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36.ST44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초

침치료(鍼治療)에 의한 말초성(末梢性) 안면신경마비(顔面神經麻痺)의 임상적(臨床的) 관찰(觀察) (Clinical Observation of Bell's Palsy)

  • 강성길;김용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16
    • /
    • 1995
  • 1994년 3월부터 1995년 2월까지 1년동안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로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침구1과에 침치료를 받기 위하여 내원한 환자중 발병한지 1주일 이내로 이부(耳部) 대장포진(帶狀疱疹)이나 종양 또는 외상을 당하지 않은 초발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3회씩 합곡(合谷)(L14), 족삼리(足三里)(ST36), 영향(迎香)(LI20), 찬죽(BL2), 예풍(TE17), 지창(地倉)(ST4), 협차(頰車)(ST6), 수구(水溝)(GV26), 승장(承漿)(CV24), 양백(陽白)(GB14)과 어요(魚腰)(Ex-HN4)를 선혈(選穴)하여 자침하고 치료경과를 관찰하였다. 지창(地倉)에서 협차(頰車), 수구(水溝)와 승장(承漿)에서 지창(地倉), 양백(陽白)에서 어요(魚腰)로는 투자법을 실시하였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39.3세이었고, 여성이 63.6%를 차지하였고 그중 한 명은 임신중이었다. 안면신경마비의 회복판정 척도는 House-Brackmann facial nerve grading scales를 사용하여 초진부터 초진후 7주까지 또는 7주이내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매주 평가하였다. 86.4%의 환자가 초진후 7주이내에 완전히 회복 되었으며, 회복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3.7주로 관찰되었다.

  • PDF

발돌재질에 따른 참조기유자망의 수중거동특성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inkers of the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in the field)

  • 강경범;김석종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1호
    • /
    • pp.10-19
    • /
    • 2010
  • As a series of studies about improvement of yellow croaker drift gill net fishing gear and development of the labor saving fishing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fishing gear, which does use three types of different sinker materials in the field tests. The result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indicated that the fishing gear which used the lead reached the maximum depth and bio ceramics hauled to the surface of water the fas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nking time (St) and depth (Dsl, Dsc, Dsb)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Dsl=2.70St - 0.75, Dsc = 2.38St - 1.15, Dsb = 1.77St - 4.0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uling time (Ht) and depth (Dhl, Dhc, Dhb) of maritime performance test can be shown such experimental equations as and Dhl = 7.88Ht + 35.48, Dhc = 7.80Ht + 40.01, Dhb = 7.95Ht + 36.44.

금강 수계 지천의 어류군집 구조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Cobitis choii와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서식현황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in the Ji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Drainage System of Korea)

  • 고명훈;문신주;이상준;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356-367
    • /
    • 2012
  • 본 연구는 금강 지류인 충남 청양군 지천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와 흰수마자의 서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천 상류(St. 1~St. 4)는 하천형이 Aa-Bb형 또는 Bb형이고 하상구조는 자갈과 돌의 비율이 높았으며 10~23종의 어류가 서식하였고, 중류(St. 5~St. 7)는 하천형이 Bb형이고 하상구조는 돌과 큰돌의 비율이 높았으며 16~23종의 어류가 서식하였으며, 하류(St. 8~St. 10)는 하천형이 Bb-Bc형이고 하상구조는 모래의 비율이 높았으며 20~29종의 어류가 서식하였다. 전체 출현한 어종은 모두 9과 44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37.2%), 아우점종은 돌고기 Pungtungia herzi (5.8%)와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5.5%)였으며, 그 다음으로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 (5.3%)와 참갈겨니 Z. koreanus (5.2%),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4.9%),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3.5%)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16종(36.4%)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멸종위기종은 미호종개와 흰수마자 2종이, 외래어종은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1종이 출현하였다. 지점들 간의 군집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상류(St. 1~St. 4)와 중류(St. 5~St. 7), 하류(St. 8~St. 10)로 나누어지고, 우점도는 하류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지는 반면, 다양도와 균등도, 종풍부도 하류로 갈수록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류에서 출현한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와 흰수마자의 서식현황을 정밀조사한 결과, 두 종 모두 하상이 모래인 곳에 집단을 형성하여 서식하고 있어 주목되었다.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Reproductive Traits in Korean Cattle)

