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 index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Number of External Anogenital Warts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bnormal Cervical Cytology

  • Chayachinda, Chenchit;Boriboonhirunsarn, Dittakarn;Thamkhantho, Manopchai;Nuengton, Chanon;Chalermchockcharoenkit, Amp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3호
    • /
    • pp.1177-1180
    • /
    • 2014
  • Background: Anogenital warts (AGWs) are common results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STI). Human papillomavirus (HPV) types 6 and 11, which are non-oncogenic types, account for 90% of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lthough the quadrivalent HPV vaccine has been launched, AGW remains prevalent in some countries and shows association with abnormal cervical cytology. Objectives: To study the prevalence of abnormal cervical cytology (low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or worse; LSIL+) in immunocompetent Thai women newly presenting with external AGWs.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charts of all women attending Siriraj STI clinic during 2007-2011 were reviewed. Only women presenting with external AGWs who were not immunocompromised (pregnan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positive or being on immunosuppressant drugs) and had not been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 were included into the study.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those of AGWs and LSIL+. Results: A total of 191 women were eligible, with a mean age of $27.0{\pm}8.9$ years; and a mean body mass index of $20.6{\pm}8.9kg/m^2$. Half of them finished university. The most common type of AGWs was exophytic (80.1%). The posterior fourchette appeared to be the most common affected site of the warts (31.9%), followed by labia minora (26.6%) and mons pubis (19.9%). The median number of lesions was 3 (range 1-20). Around 40% of them had recurrent warts within 6 months after completing the treatment. The prevalence of LSIL+ at the first visit was 16.3% (LSIL 12.6%, ASC-H 1.1%, HSIL 2.6%). After adjusting for age, parity and miscarriage, number of warts ${\geq}5$ was the only factor associated with LSIL+(aOR 2.65, 95%CI 1.11-6.29, p 0.027). Conclusions: LSIL+ is prevalent among immunocompetent Thai women presenting with external AGWs, especially those with multiple lesions.

사무공간의 음향성능 측정, 평가 방법의 표준화와 유럽 국가들의 음향성능 기준 비교 (Comparison of acoustic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standard of office space and office acoustics criteria of European countries)

  • 정정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3-142
    • /
    • 2023
  • 업무 형태 변화와 Information Technology(IT) 기술 발전 그리고 Coronavirus disease(COVID)-19 상황 등에 따라 사무환경도 변화되고 있다. 사무공간 사용자가 쾌적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사이의 교류는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 확보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사무공간의 음향성능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 성능 기준과 지침은 수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무공간 음향성능 측정, 평가 방법의 표준화와 유럽 국가들의 음향성능 기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국제표준화 동향과 각국의 음향성능 기준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우리나라 사무공간 음향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사무공간 음향성능과 만족도 평가 기준을 수립하여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국제표준화 방향과 통신, 전기음향 시스템과의 호환 등을 고려하여 음성전달지수 또는 음성전달지수 응용지표를 활용한 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하고 활용도와 호환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무용 가구류 업계에서도 사무공간의 음향성능 개선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사무용 가구류의 음성 레벨 저감량에 관한 성능 기준을 수립하고 표시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A Novel Niosomal Combination of Selenium Coupled with Glucantime against Leishmania tropica

  • Mostafavi, Mahshid;Khazaeli, Payam;Sharifi, Iraj;Farajzadeh, Saeedeh;Sharifi, Hamid;Keyhani, Alireza;Parizi, Maryam Hakimi;Kakooei, Sin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1호
    • /
    • pp.1-8
    • /
    • 2019
  •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available against different forms of leishmaniasi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enetration and efficacy of selenium and glucantime coupled with niosomes and compared them with their simple forms alone on in vitro susceptibility assays. In this study, the niosomal formulations of selenium and in combination with glucantime were prepared. The size and morphology of the niosomal formulations were characterized and the effectivity of the new formulation was also evaluated using in vitro MTT assay, intra-macrophage model, and gene expression profile. From the results obtained, no cytotoxicity effect was observed for niosomal and simple forms of drugs, as alone or in combination. Niosomal formulations of the drugs significantly showed more inhibitory effects ($P{\leq}0.001$) than the simple drugs when the selectivity index was consider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of Interleukin (IL-10)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e level of IL-12 and metacaspase significantly increased ($P{\leq}0.001$).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selenium plus glucantime niosome possess a potent anti-leishmanial effect and enhanced their lethal activity as evidenced by the in vitro experiments.

