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D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 약물사용 잠재군 선별척도(SPDA) 활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for the Practical Use of Screening Scale for Potential Drug-use Adolescents(SPDA))

  • 이기영;김영미;임혁;박미진;박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305-335
    • /
    • 2005
  • 이 논문은 2003년에 개발된 SPDA(A Screening Scale For Potential Drug-use Adolescents)의 타당성검증을 위한 2차년도 연구결과이다. SPDA는 청소년들의 약물사용에 대한 조기 예방적 개입을 위한 선별도구로서 활동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재학중인 중 고등학생(n=4,307)으로서 층화표집과 할당표집으로 선발되어 SPDA와 관련척도에 대하여 응답하였으며, 비교집단으로 전국 보호관찰청소년(n=305)들도 동일한 조사에 참여케 하였다. 타당화의 주요한 내용은 신뢰도,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기준관련타당도, 동시타당도 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 알파계수 0.914를 나타냈다. 구성타당성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SPDA는 개인특성, 문제행동, 부모의 문제와 약물경험, 부모와의 관계, 음주환경과 태도, 약물사용환경과 태도 등 7가지 요인으로 나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결과는 모형적합도 지수, 요인부하량을 검토할 때 SPDA의 각 요인구조가 적합도가 높은 측정모델로 입증되었다. 그리고 기준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판별분석에서는 본 척도의 분류 적중률이 86.6%(중학생 78.8%, 고등학생 87.4%)로 나타나 적절한 예측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타당도에서는 "Hare Home Self-Esteem Scale", "Hare School Self-Esteem", "Zuckerman-Kuhlman Sensation-seeking scale" 세 척도와 모든 영역의 상관계수가 유의미한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SPDA 총 약물사용에 대한 잠재군과 비잠재군(일반중고생)에 대해 유의미한 변별력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적 활용을 위해 잠재군을 분류할 수 있는 절단점으로 T-점수(+0.5SD)를 이용하였으며 잠재 약물사용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 대상은 총 점수 77점 이상일 경우였다.

  • PDF

부산시 일부 중학생의 약물남용예방교육 효과 (Effects of Substance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 김영혜;어용숙;주현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bstance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fore education and one month later. The whole subjects were 458 students in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and difference t-test after classifying the whole into potential drug abuse group and not potential group. Results: The substance abuse prevention education was ineffective in the whole group and the potential group. However, in the not potential group, the increasing rate of SPDA(Screening scale for Potential Drug-use Adolescents) score in experimental group was less than in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ubstance abuse prevention education was effective for the not potential drug abuse group. On the other hand, intensive long-term drug abuse treatment program was needed for the potential group.

2차원 배열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공간 맥진파형의 전산모사 분석 (Simulation Analysis of Spatially Arterial Pulse Wave using Two-dimensional Array Sensors with Magnetoresistive Device)

  • 김미선;김선욱;김기왕;이수진;이선구;이현숙;박달호;황도근;이상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07-310
    • /
    • 2005
  • 요골동맥의 운동에 대한 공간적 맥진파형 특징을 얻기 위해 2차원 배열 자기터널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 맥진파형 진단장치(spatial pulse diagnostic apparatus; SPDA)를 설계하였다. 자극배열의 위치변동에 대한자장 분포의 변화는 2차원 자기장 유한요소해석 소프트웨어(finite element method magnetics; FEMM)를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평행한 자극배열에서 높은 감도와 균일한 자기장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석배열의 공간 변위 변화는 MTJ 센서의 출력신호 변화와 비례하였다.

Policyholder Surrender Behaviors under Extreme Financial Conditions

  • Kim, Chang-Ki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4호
    • /
    • pp.635-650
    • /
    • 2010
  • We model surrender rates with a few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the difference between reference marke rates and product crediting rates, the policy age since the contract was issued, unemployment rates, economy growth rates, and seasonal effects using logit function. We investigate the policy holder surrender behaviors of US single premium deferred annuities(SPDA) and Korean interest indexed annuities under extreme financial conditions.