  • 한광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02
  •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5년도 사이에 한우개량단지의 한우 암소에 대하여 조사된 번식성적에 근거하여 한우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능력에서 초종부일령은 466.11${\pm}$5.72일, 초임일령은 480.10${\pm}$6.15일, 초산일령은 742.79 ${\pm}$7.48일, 분만후 초종부일령은 64.97${\pm}$1.42일, 공태일수는 72.06${\pm}$1.73일, 번식간격은 355.93 ${\pm}$1.92일, 임신기간은 285.38${\pm}$0.42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21${\pm}$0.02회였다. 2) 지역별 각 형질에 대한 범위는 초종부일령은 447.62${\pm}$5.94-490.72${\pm}$5.94일, 초임일령은 464.27${\pm}$6.38-505.20${\pm}$6.39일, 초산일령은 721.91 ${\pm}$ 7.85-772.75${\pm}$7.80일, 분만 후 초종부일령은 62.27${\pm}$1.55~68.97${\pm}$1.74일, 공태일수는 69.74${\pm}$ 1.97-74.36${\pm}$2.27일, 번식간격은 352.71${\pm}$2.18-359.64${\pm}$2.09일, 임신기간은 284.52${\pm}$0.42-286.04 ${\pm}$0.47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11${\pm}$0.02-1.30 ${\pm}$0.02회였다. 3) 초종부일령은 혈통등록우가 가장 길었고 상위등록일수록 일령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 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상위등록우로 갈수록 종부회수가 많게 추정되었다. 4) 분만후 초종부일수는 2산차에서 가장 길었으며 산차가 진행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산차가 진행될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분만년도가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경과할수록 분만후 초종부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 간격이 길어지고 수태당 종부회수는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6) 분만후 초종부 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간격은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서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다소 짧게 추정되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서 더 많은 경향이 있었다.

위암에서 유전자 메틸화와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및 Helicobacter pylori균 감염과의 연관성 (DNA Methylation of Multiple Genes in Gastric Cancer: Association with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and Helicobocter pylori Infection)

  • 전경화;원용성;신은영;조현민;임명구;진형민;박우배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4호
    • /
    • pp.227-236
    • /
    • 2006
  • 목적: 유전자 메틸화는 유전자의 서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분열 후 그대로 보존되는 후성적 변화이다. 위암조직과 정상위조직에서 hMLH1, p16, p14, COX-2, MGMT, E-cadherin 유전자와 MINT (MINT1, 2, 12, 25, 31)의 메틸화 상태를 검사하여 위암의 발생 과정에서의 작용과 CIMP 및 Helicobacter pylori균 감염을 포함한 임상병리학적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과 정상위 신선 동결 조직 각각 36예를 대상으로 MSP (methylation-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하여 메틸화 상태를 분석하였고 CIMP의 분석은 MINT1, MINT2, MINT12, MINT25, MINT31의 5개 marker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Helicobacter pylori균 감염여부는 Warthin-Starry silver 염색을 통하여 분류하였다. 결과: 위암 관련 유전자인 p14, p16, MGMT, COX-2, E-cadherin, hMLH1의 메틸화는 각각 14예(38.9%), 13예(36.1%), 8예(22.2%), 10예(27.8%), 21예(58.3%), 6예(16.7%)였다. MINT1과 MINT25의 메틸화는 위암조직에서 정상위조직에서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CIMP 양성률은 위암조직에서 44.4%로 높게 나타났으며 CIMP-H 위암은 환자의 연령과 종양크기와 연관이 있었다. CIMP 양성 위암은 p16 유전자의 메틸화와 연관이 있었고 p16 유전자의 메틸화는 조직학적으로 저분화, 미만형, 궤양형성하는 위암에서 낮게 나타났다. MINT1의 메틸화는 Helicobacter pylori균과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위암에서 hMLH1, p16, p14, COX-2, MGMT, E-cadherin, MINT (MINT1, 2, 12, 25, 31)의 불활성화에 DNA 메틸화가 작용함을 알 수 있었고, Helicobacter pylori균에 의한 위암발생에 MINT1의 메틸화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olecular Changes in Remote Tissues Induced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at Acupoint ST36

