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4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성게 껍질 분말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Sea Urchin Shell Powder on Broiler Performance and Mineral Contents in Chicken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1-66
    • /
    • 2005
  • 본 실험은 성게 껍질 분말의 사료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첨가수준(0, 1, 3, $5\%$)에 따라 육계의 생산성, 계육의 무기물 및 혈중 콜레스테롤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5주간 사양 시험하였다. 전기 3주간사료내 조단백질은 $21.5\%$, ME는 3,100 kcal/kg 수준으로 공급하였고,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ME 3,100 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첨가구) 성게 껍질 분말 $1\%$ 첨가구(T1), $3\%$첨가구(T2), $5\%$ 첨가구(T3)로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로 총 160수를 공시하였다. 그 결과 증체량은 T1구에서 사육전기에 현저하게 개선되었지만(P<0.05) 사육후기에는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사료효율은 처리구 사이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P>0.05).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구보다 성게 껍질 분말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HDL-C은 처리구 중T2, T3에서 높았고(P<0.05), LDL-C과 triglyceride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성게 껍질 분말 급여 수준에 따른 무기물의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e, Zn, Ca함량이 많았으며(P<0.05) 총무기물 함량은 성게 껍질 분말 급여구에서 많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육계사료 내 성게 껍질 분말의 급여는 Ca, Fe 및 총무기물 함량이 증가된 계육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scuing p53 from mdm2 by a pre-structured motif in intrinsically unfolded SUMO specific protease 4

  • Kim, Do-Hyoung;Lee, Chewook;Kim, Bom;Lee, Si-Hyung;Han, Kyou-Hoon
    • BMB Reports
    • /
    • 제50권10호
    • /
    • pp.485-486
    • /
    • 2017
  • Many intrinsically unstructured/unfolded proteins (IUPs) contain transient local secondary structures even though they are "unstructured" in a tertiary sense. These local secondary structures are named "pre-structured motifs (PreSMos)" and in fact are the specificity determinants for IUP-target binding, i.e., the active sites in IUPs. Using high-resolution NMR we have delineated a PreSMo active site in the intrinsically unfolded mid-domain (residues 201-300) of SUMO-specific protease 4 (SUSP4). This 29-residue motif which we termed a p53 rescue motif can protect p53 from mdm2 quenching by binding to the p53-helix binding pocket in mdm2(3-109). Our work demonstrates that the PreSMo approach is quite effective in providing a structural rationale for interactions of p53-mdm2-SUSP4 and opens a novel avenue for designing mdm2-inhibiting anticancer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