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VM classifier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35초

GA-SVM Ensemble 모델에서의 accuracy와 diversity를 고려한 feature subset population 선택

  • 성기석;조성준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
    • pp.614-620
    • /
    • 2005
  • Ensemble에서 feature selection은 각 classifier의 학습할 데이터의 변수를 다르게 하여 diversity를 높이며, 이것은 일반적인 성능향상을 가져온다. Feature selection을 할 때 쓰는 방법 중의 하나가 Genetic Algorithm (GA)이며, GA-SVM은 GA를 기본으로 한 wrapper based feature selection mechanism으로 response model과 keystroke dynamics identity verification model을 만들 때 좋은 성능을 보였다. 하지만 population 안의 후보들간의 diversity를 보장해주지 못한다는 단점 때문에 classifier들의 accuracy와 diversity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heuristic parameter setting이 존재하며 이를 조정해야만 하였다. 우리는 GA-SVM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population안 후보들의 fitness를 측정할 때 accuracy와 diversity 둘 다 고려하는 fitness function을 도입하여 추가적인 classifier 선택 작업을 제거하면서 성능을 유지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줄이면서도 모델의 성능을 유지시켰다.

  • PDF

Support Vector Machine and Spectral Angle Mapper Classifications of High Resolution Hyper Spectral Aerial Image

  • Enkhbaatar, Lkhagva;Jayakumar, S.;Heo, 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3-242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wo different types of supervised classifiers such as support vector machine (SVM) and spectral angle mapper (SAM). The 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CASI) high resolution aerial image was classified with the above two classifier. The image was classified into eight land use /land cover classes. Accuracy assessment and Kappa statistics were estimated for SVM and SAM separately. Th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and Kappa statistics value of the SAM were 69.0% and 0.62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SVM (62.5%, 0.54).

복소수 SVM을 이용한 목표물 식별 알고리즘 (Target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Complex-valued Support Vector Machine)

  • 강윤정;이재일;배진호;이종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4호
    • /
    • pp.182-18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정지하고 있는 배경에서 움직이는 목표물을 식별하기 위해 PDR(pulse doppler radar)을 이용하여 수집한 복소수 신호를 처리하는 복소수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제안한다. SVM은 패턴인식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나 분류에 이용되는 특징이 대부분 실수 데이터이다. 제안된 복소수 SVM은 실수 데이터, 허수 데이터 정보와 실수부와 허수부 사이의 교차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이동하는 목표물의 분류를 수행한다. 복소수 SVM을 설계하기 위해 최적화 조건 적용 시 실수축과 허수축에 대한 슬랙변수를 고려하였고, 복소수 데이터에 대한 KKT(Karush-Kuhn-Tucker) 조건을 이용하였다. 또한 복소수 거리를 이용한 RBF(radial basis function)를 커널함수로 적용하였다. 제안된 복소수 SVM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PDR 센서로 수집된 복소 데이터를 기존의 SVM과 복소수 SVM을 이용하여 분류한 결과 기존의 SVM에 비해 복소수 SVM의 식별결과가 개와 사람 각각 8%, 10% 향상되었다.

복합특징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필기체 숫자인식 (Handwritten Numeral Recognition using Composite Features and SVM classifier)

  • 박중조;김태웅;김경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761-27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숫자의 전경특징과 배경특징을 이용하고 SVM 분류기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필기체 숫자인식에서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숫자의 전경특징은 숫자의 에지선을 추출한 Kirsch 방향특징과 숫자선 자체를 추출한 projection 방향특징으로 구성되며, 숫자의 배경특징은 숫자의 볼록외피로 부터 추출되는 오목특징이다. 여기서 오목특징은 방향특징에 대해 보완적인 특징으로 작용하여 분류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인식기로는 RBF 커널을 이용한 SVM 분류기를 사용하고, CENPAMI 숫자특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제시된 방법의 성능을 검사하였다. 실험 결과 각기 다른 분류 성능을 갖는 이들 3종의 특징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인식률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시된 복합특징에 의해 98.90%의 인식률을 달성하였다.

다중 바이오 인증에서 특징 융합과 결정 융합의 결합 (Combining Feature Fusion and Decision Fusion in Multimodal Biometric Authentication)

  • 이경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33-138
    • /
    • 2010
  • 본 논문은 얼굴과 음성 정보를 사용한 다중 바이오 인증에서, 특정 단계의 융합과 결정 단계의 융합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단계 융합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과 음성 특징을 1차 융합한 얼굴 음성 융합특징에 대해 Support Vector Machines(SVM)을 생성한 후, 이 융합특징 SVM 인증기의 결정과 얼굴 SVM 인증기의 결정, 음성 SVM 인증기의 결정들을 다시 2차 융합하여 최종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 XM2VTS 멀티모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특징 단계 융합, 결정 단계 융합, 다단계 융합 인증을 비교 실험한 결과, 제안한 다단계 융합에 의한 인증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Design of High-Performance Unified Circuit for Linear and Non-Linear SVM Classifications

  • Kim, Soo-Jin;Lee, Seon-Young;Cho, Kyeong-Soo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162-167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a high-performance unified SVM classifier circuit. The proposed circuit supports both linear and non-linear SVM classifications.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classification, a 48x96 or 64x64 sliding window with 20 window strides is used. We reduced the circuit size by sharing most of the resources required for both types of classification. We described the proposed unified SVM classifier circuit using the Verilog HDL and synthesized the gate-level circuit using 65nm standard cell library. The synthesized circuit consists of 661,261 gates, operates at the maximum operating frequency of 152 MHz and processes up to 33.8 640x480 image frames per second.

