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Use

검색결과 673건 처리시간 0.032초

공연장르별 SNS 이용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 연구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SNS Usage Characteristics by Performing Genre)

  • 구은자;임재희;김춘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81-290
    • /
    • 2017
  • 본 연구는 SNS를 이용하는 관람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SNS이용특성(SNS를 이용한 기간, SNS 평균접속 횟수, SNS 접속 시 평균 사용시간, SNS 활동유형, SNS 이용동기, 많이 사용하는 SNS 사이트, 연평균 총 공연 관람횟수, 공연관련 정보획득경로)이 선호 장르별(대중가요/콘서트, 뮤지컬, 연극, 무용/발레)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 SNS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선호하는 공연 장르에 따라 관람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성별, 연령, 결혼 여부, 가족형태, 학력수준, 근무직종, 월평균 소득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 선호하는 공연 장르에 따라 SNS 이용특성은 이용기간, 평균접속시간, 활동유형, 이용동기, 정보획득경로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르에 따라 공연관람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SNS이용 특성이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될 필요가 있으며, 세분화된 타겟에 따라 SNS를 통하여 공연관련 정보나 콘텐츠 특성, 소비자들의 패턴을 이용한 참여 전략 등이 구체적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었다.

SNS 소외감과 애착이 능동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사용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Impact of SNS Alienation and Attachment on Proactive Use of Facebook)

  • 윤혜정;전택준;이중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1-187
    • /
    • 2014
  •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like Facebook, have gained an enormous amount of popularity. However, side-effects of Facebook usage are occasionally reported such as sense of alienation and cyber-bullying. Among these potential factors threatening to the success of SNS, this research focused on alienation and intends to investigate possible factors that affect SNS alienation and how it affects on SNS attachment and proactive use of SNS.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regarding online and offline alienation, SNS characteristics, and SNS usage, we generat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 surveyed 142 Facebook users and empirically proved that among SNS characteristics, complexity increases SNS alienation, and interactivity and social presence positively affect SNS attachment. Offline alienation, one of the personal attributes, increases both SNS alienation and SNS attachment at the same time while the number of SNS friend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In addition, SNS alienation decreases proactive use of Facebook while SNS attachment increases i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research findings, and we als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minimize negative consequences due to SNS users' sense of alienation.

SNS 정보 활용이 치과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information on intention to dental office use)

  • 박선영;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1-12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information on intention to dental office us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10 users of social network service between twenty and thirty years old in Seoul and Gyeonggido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from July 1 to August 3,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profiles of the subjects(6 items), use of dental office(3 items), use of SNS(3 items), use of dental SNS(4 items), use of general SNS(6 items), application of dental SNS(6 items), and intention to dental office use(2 items). Except 8 incomplete answers, 40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first choice of dental office was recommendation by the acquaintances. There were close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SNS information and the use of general SNS information according to sex(p=0.016) and the frequency of SNS(p=0.012). The use of SNS for dental information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ex(p=0.003). The intention to use was influenced by sex(p=0.016) and the use of SNS for dental information(p<0.001). Conclusions: The important factor of visit intention to dental service was recommendation by the acquaintances through SNS. The appropriate advertisement of visit intent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dental health care.

Social Network Service (SNS) 지속사용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SNS 리터러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inued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s SNS Literacy)

  • 박경자;유일;김재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2권1호
    • /
    • pp.65-87
    • /
    • 2013
  •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have changed the method and culture of communication, mediating communication among people. In particular, since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the attributes of information delivery and processing, it has a more powerful dissipating effect and influence than other existing communication methods. The role of users in SNS is important because it ha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producer-consumer, which consists of sharing, connection and participation of users. In this 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for continued use of SNS by user ability. In order to explain the motivation and behavior for continued use of SNS by users, this study employed the motivation theory and post-adaptation model. The study applied 'media literacy' to the characteristics of SNS media and environment and expanded it into the concept of 'SNS literacy'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by user ability. Referred to as 'user's ability that is required to use SNS,' the SNS literacy was verified for its moderating effect with the three sub-dimensions: 'technical accessing ability,' 'understanding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layful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d use of SNS, showing the same result with previous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In other words, usefulness and playfulness are variables with an explanatory power in the SNS environment as well. Second, the conceptualization of SNS literacy with accessing ability, understanding ability and creative ability was found to be valid.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NS literacy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ed use, indicating that users with higher ability respond sensitively to usefulness and affect continued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literacy was also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layfulness and intention for continued use. The results above confirm the difference in post-adaptation behavior of individuals, and are expected to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SNS의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의 비교 (The usage motivation of SNS: A Comparison of Open type and Closed type SNS)

  • 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1-192
    • /
    • 2015
  •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een transforming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in both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Recently many people have switched to closed type SNS such as Naver Band and Kakao group due to the sever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NS based on use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s. Based on prior studies on use and gratifications of Internet-related media and SNS, information motivation, relationship motivation,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self-expression motivation, work motivation were identified as usage motivation of SNS. This empirical study explores how these motivations vary between open type SNS(facebook and twitter) and closed type SNS(band and kakao group).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the base of ac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using SNS as a marketing tool.

