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E level earthquak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higher modes and multi-directional seismic excitations on power plant liquid storage pools

  • Eswaran, M.;Reddy, G.R.;Singh, R.K.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8권3호
    • /
    • pp.779-799
    • /
    • 2015
  • The slosh height and the possibility of water spill from rectangular Spent Fuel Storage Bays (SFSB) and Tray Loading Bays (TLB) of Nuclear power plant (NPP) are studied during 0.2 g, Safe Shutdown Earthquake (SSE) level of earthquake. The slosh height obtained throug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is compared the values given by TID-7024 (Housner 1963) and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seismic codes. An equivalent amplitude method is used to compute the slosh height through CFD. Numerically computed slosh height for first mode of vibration is found to be in agreement the codal values. The combined effect in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re studied separately, and found that the slosh height is increased by 24.3% and 38.9% along length and width directions respectively. There is no liquid spillage under SSE level of earthquake data in SFSB and TLB at convective level and at free surface acceleration data. Since seismic design codes do not have guidelines for combined excitations and effect of higher modes for irregular geometries, this CFD procedure can be opted for any geometries to study effect of higher modes and combined three directional excitations.

HLW 지층처분 광역 후보부지 선정을 위한 선형구조 예비 분석 결과 (Preliminary Result of Lineament Analysis for the Potential Site Selection of HLW Geological Disposal)

  • 고경태;김유홍;이홍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2호
    • /
    • pp.167-176
    • /
    • 2018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부지선정을 위해서는 암종, 지질구조, 지진, 수리지질, 지구화학, 지질공학 및 지열 등과 같은 다양한 지질학적 인자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특히 선형구조는 다양한 지질인자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등과 같은 국가 중요시설물의 후보부지 선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구조분석을 통해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광역 처분부지 선정을 실시한 핀란드의 선형구조 분류 방법을 국내 선형구조 자료에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보유한 선형구조도와 신규로 구조지질학, 고지진학, 지형학 전문가들로부터 획득한 새로운 선형구조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새로운 선형구조 분석 자료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한반도 지역을 최근에 촬영한 위성영상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표고모델로 제작한 고해상도의 음영기복도를 이용하였다. 취득한 자료들의 전체적인 방향성 분석 결과에서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이 가장 우세하게 관찰되었지만, 분석자들의 판독기준의 차이에 따라서 동북동-서남서 및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선형구조들도 높게 판독 되었다. 핀란드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광역후보부지 선정에 사용되는 등급 1과 등급 2에 해당되는 선형구조들의 기하학적인 발달특성을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등급 1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북북동-남남서 방향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선형구조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등급 2의 경우에도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형구조가 가장 우세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분석자에 따라 서북서-동남동 또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선형구조도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같은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한 선형구조분석에서도 상이한 판독 결과를 보이는 것은 판독자의 주관적인 경험 및 기준이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신뢰도 높은 한반도 광역선형구조도를 발간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자료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명확한 통합 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며, 지구물리탐사자료와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를 통한 분석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