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18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21초

Frankia sp. strain SNU 014201의 nif-H, D, K, 유전자 클로닝

  • 권석윤;강명수;안정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0-36
    • /
    • 1992
  • 물오리나무의 뿌리혹에서 분기한 Frankia sp. SNU 014201 공생균주의 게놈내에 13.5 kb의 EcoRI, 18.0 kb 의 BamHI, 10.5 kb의 Bg/II, 4.5 kb의 KpnI 절편에 nif-H, D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람다 파아지 EMBI3-BamHI arm을 사용하여 제조한 genomic library 에서 nif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4개의 재조합 파아지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 Ahnif-12번 클론은 nif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18kb 의 삽입 DNA 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7.9 kb 의 BamHI 절편내에 nif-H. D. K가 3.6kb 의 HindIII/KpnI 절편내에 nif D 의 일부와 H 가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등 절편을 각각 subcloning 하고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한 결과, Frankia sp. SNU 01420의 nif-H. D. K 유전자는 6.5 kb 의 Hind III/Bam HI 절편과 5.2 kb Sal/IBamHI 절편내에 연속 배열하고 있다.

  • PDF

공주 송산리 고분 내 미생물 분포 및 보존환경 연구 (Conserv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icrobial Distribution of the Songsan-ri Ancient Tombs, Gongju, Korea)

  • 이민영;김대운;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79
    • /
    • 2014
  •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1997년 남조류의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생물피해에 의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6호분 현실은 조사기간 동안 $18.6{\sim}19.8^{\circ}C$, 94.3~99.9%, 무령왕릉 현실은 $17.3{\sim}18.53^{\circ}C$, 73.2~96.45% 분포를 보였으며, 고분 내부의 송풍구를 재설치하는 공사를 전후로 하여 습도의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외부온도가 높아지면 결로는 바닥면과 북측방향에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공조기가 가동 중일 때 송풍구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의 방향에 의해 각 방위의 벽체에서 크게는 $2.8^{\circ}C$까지 온도차가 확인되었다. 고분 내부의 공기중 및 벽체 표면에서 곰팡이보다 세균의 개체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Alternaria sp.,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등의 곰팡이 20종과 Pseudomonas sp., Arthrobacter sp. 등 세균 19종을 분리 동정하였다. 고분 내부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문화재의 원형 손상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미생물 의 생장 가능성을 예측하고 고분 내 미시환경 조건이 벽화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성을 파악하여 고분의 장기적인 보존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Effects of Deep Seawater on the Growth of a Green Alga, Ulva sp.(Ulvophyceae, Chlorophyta)

  • Matsuyama, Kazuyo;Serisawa, Yukihiko;Nakashima, Toshimitsu
    • ALGAE
    • /
    • 제18권2호
    • /
    • pp.129-134
    • /
    • 2003
  •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ep seawater (mesopelagic water in the broad sense) on the growth of macroalgae,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nitrate and phosphate) of Ulva sp. (Ulvophyceae, Chlorophyta) were investigated by cultivation in deep seawater (taken from 687 m depth at Yaizu, central Japan, in August 2001), surface seawater (taken from 24 m depth), and a combination of the two. Cultu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continuous water supply system and an intermittent water supply system, in which aerated 500-mL flasks with 4 discs of Ulva sp. (cut sections of ca. 2 $cm_2$) were cultured at 20$^{\circ}C$ water temperature, 100 $\mu$mol photons $m^{-2}{\cdot}s^{-1}$ light intensity, and a 14:10 light:dark cycle. Nutrient uptake by Ulva sp. was high in all seawater media in both culture systems. The frond area, dry weight, chlorophyll a content, dry weight per unit area, and chlorophyll a content per unit area of Ulva sp.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the highest in deep seawater and the lowest in surface seawater in both culture systems. These values, except for dry weight per unit area and chlorophyll a content per unit area, for each seawater media in the intermittent water supply system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inuous water supply system. We conclude that not only deep seawater as the culture medium but also the seawater supply system is important for effective cultivation of macroalgae.

유류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Acinetobacter sp. 2-3A의 유화활성 (Emulsification Activity of Acinetobacter sp. 2-3A Isolated from Petroleum Oil-Contaminated Soil)

  • 임지현;정성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261-1270
    • /
    • 2009
  • Fifty hydrocarbon-metabolizing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polluted by the petroleum oils in Gamman-dong, Busan. Among them, strain 2-3A, showing strong emulsification activity, was selected by oil film-collapsing method.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as Acinetobacter sp. and designated as Acinetobacter sp. 2-3A.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on the growth of Acinetobacter sp. 2-3A were $25^{\circ}C$ and pH 7.0, respectively.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for the most effective emulsification activity were 3.0% olive oil and 0.5% peptone, respectively. The 0.15% potassium phosphate was the most effective emulsification activity as a phosphate source. The optimum emulsification activity condition was $20^{\circ}C$, pH 7.0, and 2.0% NaCl. The optimum time for the best production of biosurfactant was 27 hrs. The emulsification stability was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range from $4^{\circ}C$ to $100^{\circ}C$, pH range from 6.0 to 10.0, and NaCl range from 0% to 10%. For the oil resolvability of the biosurfactant, the residual oils were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y.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biosurfactant decreased and decomposed crude oils from $_nC_{10}$ to $_nC_{32}$.