대학생들의 SNS 이용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SNS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및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ived Responsiveness of SNS Friends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College Students)

  • 최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33-442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의 SNS이용과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에서 SNS 친구들의 반응 및 자아 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국의 대학생(여학생 N = 264, 남학생 N = 239)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SNS이용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은 사회적 지지 인식에 대해 강한 주효과를 보였다. 또한 SNS 이용,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자아존중감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는데, 즉, 자아존중감이 낮은 대학생들 사이에서만 SNS 이용과 SNS 친구들의 반응성 인식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을 정교화하는데 기여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NS 기반 심리적 정신건강 중재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사회적 및 개인적 선행요인들이 SNS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ocial and Personal Dimensions on the Intention to Use a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 Case of Facebook)

  • 홍일유;강동원;조휘형
    • 정보화정책
    • /
    • 제21권1호
    • /
    • pp.57-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SNS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및 개인적 선행요인들의 역할을 조명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획된 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델(TAM)을 통합하여 SNS 수용 모델을 제안하였다. SNS 이용의도의 개인적 선행요인으로서 사용 태도 및 지각된 행동 통제력을, 그리고 사회적 선행요인으로서 주관적 규범 및 정보 캐스케이드를 각각 설정하였다. SNS 사용 태도의 선행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으로 설정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국내 대학생 228명을 설문조사하여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압력요인으로서 주관적 규범과 정보 캐스케이드는 SNS 이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캐스케이드는 이용의도의 선행요인들 중에서 영향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은 사용 태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증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직장인의 SNS 사용 분석을 통한 SNS 기획 (SNS planning through analysis of office workers SNS use)

  • 김은주;홍순근;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9-1364
    • /
    • 2013
  • PC기반의 인터넷에서 모바일로 플랫폼의 변화가 일어난 후 SNS가 대면 교류를 대체하는 새로운 대화 매체로 자리를 잡았다. 사용자들은 이미 SNS를 생필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나아가 SNS시장은 세분화 되고 있다. 즉, 특정 대상과 컨텐츠에 집중한 수직적(Vertical) SNS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NS기획에서 명확한 사용자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점에서 가장 구매력이 있는 직장인들이 SNS사용 이유를 살펴보는 것은 SNS사업자 입장에서는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사용과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직장인의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직장인의 SNS사용 이유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NS 사용은 자기표현 및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었다. SNS에서의 자기표현은 직장인의 특성상 스트레스와 관련이 없었으나 SNS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SNS의 이용동기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Motivation of SNS and Communication Behavior)

  • 김형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48-55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SNS 이용동기가 이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성과 SNS를 통한 소통에 대한 몰입 또는 이해도, 즉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SNS 이용동기 측정항목에 대한 항목의 정화 결과, 세 가지 이용동기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은 정보지식획득동기(IKAM), 소통관계유지동기(CRMM), 의견정보제시동기(OIPM)로 나타났다. SNS 이용동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았으며, 소통관계동기에서는 성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NS 이용동기 중 소통관계유지동기와 의견정보제시동기는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이용동기 중 정보지식획득동기와 소통관계유지동기는 SNS를 통한 소통의 몰입과 이해도인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기업 SNS 사용 특성에 따른 지각된 사용 용이성, 서비스가치 및 온라인 구전의도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ase of Use, Service Value and Online Mouth-to-mouth Intention according to the Catering Companies Use SNS Features)

  • 오왕규;임현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8-368
    • /
    • 2015
  • The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SNS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surveyed, as for the SNS acceptance channel of the food service corporations, accounted voluntarily for 71%. The SNS food service information regarding information of menu, location of store, price, coupon, taste evaluation, event, promotion, reservation and store atmosphere was researched. The most preferred information sharing for SNS food service were researched and found Facebook, blog and others in increasing order. The most preferred media to obtain SNS food service information were smart phone, desktop computer and others.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ase of use were also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od service corporation of SNS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nd was found: the longer period of SNS use, longer was access time: more number of visiting times, higher perceived ease of us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service value: longer the period of SNS use, more preferred was the blog: the more number of visiting times, the higher perceived service valu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online mouth-to-mouth intention: longer the period of SNS use, longer was access time: the more number of visiting times, the higher online mouth-to-mouth intention.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the working-level aspects such as providing basic data and the academic approach of the study, when the food service corporations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