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Social Network Service) Data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초

SNS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지 혼잡도 및 방문자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ongestion Level of Tourist Sites and Visitors Characteristics Using SNS Data)

  • 이상훈;김수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3-24
    • /
    • 2022
  • SNS는 일상생활에 매우 밀접한 서비스가 되었다. SNS를 통해 마케팅이 이루어지면서 흔히 핫플레이스라 불리는 장소가 생겨나고, 이곳으로 사용자들이 몰리고 있다. 하지만 단기간 많은 사람이 몰리며 혼잡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방문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혼잡도를 파악해야 하지만 개인적 수준에서 특정 지역의 혼잡도를 알아볼 방법은 매우 한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특정 관광지에 대한 혼잡도 정보 및 방문자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포스팅 데이터와 이미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네이버 DataLab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관광지 유형별로 3개 장소를 선정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산출한 결과와 DataLab에서 제공하는 혼잡도 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연구는 특정 기업이나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는 사용자의 실 데이터에 기반한 혼잡도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공유경제를 위한 IoT 기반의 휴먼 인터랙티브 광고 서비스 구현 (Development of an IoT-Based Human Interactive Advertising Service for Sharing Economy)

  • 정원석;이창교;고완진;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3-41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공유경제를 위한 IoT 기반의 휴먼 인터랙티브 광고 서비스(IoT-HiAS, IoT-Human Interactive Advertising Service)를 구현한다. HiAS 디바이스가 웹캠을 통해 디바이스의 전방을 촬영하고 MobileNet을 사용한 SSD 모델을 통해 사람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검출된 사람을 카운팅하여 설정한 기준 이상의 사람 수가 검출되면 빔 프로젝터를 통해 유휴자원에 광고를 재생한다. 광고가 재생됨과 동시에 디바이스 전방의 광고 시작 시점을 캡쳐한 이미지와 검출된 사람의 수를 IoT 클라이언트를 통해 HiAS 서버의 oneM2M 표준을 준용한 IoT 서버로 전송한다. 광고가 끝나면 디바이스 전방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IoT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받은 데이터를 HiAS 서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에이전트를 통해 광고주 및 광고제작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IoT 기반의 휴먼 인터랙티브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 PDF

SNS 데이터를 이용한 공공시설 매력도지수에 따른 접근성 분석기법 (Accessib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Public Facility Attraction Index Using SNS Data)

  • 이지원;유기윤;김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42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시설의 질적인 측면의 확대를 위해 SNS (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 중심의 공공시설 선호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에서 정량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호요인 도출을 위해 토픽모델링 중 하나인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를 활용하였으며, 공급요인인 개별시설별로 매력도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수요자 입장에서 서비스체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간접근성을 분석하였는데, 2SFCA (2-Step Floating Catchment Area) 방법을 활용하여 앞서 제안한 공공시설 매력도지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에 대한 선호요인으로 주변 환경, 시설 및 이용규모, 문화 프로그램, 육아, 장서 및 자료현황의 5가지 주제가 추출되었으며, 주변 환경이나 육아관련 주제는 새롭게 도출된 선호요인으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각 도서관별로 매력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송파도서관, 정독도서관, 남산도서관의 매력도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송파도서관은 육아요인에서 정독도서관과 남산도서관은 주변 환경요인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동별 공간접근성은 공공도서관이 많이 몰려있는 서울 중심부의 접근성이 좋은 편이며,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 제안한 기법을 통해 이용자 중심의 공공시설 평가 및 정책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소셜 네트워크에 적합한 효율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데이터 공유 기법 (An efficient privacy-preserving data sharing scheme in social network)

  • 전두현;천지영;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47-461
    • /
    • 2012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실시간 정보 공유의 새로운 매개체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신분이나 생활 패턴 등을 노출시킬 수 있는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데이터 공유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에 적합한 프라이버시 보존 데이터 공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암호화된 데이터에서 검색자가 선택한 키워드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서버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는 누구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동적 환경인 소셜 네트워크의 특징에 적합하도록 효율적인 가입/탈퇴 기능을 제공한다.