  • Rho, Sam-Woong;Choi, Gi-Soon;Ko, Eun-Jung;Kim, Sun-Kwang;Lee, Young-Seop;Lee, Hye-Jung;Hong, Moo-Chang;Shin, Min-Kyu;Min, Byung-Il;Kee, Hyun-Jung;Lee, Cheol-Koo;Bae, Hyun-Su
    • Molecules and Cells
    • /
    • 제25권2호
    • /
    • pp.178-183
    • /
    • 2008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treatment on regions remote from the application, we measured cellular, enzymatic,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in various internal tissues of healthy rats. The EA was applied to the well-identified acupoint ST36 of the leg. After application, we measured the activity of natural killer cells in the spleen, gene expression in the hypothalamus, and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the hypothalamus, liver and red blood cells. The EA treatment increase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spleen by approximately 44%. It also induced genes related to pain, including 5-Hydroxytryptamine (serotonin) receptor 3a (Htr3a) and Endothelin receptor type B (Ednrb) in the hypothalamus, and increased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the hypothalamus, liver, and red blood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A mediates its effects through changes in cellular activity, gene expression, and enzymatic activity in multiple remote tissues. The sum of these alterations may explain the beneficial effects of EA.

침술 효과의 객관화를 위한 접지조건에 따른 경락전위분석 (Analysis of Meridians Potential as Ground Condition for Objectification of Acupuncture Effect)

  • 이용흠;이균정;김은근;김한성;신태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2호
    • /
    • pp.436-441
    • /
    • 2007
  • Background: As patients are positioned at insulated bed and practitioner are positioned at insulated floor or shoes, it could be a cause of lessening effect in acupuncture practice. We investigated how Ground connection could influence on the electrical meridian potential between practitioner and patient during acupuncture practice. Method: We treated 30 normal healthy subjects with acupuncture and measured changes in the electrical potential between the stomach meridian points ST-39 and ST-37 in response to light touch after insertion of a needle at ST-36. At first, we stimulated needle and measured electrical potentials for non ground, patient ground only, practitioner ground only, all ground, respectively. Result: All ground subject elicited positive mean potential $44.6{\pm}19.2{\mu}V$ and showed $181.4{\pm}59.7{\mu}V$ peak to peak potential. practitioner ground only showed negative mean potential $-51.5{\pm}9.3{\mu}V\;and\;367.4{\pm}27.8{\mu}V$ of peak to peak potential. Patient ground only revealed no mean potential as $2.9{\pm}1.3{\mu}V,\;16.4{\pm}11.9{\mu}V$ of peak to peak potential. All ground showed no mean potential as $1.6{\pm}0.7{\mu}V,\;3.3{\pm}1.9{\mu}V$ of peak to peak potential. respectively.

섬강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와 돌상어(G. brevibarba)의 서식현황 (Study of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ing Status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and G. brevibarba in the Seom River, Korea)

  • 고명훈;문신주;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4권2호
    • /
    • pp.144-154
    • /
    • 2011
  • 섬강의 어류 군집구조 및 멸종위기어종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와 돌상어(G. brevibarba)의 서식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에 10개 지점을 선정하여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총 출현한 어종은 10과 37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 36.2%), 아우점종은(13.2%)와 돌상어(12.2%), 그 다음으로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8.1%)와 밀어(Rhinogobius brunneus, 4.9%)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한국고유종은 18종(48.6%)이였으며, 환경부 멸종위기종은 꾸구리와 돌상어 2종이 출현하였다. 지점별 출현한 어종을 근거로 유사도 분석을 한 결과 상류(St. 1~3)와 중류(St. 4~6), 하류(St. 7~10)로 잘 구분되었으며 하류로 갈수록 우점도 지수는 대체로 낮아지고, 다양도 지수와 종 풍부도 지수는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멸종위기 어종인 꾸구리는 섬강 하류의 자갈과 돌이 쌓인 여울에서 서식하였고, 돌상어는 전구간에 쌓인 여울지역에 비교적 높은 비율로 서식하고 있었다.

