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 2.0

검색결과 3,088건 처리시간 0.036초

全南地方의 一部 人工湖水의 富營養化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Eutrophication in Artificial Lakes in Chonnam Area)

  • Kim, Seung Ho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8
    • /
    • 1985
  • In order to analyze the water quality in artificial lakes in Chonnam area, a chemical and biological examination of Dongbock Lake and Changsung Lak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1983 and May 1984. A summary of the surveyed results is as follows 1. In Dongbock Lake, pH ranged from 7.2-8.1, D.O.: 8.2-12.6mg/l, B.O.D.: 4.4-22.1 mg/l, C.O.D.: 1.0-3.4rag/l, Cl$^-$: 5.9-11.9mg/l, Total-P: 0.001-0.071 mg/l, and Total -N: 0.016-0.697 mg/l, respectively. 2. In Changsung Lake, pH ranged from 7.2-8.1, D.O.: 8.1-9.8mg/l, B.O.D.: 0.9-2.9mg/l, C.O.D.: 1.9-3.4mg/l. Total- P: 0.006-0.016mg/l and Total -N:0.006-0.033mg/l, respectively. 3. The Phytoplankton identified in this investigation were distributed in a total of 46 genera and 76 spedes in Dongbock Lake 37 genera and 45 species in Changsung Lake. 4. In Dongbock Lake, it was found that the dominant algae were Melosira sp., Microcystis sp. and Synedra sp. in September Melosira sp. and Microcytis sp. in October, but Cymbella sp., Naviculla sp. and Nitzschis sp. were also observed in OctoberAsterionella sp., Melosira sp. and Microsystis sp. in November and Melosira sp., Asterionella sp sp. and Synedra sp. in December 1983. 5. In Changsung Lake, it was found that the dominant algae were Melosira sp., Lyngrbya sp. and Microcystis in September Melosira sp. and Synedra sp. in October and November and Melosira sp., Lyngbya sp. and Asterionella sp. in December 1983. The dominant algae were Melosira sp., Lyngbya sp. and Euglena sp. in May 1984. 6. It was found that the dominant algae in both Dongbock and Changsung Lakes were Microcystis sp., Melosira sp. and Asterionella sp.. Which are strongly related with water-bloom.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eutrophication phenomena is going to occur very easily in Dongbock Lake and possibly in Changsung Lake.

  • PDF

혼효림으로부터 셀룰로오스분해 박테리아 분리 및 효소학적 특성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lytic bacteria, Bacillus sp. EFL1, EFL2, and EFP3 from the mixed forest)

  • 박화랑;오기철;김봉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59-67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산청군 소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학술림에서 채취한 토양으로부터 CMCase와 xylanase를 생산하는 3개의 Bacillus종을 분리하였다. API kit 분석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3개의 균 모두 Bacillus종에 속하였으며, Bacillus sp. EFL1, EFL2, EFP3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EFL1, EFL2, EFP3의 최적 생장온도는 $37^{\circ}C$였으며, CMCase와 xylanase의 활성은 배양 후 12시간에 최고에 달하였다. Bacillus sp. EFL1의 CMCase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는 5.0이었고, xylanase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 6.0이었다. Bacillus sp. EFL2의 CMCase활성의 최적온도는 $60^{\circ}C$, pH는 5.0이었고, xylanase 효소활성의 최적온도는 $60^{\circ}C$였고, pH 3.0-9.0까지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Bacillus sp. EFP3의 CMCase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는 5.0이었고, xylanase의 최적온도는 $50^{\circ}C$, pH 4.0이었다. Bacillus sp. EFL1, EFL2, EFP3의 CMCase는 모두 온도안정성이 낮았다. 또한 Bacillus sp. EFL1과 EFP3의 xylanase 역시 온도안정성이 낮았지만, Bacillus sp. EFL2의 xylanase는 온도안정성이 높았다.