한천 분해균 Cytophage sp. ACLJ-18의 분리 및 효소 생산 조건 최적화 (Isolation of Agar Degrading Bacteria, Cytophaga sp. ACLJ-18 and Optimization of Enzyme Production)

  • 조순영;주동식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93-599
    • /
    • 1996
  • 군부에서 분리한 한천 분해 균주의 최적 효소 생산 조건은 질소원으로 nutrient broth, yeast extract를 각각 0.3%, 0.2%였고, 탄소원으로는 agar 0.5%가 가장 적절한 조건이었다. NaCI 농도는 2.0 % %, pH 7.0, 온도는 $30{\pm}2^{\circ}C$, 의 조건에서 약 96시간 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효소 생산 조건이었다. 분리균주의 생리, 생화학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그랑 음성 간균으로 gold-yellow colony를 형성하는 균 으로 oxidase, catalase 생성의 호기성균이었다. 각종 유기산류, 아미노산류 및 당류의 이용성 시험에 서 citrate, lactate, salicine, histidine, glucose, melibiose, sucrose에 대해 양성을 나타내었고, chitin, casein, gelatin을 분해하고, indole 및 H2S 를 생성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균주는 Cytophaga sp.로 동정되었다.

  • PDF

EGS 지열 저류층 유체 유동에 의한 SP 반응 모델링 (Modeling of SP responses for geothermal-fluid flow within EGS reservoir)

  • 송서영;김빛나래;남명진;임성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8권4호
    • /
    • pp.223-231
    • /
    • 2015
  • 자연 전위(SP, self-potential)의 발생에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지하수의 유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동 전위(streaming potential) 또는 전기역학적 전위(electrokinetic potential)에 대해 주로 논의한다. 유동 전위는 다공질 매질에서의 물의 흐름에 의해 인공적인 전류원 없이 전류가 발생하여 야기된 전위이다. 기존의 유동 전위를 이용한 지열 저류층 해석에서는 지표면 전위 분포 계산을 위해 일반적으로 시추공에서 주입되거나 생산되는 지하수로부터 발생하는 SP 이상만을 고려하였고, 온도 차이가 나는 지열 저류층에서의 지열수 순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SP에 대한 수치 모델링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면체 요소를 바탕으로 한 3차원 전기비저항 유한요소법에 기초하여 지열 저류층 내에서의 주입정, 생산정에 의한 SP 이상뿐만 아니라 지열 저류층에서의 지열수 순환에 따른 SP 이상까지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한 알고리듬을 검증 한 후, 간단한 지열 저류층 모델에 지열수 주입과 양수의 효과에 의한 SP 이상대의 SP 반응을 분석하였다. 향후 개발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지층의 물성을 고려한 지열수 유동 속도 등도 고려함으로써 보다 심도 있게 지열 저류층 SP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해양세균 Achromobacter sp. M-1220 균주를 이용한 생물유화제 물질의 생산 (Production of Bioemulsifier from a Marine Bacterium Achromobacter sp. M-1220)

  • 박중연;홍용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2-256
    • /
    • 1989
  • 해수환경에서 Bunker-C유를 가장 강력히 유화분산시키는 Acilromobacter sp. M-1220 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생물유화제물질의 생성 및 그 성질을 조사하여 본 결과 유화제물질은 hexadecane oil 배지를 사용하여 18$^{\circ}C$에서 대수증식기 중기때에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이는 양이온성의 peptidolipid 물질인 것으로 여겨지며 원유와 몇 종의 식용유에도 강한 유화안정능력을 보였다.

  • PDF

누에분말을 첨가한 누에설기의 일반성분 및 품질 특성 (Effects of Adding Silkworm Powder on the Quality of Seolgiddeok)

  • 임영희;김미원;김애정;김명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62-566
    • /
    • 2002
  • Seolgiddeok a representative rice cake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silkworm powder(SP)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monitored by sensory evaluation, chromaticity, and rheometric measurement.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SP cak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ash were increased as the ratio of SP increased, but the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3%-SP cake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old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duality. Lightness(L) value of SP cake was decreased as the ratio of SP increased. In the rheometer test, 15%-SP cake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hardness, but 3%-SP cake showed the highest value in cohesive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Bacillus sp. 세균이 생산하는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 윤병대
    • 미생물과산업
    • /
    • 제18권1호
    • /
    • pp.41-46
    • /
    • 1992
  • 본고에서는 현재 본 연구실에서 수행중인 3종의 Bacillus sp. 세균이 생산하는 ECP에 관한 물성연구결과 및 개발방향 등에 관해 기술하고, ECP에 관한 review는 국내.외적으로 발표한 우수한 논문들이 다수 있으므로 참고문헌의 소개만으로 생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