족삼리(足三里) 상지약침(桑枝藥鍼)이 Collagen-induced arthritis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Herbal-acupuncture with Mori Ramulus Solution at Joksamni(ST36) on Collagen-induced Arthritis)

  • 정영돈;임윤경;이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29-44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s of Mori Ramulus herbal-acupuncture solution(MR-HAS) on arthritis of mice induced by Collagen II at Joksamni(ST36). Methods : The author performed several experimental items. First, it is the cell survival rate of mice lung fibroblasts. Second, it is the incidence rate of arthritis and arthritis index of CIA. Third, it is the levels of IL-6, $TNF-{\alpha}$, $IFN-{\gamma}$, $IL-1{\beta}$, IgG, IgM and anti-collagen II in serum and the level of $IFN-{\gamma}$, $IFN-{\gamma}/IL-4$ ratio in CIA mouse spleen cell culture. Fourth, it is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mice joint. Fifth, it is expression ratio of CD3e+ to CD19+ cell, CD4+ to CD8+ cell, CD69+/CD3e+ cells, CD11a+/CD19+ cells and CD11b+/Gr-l+ cells and CD4+/CD25+ cells. Results : 1. In the MR-HA, the incidence of arthritis and the arthritis ind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2. In MR-HA, the levels of IL-6, $IFN-{\gamma}$, $TNF-{\alpha}$, $IL-1{\beta}$, IgG, IgM and anti-collagen II in serum of CIA mice and the level of $IFN-{\gamma}$, IL-4, $IFN-{\gamma}$, IL-4 ratio in CIA mouse spleen cell cult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3. In histology, the cartilage destruction and synovial cell proliferation were decreased in the MR-HA, and the collagen fiber expressions in the MR-HA were similar with that of the Normal group. 4. In the MR-HA, the expression ratio of CD3e+ to CD19+ cell and CD4+ to CD8+ cell were similarly maintained as Normal group in lymph nodes, and CD69+/CD3e+ cells and CD11a+/CD19+ cells were decreased in lymph nodes, and CD11b+/Gr-1+ cells and CD4+/CD25+ cells were decreased in synovium.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R-HA at ST36 has an effect to control synovial cell proliferation and cartilage destruction in rheumatoid arthritis, as well as prophylaxis is important to treat rheumatoid arthritis in clinic.

  • PDF

온천요법이 비만 아동의 비만지수와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neotherapy on Obesity Index and Body Composition on Obese Children)

  • 강기연;안택원;한재경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40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hot spring bath in obese childre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0 obese children whose BMI were over 20 ($kg/m^2$). The hot spring bath program was performed in the hot-spring facilities with temperature of $32{\sim}36^{\circ}C$. The children bathed four times from June to July, 2012. Prior to their bath, their heights, weights, and body compositions were measured every time. They were also confirmed their obesity index and obesity degree during the program. Results After the bathing program, degree of obesity has changed, three obesity judgment index (BMI, RI and OI) of the children have decreased (BMI, RI, OI on the $1^{st}$ day: $25.99{\pm}3.47$, $177.63{\pm}17.43$, $37.74{\pm}13.42$; on the $4^{th}$ day: $25.06{\pm}3.08$, $168.4{\pm}14.8$, $30.60{\pm}12.12$), so have body fat mass and percent body fat (BFM, PBF on the $1^{st}$ day: $21.83{\pm}7.03$, $38.24{\pm}3.36$; on the $4^{th}$ day:$19.55{\pm}6.35$, $34.20{\pm}3.77$), but skeletal muscle mass has increased (SMM on the $1^{st}$ day: $18.37{\pm}4.24$ ; on the $4^{th}$ day: $19.80{\pm}4.44$).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hot spring bath could be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and treating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