이산화염소의 해산어류 병원세균 살균효과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Pathogenic Bacteria from Marine Fish)

  • 박경희;오명주;김흥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8-123
    • /
    • 2003
  • 이산화염소($ClO_2$) 처리에 의한 어병 세균의 살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어 유래 분리주인 Vibrio anguillarum,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및 Streptococcus sp.를 대상으로$ClO_2$유효 농도 0.455, 0.246 및 0.129 ppm에 30초, 1분, 3분, 5분 및 10분간 처리하여 ClO$_2$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V. anguillarum과 E. tarda는 ClO$_2$ 0.246 ppm에서, 30초 이 상의 처리에 의하여 세균의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0.129 ppm에서는 5분 이상의 염소처리 조건이 필요하였다. Streptococcus sp.는 실험에 사용된 어병 세균 중 $ClO_2$의 살균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0.455 ppm에서 Streptococcus sp.는 30초 반응 후 그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고, 0.246 ppm과 0.129 ppm의 ClO$_2$에서는 각각 배양 3시간, 8시간 이후부터 그 생잔에 의한 증식이 확인되어졌다. Streptococcus sp.는 본 실험에서 설정한 최저농도인 0.129 ppm 에 30초간의 반응으로 균이 사멸됨으로서 실험에 사용된 세균 중 ClO$_2$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Streptococcus sp. 는 0.455 ppm, V. anguillarum과 E. tarda는 0.246 ppm, Streptococcus sp. 는 0.129 ppm의$ClO_2$농도로 30초 전후로 처리하는 조건이 가장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Ethanol이 배양된 Mouse Myeloma Cell Line Sp2/0-Ag14로부터 분리한 형질막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on the Fluidity of Plasma Membrane Vesicles Isolated from Cultured Mouse Myeloma Cell Line Sp2/0-Ag14)

  • 윤일;정인교;박영민;김진범;유성호;강정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9-156
    • /
    • 1993
  • Ethanol이 암세포 증식 속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검색의 일환으로 배양된 mouse myeloma cell line Sp2/0-Ag14로부터 분리한 형질막 (Sp2/0-PMV) 유동성에 미치는 ethanol의 영향을 형광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ethanol은 Sp2/0-PMV 지질 이중층 측방확산운동의 범위와 속도를 증가시켰고 회전확산운동 범위도 증가시켰다. 특히 ethanol은 Sp2/0-PMV 지질이중층 중 내부단층 (inner monolayer)에 비하여 비교적 선택적으로 외부단층 (outer monolayer)의 회전확산운동 범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산란계 사료 내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 시 산란율, 계란 품질, 혈중 면역 물질 및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Acid Hydrolysates of Coco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Immune Substance and Serum Cholesterol in Laying Hens)

  • 유종상;석호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16
    • /
    • 2009
  • 본 시험은 하여 산란계 사료내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시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41주령 Hy-Line Brown 갈색계 240수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일반 무첨가 사료를 대조구로 하여 SP1(일반 사료+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05%), SP2(일반 사료+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1%), SP3 (일반 사료+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2%)으로 총 4개 처리구였으며, 처리 당 5반복, 반복 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에 있어서 전체 시험 기간 동안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 수준에 따라 처리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각 특성을 나타내는 난각 강도와 두께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황고와 Haugh unit에 있어서는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을 첨가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면역 물질인 IgG 함량과 WBC 함량은 누에고치산가수분해물을 첨가한 SP1, SP2, SP3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 급여는 산란계에서 혈액 내 총 단백질, 알부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혈청 내 인지질,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함량을 높여주었다. 사료 내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05% 이상 첨가 급여 시 계란의 신선도를 증가시키고, 산란계의 면역과 지질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암모니아 산화세균의 분리와 그 특성 (Isolation of Ammonia Oxdizing Bacteria and their Characteristics)