지역 연구 공용장비 운영체계 개선을 위한 특성 분류 연구: 경기도 지역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Research on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of Regional Operation System of the Shared Research Instrument: Exploratory Case Study of Gyeonggi Region, Korea)

  • 홍재근;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833-859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 소재 과학기술 연구 공용장비에 대한 중복투자 방지와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통한 지역내 R&D 효율성을 증진을 위해서 지역 연구 공용장비 운영체계의 특성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하부구조정책 및 지역혁신체제의 관점에서 R&D투자와 R&D활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경기도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사례분석과 교차사례분석의 2단계 프로세스로 수행된다. 우선, 경기도 소재 주요 R&D 기관별 공용장비의 구축 활용 사례 조사와 운영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공용장비 운영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전(前) 단계에서 조사된 특성들을 공용장비의 운영주체의 조직거버넌스 특성에 따른 3가지 분류와 4가지 이슈를 매트릭스 방식으로 범주화하여 지자체 차원의 정책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이슈를 정리하였다. 교차사례분석에 따라 각 운영체계별로 도출된 주요 이슈는 (1) 지자체 주도 운영체계의 경우 '공용장비 사용 수수료 체계' 및 ;공용장비 운용의 성과 지표 정립 및 성과 측정 방법',(2) 국가/지자체/공공연구기관 등 공동 운영체계의 경우 '공용장비 운용 성과' 및 '사업부별 공용장비 회계시스템 구축', '예산 지원방식 변경',(3) 대학 운영체계의 경우 '사업종료 후 지속적 공동활용 촉진 방안'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슬러지 농도 최적화에 따른 합리적인 활성슬러지공정 설계방안 연구 (Economic Design of Activated Sludge System at the Optimum Sludge Concentration)

  • 이병준;최윤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5호
    • /
    • pp.483-490
    • /
    • 2014
  • 활성슬러지 공정의 생물학적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설계와 관련해서 정상상태 설계식(Ekama et al., 1986; WRC, 1984) 및 1-D flux theory 설계식(Ekama et al., 1997)을 사용하여 슬러지 농도에 따라 두 가지 공정을 일괄적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슬러지 농도에 따른 생물학적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크기 변화를 도식화하고, 유입수 성상이나 슬러지 침강성, 환경 및 운전조건 그리고 첨두유량이 각 공정의 크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먼저유입수의 특성과 관련하여 난분해성 용해성 물질(fs,us)은 반응조 크기 결정에 큰 영향이 없었지만, 난분해성 입자성 물질(fs,up), 무기고형물(fi) 및 유기물 강도(Sti)의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운전인자인 Sludge Retention Time (SRT)의 경우, 슬러지 생산량과 관련되므로 반응조 크기결정에 역시 큰 영향을 미쳤다. 2차 침전지의 설계요소인 Sludge Volume Index (SVI) 및 첨두유량이 커질수록 2차 침전지에 수리학적 부하가 커지게 되어, 2차 침전지가 크게 설계되어야 했다. 본 설계과정에서는, 온도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작게 나타났다. 대규모 처리장의 경우 반응조 및 2차 침전지 전체 크기 결정과 함께 1개조 크기의 상한선을 설정하여 개수를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엔지니어는 여러 가지 슬러지 농도에 대하여 반응조 및 2차 침전조의 크기, 개수 및 현장조건을 고려한 건설비용을 반복적으로 계산하게 되면, 최소비용 설계와 함께 최적의 슬러지 농도를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