중학생의 약물남용 비잠재군과 잠재군의 제특성 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Potential Substance-abuse Group and Healthy Group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영혜;주현옥;어용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351-358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potential substance-abuse group and healthy group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458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st September 2004 to 31th October 2004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n were analyzed by SPSS-WIN 10.0 program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X^2-test$. Results: 23.6% of the subjects have been smoking, and 16.2% of them have been drinking. 18.6% of the subjects was classified to potential substance-abuse group based on the cut-point suggested by Lee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substance-abuse adolescents are that they have religion and siblings, that their parents have divorced, that they don't live with their parents, and that their perceived health state is bad.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bstance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potential substance-abuse group.

  • PDF

제주조의 파종기에 따른 생태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 변화 (Effect of Seeding Dates on Ecological Response, Yield Potential and Feed Value in Jeju Italian Millet)

  • 조남기;고동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5-270
    • /
    • 2003
  •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제주조의 파종시 적기를 구명하기 위해 2003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파종기 변동(4월 20일, 4월 30일, 5월 1일, 5월 20일, 5월 30일)에 따른 생육반응,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하였다. 출수기 까지의 일수는 100일에서 60일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출수기까지 일수는 단축되고 조기파종 할수록 지연되었다. 초장은 5월 1일 파종에서 131cm로 가장 큰 편이었으나 그이전과 그 이후 만기파종 할수록 초장은 짧았고 5월 30일 파종에서 86cm로 작아졌다. 엽장, 엽수, 엽폭 및 줄기 직경은 초장반응과 비슷하였고 엽록소 측정치는 40.6에서 35.8로 만기파종 할수록 낮아졌다. 생초, 건물, 단백질 및 TDN 수량은 5월 1일 파종에서 각각 43.28MT/ha, 12.5MT/ha, 1.39MT/ha, 6.60MT/ha로 증수되었으나 그 이전과 그 이후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5월 30일 파종에서 생초수량은 12.63MT/ha, 건물수량 7.56MT/ha, 단백질수량 0.96MT/ha, TDN 수량은 4.16MT/ha 로 감수되었다. 파종기가 4월 20일에서 5월 30일로 지연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9.5%에서 12.6%로, 조지방은 1.4%에서 1.7%로, 가용무질소물은 45.4% 에서 46.2%로, TDN 함량은 51.4%에서 55.0% 로 증가되는 반면 조섬유 함량은 35.1%에서 31.6%로, 조회분 함량은 8.6%에서 7.9%로 감소되었다. 이 시험 결과 제주조의 사초수량을 최대로 올릴 수 있는 적정 파종기는 5월 1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정식(定植) 후 양상추의 품질평가 및 잔류농약 분석 (Quality Evaluation and Residual Pesticides of Lettuce during Growth after Transplanting)

  • 윤예리;김병삼;김상희;권기현;차환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4-130
    • /
    • 2007
  • 양상추(Lactuca Sativa L.)의 정식 후 42일 경과한 결구 초기부터 결구가 형성(정식 후 67일 경과)되어 제품으로 출하될 때까지의 품질 변화와 잔류농약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상추의 정식 후 결구가 형성되면서부터 전체 중량과 가식부 중량이 모두 증가하였는데, 결구 형성 초기에는 전체중량의 약 40% 정도가 가식부였지만 제품 출하 시점에서는 약 80%까지 큰 증가추세를 보였다. PH, 당도, 수분의 경우는 양상추 결구과정 중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며, 감광체 역할을 하는chlorophyll의 SPAD값은 초기에는 16.2이었던 것이 양상추 성장과 함께 계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26.4까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상추는 결구가 진행되면서 전체적으로 점차 투명해지고 초록빛은 감소하는 반면 노란빛은 약간 증가하였다. 또한 양상추의 겉잎부분은 결구 형성과 함께 씹힘성이 커졌으며, vitamin C함량은 정식 후 60일이 지났을 때 양상추 100g당 2.5mg이 함유되어있어 가장 높게 증가한 시점이었다. 양상추에 한 유되어 있는 무기질 중에서는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정식 후 60일이 지난 결구 완성기에는 양상추의 100g당 칼슘 21.1mg, 나트륨 24.5mg, 철분 0.4mg, 마그네슘 13.1mg, 칼륨 183.5mg으로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위해요소인 잔류농약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정식 후 54일 이후부터 chlorthalonil가 미량 잔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