SVM-KNN-AdaBoost를 적용한 새로운 중간교사학습 방법 (Semisupervised Learning Using the AdaBoost Algorithm with SVM-KNN)

  • 이상민;연준상;김지수;김성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9호
    • /
    • pp.1336-1339
    • /
    • 2012
  • In this paper, we focus on solving the classification problem by using semisupervised learning strategy. Traditional classifiers are constructed based on labeled data in supervised learning. Labeled data, however, are often difficult, expensive or time consuming to obtain, as they require the efforts of experienced human annotators. Unlabeled data are significantly easier to obtain without human efforts. Thus, we use AdaBoost algorithm with SVM-KNN classifier to apply semisupervised learning problem and improve the classifier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on both artificial and UCI data se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can reduce the error rate.

부정맥 증상을 자동으로 판별하는 Random Forest 분류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수정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modified algorithm for improving accuracy of Random Forest classifier which identifies automatically arrhythmia)

  • 이현주;신동규;박희원;김수한;신동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6호
    • /
    • pp.341-348
    • /
    • 2011
  • 생체신호의 한 분야인 심전도는 분류알고리즘을 사용한 실험이 일반적이다. 심전도를 실험한 논문에서 사용된 분류알고리즘은 대부분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layer Perceptron) 이었으나, 본 실험은 Random Forest 분류기를 시도하였다. 실험방법은 Random Forest 알고리즘을 실험데이터의 신호의 특징에 기반하여 분석하도록 수정하였고, 분류기의 수정된 알고리즘 성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SVM과 MLP 분류기와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에서는 심전도 신호의 R-R interval을 추출하여 시행하였으며 또한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한 타 논문의 결과와 본 실험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수정된 Random Forest 분류기가 SVM, MLP 분류기, 그리고 타 실험의 결과보다 정확도 부분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실험의 전처리 과정에서는 대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R-R interval을 추출하였다. 그러나 심전도 실험에서는 대역통과 필터 뿐 아니라, 웨이블릿 변환, 메디안 필터, 유한 임펄스 필터 등으로 실험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향후에는 전처리과정에서 기저선 잡음(baseline wandering)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필터의 선택이 필요하며, R-R interval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The Classification of Electrocardiograph Arrhythmia Patterns using Fuzzy Support Vector Machines

  • Lee, Soo-Yong;Ahn, Deok-Yong;Song, Mi-Hae;Lee, Kyoung-J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1권3호
    • /
    • pp.204-210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fuzzy support vector machine ($FSVM_n$) pattern classifier to classify the arrhythmia patterns of an electrocardiograph (ECG). The $FSVM_n$ is a pattern classifier which combines n-dimensional fuzzy membership functions with a slack variable of SV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lassifier, the MIT/BIH ECG database, which is a standard database for evaluating arrhythmia detection, was used. The pattern classification experiment showed that, when classifying ECG into four patterns - NSR, VT, VF, and NSR, VT, and VF classification rate resulted in 99.42%, 99.00%, and 99.79%,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FSVM_n$ shows better patter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SVM and FSVM algorithms.

불균형의 대용량 범주형 자료에 대한 분할-과대추출 정복 서포트 벡터 머신 (A divide-oversampling and conquer algorithm based support vector machine for massive and highly imbalanced data)

  • 방성완;김재오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7-188
    • /
    • 2022
  • 일반적으로 support vector machine (SVM)은 높은 수준의 분류 정확도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분류분석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SVM은 최적화 계산식이 이차계획법(quadratic programming)으로 공식화되어 많은 계산 비용이 필요하므로 대용량 자료의 분류분석에는 그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불균형 자료(imbalanced data)의 분류분석에서는 다수집단에 편향된 분류함수를 추정함으로써 대부분의 자료를 다수집단으로 분류하여 소수집단의 분류 정확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수집단을 분할(divide)하고, 소수집단을 과대추출(oversampling)하여 여러 분류함수들을 추정하고 이들을 통합(conquer)하는 DOC-SVM 분류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DOC-SVM은 분할정복 알고리즘을 다수집단에 적용하여 SVM의 계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과대추출 알고리즘을 소수집단에 적용하여 SVM 분류함수의 편향을 줄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과 실제자료 분석을 통해 제안한 DOC-SVM의 효율적인 성능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