청소년 SNS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 Study for Effects of Adolescents on SNS' Usage Motivation)

  • 이새봄;문재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197-198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SNS 이용동기와 이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에 살고 있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기능적 동기, 심리적 동기, 정보공유, 탈출욕구, 교우실현, 전문적 혜택 등에 대한 설문문항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인스타그램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들은 기능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와 교유관계 유지를 위한 동기 때문에 SNS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청소년들이 SNS를 활발히 활용하고 있고 왜 이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동기를 파악하여 청소년들의 심리상태를 점검해 볼 수 있다는 차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SNS의 관심도가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ention in SNS on the result of election)

  • 최은정;최세원;이시연;김명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191-197
    • /
    • 2017
  •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개인의 의견을 표현하거나 논의가 이루어짐에 따라 SNS는 여론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새로운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선거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다수의 유권자들의 SNS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기 때문에 후보자도 새로운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거에 대한 SNS 상의 관심 정도가 실제 선거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서 우리나라 20대 국회의원 선거과정에서의 SNS 관심도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전통적인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결과를 잘 예측했는지 비교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여론조사보다는 SNS관심도가 선거결과에 더 일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SNS 이용시간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 차이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Impulsivity depending on Hours Spent on SNS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소영;전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07-7616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시간에 따른 우울 및 충동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12월 27일부터 2014년 1월 3일까지 수집된 '2014년 청소년 전자기기 과몰입 실태와 예방방안' 연구 설문 중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 1,008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 중 SNS 이용시간 상위 33%(N=364)와 하위 33%(N=319)의 자료를 추출하여 두 집단을 구성하였고, 성별을 통제한 후 두 집단의 우울 및 충동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Mplus 7.31 프로그램을 사용해 최대우도법 추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SNS 이용시간에 따른 집단 간 우울 및 충동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우울과 충동성에 성별이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 수준은 SNS 이용시간 하위집단 보다 SNS 이용시간 상위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SNS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빅 데이터 기반 호텔고객 평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tel Customer Reputation Analysis based on Big Data)

  • 공효순;송은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19-225
    • /
    • 2014
  • 현대는 기업 간의 경쟁이 날로 심화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어느 때 보다도 고객피드백이 필요한 시대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출현과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의 발달로 실시간으로 다양한 고객의 목소리가 증가하면서 고객의 피드백을 파악하기 위해 이러한 빅 데이터를 이용 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빅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버즈(Buzz) 모니터링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자체가 기업의 자산이며 서비스 산업의 대표라 할 수 있는 호텔기업의 CRM을 위한 방법으로 고객의 피드백을 파악하기 위해 빅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국내 3개의 대표적인 특급호텔을 대상으로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즈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얻은 호텔고객평판 사례를 제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고찰해 본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제5차 산림기본계획 주요 사업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Major Projects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 변승연;구자춘;석현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40-352
    • /
    • 2017
  •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10년 단위 계획으로, 2013년에 대외환경 변화 등의 이유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거시적 평가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연도별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파악하였다. 정책수요 부분은 당해 연도의 뉴스, SNS 등에서 언급된 사업과 관련된 키워드(명사 기준)를 기준으로 하고, 정책 공급 부문은 산림청이 발행한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특정하고, 수요 측면의 네트워크와 공급 측면의 네트워크를 비교하여 산림청 정책 수요와 공급의 간극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공급부문의 네트워크 구조는 수요 부문보다 방사형이 약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이외에 다양한 주제어가 네트워크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27대 대표사업들을 대응한 33개 주제어에 대해 수요부문과 공급부문의 기울기를 비교한 결과,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감소하는 주제어의 개수는 7개로 지속가능, 산림경영, 산림생물, 산림보호, 산림병해충, 도시숲, 북한이 해당되었다. 이들 주제어는 수요와 공급의 간극이 확인된 만큼, 제6차 기본계획에서는 이들 주제어에 대한 공급 강화가 필요하며, 자유게시판 분석을 통하여 신규 임업인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강화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SNS 과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Show-off Behavior on SNSs)

  • 차혜경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1-50
    • /
    • 2019
  • Purpose : The goal of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 relative deprivation, absolute deprivati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how-off behavior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as well 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Methods : The research tools consisted of 8 item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 measure of deprivation (9 items for relative deprivation and 8 items for absolute deprivation), 15 items for show-off behavior on SNSs, 10 items for self-esteem, 25 items for social support, and 20 items for self-efficac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results showed relative deprivation (B=.102, t=4.060, p<.001)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how-off behavior on SNSs for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social support (B=-.178, t=-3.099, p=.002), absolute deprivation (B=-.175, t=-4.284, p<.001), and self-esteem (B=-.212, t=-2.490, p=.014) accounted for 21.5% of the explanatory power (F=14.215, p<.001). Conclusion :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relative depr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how-off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on SNSs. Social support, absolute deprivation, and self-esteem were also identified as factors that affect their show-off behavior on such servic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program progres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how-off behavior on SNSs intervention and prevention programs to reduce the side effects of various the show-off behaviors on SNSs of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