  • 이명숙;박지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0-766
    • /
    • 1998
  •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을 부산근교 하수처리장의 오니와 양어장 여과막에서 분리 동정하여 이들의 암모니아 산화성을 실험하였다. 독립영양성 암모니아 산화세균으로는 Nitrosomonas sp.를 분리. 동정하였고 종속 영양성균으로는 2종의 Bacillus sp., 2종의 Acinetobacter sp., 그리 고 Xanthomonas sp., Ajcaligenes sp., Pseudomonas sp., 그리고 Sphingobacterium sp.등의 8종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들의 암모니아 산화성을 실험하기 위하여서는 mineral salt medium에 $NH_4Cl$ 10mg/$\ell$를 첨가한 배지에서 $28^{\circ}C$, 15일 배양한 결과 Nitrosomonas sp.는 배양4일째부터 균수가 증가하면서 암모니아 산화와 아질산생성이 시작되어 15일 배양후에는 약 2mg/$\ell$의 암모니아성질소의 감소가 일어났고 동시에 0.023$\~$0.036mg/$\ell$의 아질산성 질소가 생성되었다. Heterotrophs 8균주는 균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배양 15일 동안 균의 증식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암모니아 산화성도 낮아 0.02$\~$0.64mg/$\ell$ 정도 감소하였고 아질산성 질소의 생성량은 0.01$\~$0.51 mg/$\ell$ 정도이었다. 그러나 heterotrophs 83주를 mineral salt medium에 $NH_4Cl$ 10mg$\ell$과 glucose 50 mg/$\ell$를 첨가시키면 균증식도 좋아지고 암모니아 산화성도 증가하여 15일 배양 후에는 암모니아성질소는 1.12$\~$3.85 mg/$\ell$ 정도 감소하였다. $NH_4Cl$ 50mg/$\ell$과 glucose 5 g/$\ell$ 로 조절된 배지에서는 암모니아 산화성이 더욱 좋아져 15일 배양 후에 약 1$\~$20mg/$\ell$의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하였다.

  • PDF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의 생육 및 배양 특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Growth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SH-8 and Bacillus sp. SH-8M)

  • 심창환;신원철;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1-376
    • /
    • 1992
  • Bacillus sp. SH-8은 pH 9.0 이상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pH 7.7 이하에서는 배양 12시간부터 O.$D_{550}$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생균수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Bacillus sp. SH-8M은 pH7.7에서 생육이 가능하였고 pH6.9에서도 약간 생육속도가 늦었으나 정상적인 생육을 나타내었다. 고체배지의 생육 양상도 액체배지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균주의 형태는 pH 10.2에서 두 균주 모두 단간균위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pH7.7에서는 Bacillus sp. SH-8 균주만이 장간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균체외 pH는 초기 10.2일 때 두 균주 모두 배양 28시간 후에는 9.0이었고 초기 pH 9.0와 9.6에서는 배양초기에 pH가 저하되었다가 12시간 후부터 상승하였다. 한편, Bacillus sp. SH-8M은 초기 pH 6.9와 7.7일때 배양시간에 따라 균체외의 pH가 8.0과 8.7로 상승하였으나 Bacillus sp. SH-8은 배양 12시간 이후에도 7.0으로 일정하였다. 포자형성능은 Bacillus sp. SH-8과 Bacillus sp. SH-8M 모두 배양 3일 후, 초기 pH 10.2일 때 각각 95%와 85%로 가장 높았다.

  • PDF

파프리카가루를 이용한 소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auce Using Paprika Powder)

  • 김하윤;최수근;김안나;최혜진;이종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3-2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 가루를 이용하여 단기속성 고추장을 제조 하였다. 고추장 제조 후 수분 함량, pH, 염도, 색도, Texture, 환원당, 아미노태 질소,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프리카 가루를 이용한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이 26.31%, SP1 31.58%, SP2 31.40%, SP3 30.84%, SP4 24.08%를 나타냈다. pH 측정결과, 파프리카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01). 염도는 4.87~5.22%의 범위를 나타내어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 매우 낮은 식염 농도를 보였다. 색도 측정결과, L값은 SP3에서 28.01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a값, b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01). 텍스쳐 측정결과, 견고성은 시료간의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이며 대조군에서 205.50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SP3에서 106.5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부착성에서는 견고성과 반대로 대조군에서 -704.17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SP3에서 -348.9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환원당은 SP1, SP2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1). 아미노태 질소 측정결과, SP1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SP4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p<0.001).기호도 검사결과, 외관과 향은 SP2에 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질감 항목에서는 대조군과 SP1, SP2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며(p<0.05), 전체적 기호도 에서는 SP2가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 파프리카 가루 200g, 콩 가루 150g, 조청 600g, 물 500g, 소금 75g을 넣어 제조한 SP2이 전반적으로 높은 관능 기호도를 나타내어 고추장 제조에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Patterns on the Outbreaks of Bovine Mastitis and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s of Isolated Causative Agents in a Municipal Area

