeongsan rivers) since the second half of 2008. This project is expected to protect against floods and droughts by water resources management. Many researchers have study water resources management, but most studies were focused on direct runoff. However, in order to efficiently protect against floods and droughts, baseflow should be studied as well as direct runoff. Because baseflow has a great effect on streamflow, it needs to be correctly analyzed. For more accurate analysis of baseflow, direct runoff and baseflow from streamflow should be separated first. In this study, 12 flow gauging stations of four major rivers were selected, and flow data from them were obtained (2004-2010) through WAMIS and Web-based SWAT Bflow system (http://www.envsys.co.kr/~swatbflow) which was used to separate direct runoff and baseflow. Baseflow values of Pass 2 in SWAT Bflow system were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baseflow contribution was ranged from 23.4% to 68.6% and accounted for about 50% of streamflow. Through this study, it shows that in the case of the flow fluctuation, baseflow is more affected than direct runoff by changes in streamflow in a flood or dry season. Thus, baseflow estima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for efficient water resources management. However, it has a limitation in this study that because this study used to select randomly 12 flow gauging stations, it did not show a common tendency on each watershed. It is important that flow gauging stations reflected on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watershed should be selected in a rigorous manner for further reliable and accurate baseflow estimation on four major rivers.

  • PDF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using SWAT and BFlow Models (SWAT 모형과 BFlow를 이용한 지하수 함양, 기저유출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

  • Lee, Ji Min;Park, Youn Shik;Jung, Younghun;Cho, Jaepil;Yang, Jae Eui;Lee, Gwanjae;Kim, Ki-Sung;Lim, Kyoung J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0 no.5
    • /
    • pp.549-558
    • /
    • 2014
  • Occurrence frequency of flood and drought tends to increase in last a few decades, leading to social and economic damage since the abnormality of climate changes is one of the causes for hydrologic facilities by exceedance its designed toleranc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in the study to estimate temporal variance of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It was limited to consider recession curve coefficients in SWAT model calibration process, thus the recession curve coefficient was estimated by the Baseflow Filter Program (BFLOW) before SWAT model calibration. Precipitation data were estimated for 2014 to 2100 using three models which are GFDL-ESM2G, IPSL-CM5A-LR, and MIROC-ESM with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scenario. SWAT model was calibrated for the Soyang watershed with NSE of 0.83, and $R^2$ of 0.89. The percentage to precipit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were 27.6% and 17.1% respectively in 2009. Streamflow,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were estimated to be increased with the estimated precipitation data. GFDL-ESM2g model provided the most large precipitation data in the 2025s, and IPSL-CM5A-LR provided the most large precipitation data in the 2055s and 2085s. Overall,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displayed similar trend to the estimated precipitation data.

Importance of Baseflow Separa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ings through Baseflow for Efficient Watershed Managemen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한 기저유출 분리 및 기저비점의 중요성)

  • Han, Jeong Ho;Kum, Dong Hyuk;Kim, Jonggun;Lim, Kyo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8-88
    • /
    • 2017
  • 유역에서의 효율적인 수량 및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수문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유출 수문곡선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기저유출 산정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수문학교과서에 수록된 다양한 기저유출 방법은 실제 장기 유출 수문곡선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유역의 다양한 유출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SGS에서 개발한 기저유출 분리 모형와 SWAT BFlow, 그리고 WHAT 시스템에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모형을 이용한 기저유출 분석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정확한 기저유출 분리를 위해서는 유역의 감수곡선 특성을 반영한 기저유출 분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주지하수 감수곡선처럼 유역 대표 감수 특성을 이용하기 보다는 유황이나 계절별 감수특성을 고려한 김수 특성 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유역에서 기저유출로 인한 오염부하 특성을 NO3-N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정확한 기저유출 산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기저유출과 같은 수문 구성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는 효율적인 수량 및 수질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