  • Jung, Hee-Ko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2-53
    • /
    • 1995
  • 광주시 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 1,614두중 유방염으로 의심되는 730분방 중에서 170분방을 검사분석하여 유방률, 균의 분리와 간이검사법과의 관계, 계절별 분리균의 분포, 항균 요법제에 대한 감수성 등을 검사하였다. 본 원인균은 730분방 중 134분방(18.4%)에서 분리되었으며 체세포 숫자는 평균 $1.620 imes 10^6pm 1.167 imes 10^6/ml$(C.V. 72.0%)이었다. CMT 반응치는 평균 $2.9pm 1.2$(C.V. 41.4%)이었으며 WT 반응치는 평균 $2.8pm 1.2$(C.V. 42.9%)이었다. RBVT와 CMT의 상관계수는 0.82(P<0.001)이었고 RBVT와 WT의 상관계수는 0.75 (P<0.001)이었으며 CMT와 WT의 상관계수는 0.93 (P<0.001)이었다. 체세포 숫자를 기준으로 하여 CMT 및 WT의 양성율을 비교하여 보면 원인균이 분리된 경우에는 체세포 숫자가 $0.49 imes 10^6$ 이하/ml의 경우에 반응치가 1+일때의 CMT는 72.4%, WT는 42.1%이었고 체세포 숫자가 $0.50 imes 10^6~1.00 imes 10^6/ml$의 경우에 반응치가 2+일 대의 CMT는 45.5%, WT는 48.8%이었으며, 체세포 숫자가 $3.01 imes 10^6$ 이상/ml의 경우에 반응치가 3+일 때의 CMT는 73.7%, WT는 92.3%이었다. 원인균의 월별 분리 빈도를 보면 8월 (17.9%)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9월(16.4%), 7월 (12.7%), 6월 (11.2%), 1월 (9.0%)의 순이었다. 원인균의 분리 빈도를 보면 Staphylococcus sp. (51.4%)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Escherichia coli(23.9%), Pseudomonas sp. (11.2%). Streptococcus sp. (6.7%)의 순이었다. 항균 요법제에 대한 감수성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은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teus sp., Salmonella sp. 등에 높았고 gentamycin은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aureus, Enterobacteriaceae, Klebsiella sp., Proteus sp., Salmonella sp. 등에 높았으며 enrofloxacin은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균에서 감수성이 높았다.

  • PDF

스테로이드제가 백서 폐의 Surfactant B와 C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xamethasone on Gene Expression of Surfactant Protein B and Surfactant Protein C)

  • 박익수;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439-448
    • /
    • 2003
  • 연구배경 : SP는 표면활성물질의 물리적 성상의 결정 및 대사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SP-B와 SP-C는 배수성 단백이며 공기액체계면에 지질 수포를 결합하게 하여 인지질의 흡착과 표면활성을 증강시킨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폐의 형태학적 발생을 촉진시키며, 표면활성물질 인지질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SP-B와 SP-C의 축적 및 폐탄성을 향상시킨다.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관찰한 바에 의하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한 후에 SP-B mRNA와 SP-C mRNA가 증가한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SP-B mRNA와 SP-C mRNA에 대한 스테로이드제의 효과에 관한 보고는 드물다. 방 법 : 저자들은 실험동물에서 SP-B와 SP-C의 유전자 발현을 파악하고자 서로 다른 용량과 기간에 따른 덱사메타손을 백서에 투여한 후 이들 유전자 발현 양상을 filter hybridization방법으로, 덱사메타손의 서로 다른 용양과 기간에 따른 SP-B와 SP-C의 유전자 발현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 1) 덱사메타손을 1일 0.2 mg/kg 투여하고 24시간 경과 후 SP-B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23.7%가 증가하였다. 2) 덱사메타손을 1일 2 mg/kg씩 일주일간 투여 후 SP-B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96.6%가 증가하였다(P<0.001). 3) 덱사메타손을 1일 0.2 mg/kg 투여하고 24시간 경과 후 SP-C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42.7%가 증가하였다(P<0.01). 4) 덱사메타손을 1일 2 mg/kg씩 1주일간 투여 후 SP-C mRNA양은 대조군에 비하여 60.0%가 증가하였다(P<0.01).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실험동물에서 서로 다른 덱사메타손용량과 기간에 따른 SP-B mRNA와 SP-C mRNA양은 덱사메타손양을 소량을 투여하였을 때보다 대량을 투여 하였을 때, 또는 단기간보다는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유의한 증가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