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T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초

근거 이론을 적용한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 분석 - SKT 가상 비서 'NUGU'를 중심으로 - (An User Experience Analysis of Virtual Assistant Using Grounded Theory - Focused on SKT Virtual Personal Assistant 'NUGU' -)

  • 황승희;윤재영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1-40
    • /
    • 2017
  • 본 연구는 2016년 9월 1일 국내에 처음 출시된 가상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 SKT 'NUGU'의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해당 기기를 한 달 이상 사용한 사용자 9명을 대상으로 각 1시간 이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사하여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을 통한 근거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층인터뷰 내용에 대한 362개의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16개의 하위 범주와 10개의 상위 범주로 추상화하였다. 개방 코딩이 진행된 이후에는 축 코딩을 통해 전반적인 사용 행태를 파악하고자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택코딩을 진행하여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한 핵심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코딩의 결과로 사용 행태를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결과, 크게 의존형과 탐구형의 사용 행태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이 해당 기기에 관하여 어떠한 콘텐츠를 선호하며, 어떤 불편사항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존형 사용자는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스피커 제어 기능 때문에 구매하였고, 기기의 제어 방식에서는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가상 비서 서비스를 다각도로 활용하기보다는 음성제어가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로 이용하는 한계를 보였다. 탐구형 사용자는 스마트홈과 관련된 사물인터넷 관련 제어를 활용하거나 양방향 소통을 시도 하였으나, 현재 해당기기와 연결되는 서비스가 부족하고, 원활한 양방향 소통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느껴 지속적인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에 국내 가상 비서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할 때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공간 데이터 재구축을 통한 음식업종 매출액 영향 요인 분석 : 이종 공간 데이터의 집계단위 변환을 중심으로 (Analyzing Influence Factors of Foodservice Sales by Rebuilding Spatial Data : Focusing on the Conversion of Aggregation Units of Heterogeneous Spatial Data)

  • 노은빈;이상경;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1-590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서울연구원 제공 집계구 자료를 이용하여 유동인구와 공간 특성, 공간자기상관이 음식업종의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최근 공공 분야의 빅데이터가 증가하고 있지만 자료집계 단위가 달라 연구에 어려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도 종속변수인 매출액은 SKT 집계구 단위로, 공간 특성은 통계청 집계구와 행정동 단위로, 그리고 유동인구는 Point 정보로 구축되어 있다. 분석을 위해 먼저 SKT 집계구 단위로 모든 독립변수의 집계단위를 변환하였다. 공간자기상관 효과를 검정할 수 있는 모형인 SEM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매출액에 대한 공간자기상관의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유동인구와 주변 종사자수, 집계 구 면적이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남구에 비해 중구, 영등포구, 송파구 매출액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유동인구가 많고 주변 종사자수가 많은 지역, 그리고 음식업종 점포들이 몰려있는 지역이 창업에 유리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이종 공간 데이터의 집계단위 변환의 유용성 과 함께 지도상의 면적 비례로 집계단위를 변환하는 것의 한계를 보여줌으로써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공포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반응과 불안수준과의 관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nxiety and ANS Responses in Children Induced by Fearful Stimulus)

  • 장은혜;이영창;임수빈;김숙희;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63-470
    • /
    • 2007
  • 공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불안과 공포 장애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어왔으며, 공포를 불안의 특수한 한 형태라고 생각하여 불안과 공포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공포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반응을 밝히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포 정서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을 제시하고 심리 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공포 정서의 적합성 및 효과성은 80%이상으로 나타나 공포정서유발자극이 적절하고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율신경계 반응 분석 결과, 공포정서가 유발되는 동안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피부전도 반응의 수,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변화, 호흡수, 심박률분산의 고주파수 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장박동주기는 감소하였다. 공포 정서에 의해 야기된 자율신경계 반응에서는 불안수준이 높을수록 피부온도, 심박률,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안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공포 정서를 경험할 때 자율신경계 반응의 변화가 더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제13회 정보통신 포럼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정보화사회
    • /
    • 통권152호
    • /
    • pp.40-48
    • /
    • 2001
  • 본 협회에서는 지난 9월 6일 하얏트호텔 튤립룸에서 정보통신부 양승택 장관을 연사로 하여 제 13회 정보통신포럼을 개최했다.이 날 포럼의 주제는 “지식정보강국 건설을 위한 2001년도 정보통신 정책 방향”이었으며, 정부 정책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하듯 조정남 SKT 부회장 등 많은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뤘다. 다음은 이 날 발표됐던 주제를 요약한 것이다.

  • PDF

클릭, e업체-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가 SKT의 신성장동력

  • 신승철
    • 디지털콘텐츠
    • /
    • 12호통권139호
    • /
    • pp.114-115
    • /
    • 2004
  • ‘SK텔레콤이 요금인하와 40일 영업정지 등 어려운 경영여건 속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가는 내용의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무선인터넷 매출증가에 힘입은 것으로 김신배 SK텔레콤 사장 역시“무선인터넷이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입증된 만큼 음성통화 중심이 아닌‘Digital Product Provider’로서의 신성장동력 마련에 주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텔레콤의 핵심부서로 떠오를 게임사업팀을 찾아봤다.

  • PDF

휴대폰의 변화와 우리생활의 변화

  • 최성원
    • 디지털콘텐츠
    • /
    • 4호통권143호
    • /
    • pp.58-60
    • /
    • 2005
  • 휴대폰이 우리에게 처음 소개된 것은 올림픽이 열린 1988년에 지금의 SK텔레콤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이 이동통신 사업을 하면서부터이다. 지금은 가입자가 SKT, KTF, LGT 3사 통합 3,700만명에 이를 정도로 우리 생활에 일부분이 됐다. 이처럼 우리에게 있어서 생활의 일부분 아니 신체의 일부분처럼 되어 버린 휴대폰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그 변화가 우리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알아 보기로 하자

  • PDF

콘텐츠연재 / 손에 들고 다니는 영화관 "모바일 영화가 뜬다!"

  • 김민정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123호
    • /
    • pp.100-101
    • /
    • 2003
  • 지난해 늦여름, 예비 영화인들에게 반가운 행사가 열렸다. 바로 KTF의 '제1회 나도 감독 콘테스트'와 SKT의 '모바일 영상창작제'가 바로 그것. 본격적인 모바일 영화 시대를 맞이하는 하나의 축제로 기획된 행사였다. 예비 영화인들에게 본인 영화의 '입봉'은 프로의 길로 들어섰는지의 지표 역할을 하는데, 이런 행사를 통해 모바일이라는 윈도우가 또 다른 입봉 채널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모은 것은 당연한 일.

  • PDF

제3회 '2007 스마트 홈네트워크쇼'

  • 하유정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6호
    • /
    • pp.46-49
    • /
    • 2007
  •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미래의 주거 환경을 제시하는 '2007 스마트 홈네트워크쇼'가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는 삼성전자, LG전자, KT, SKT, 대림I&S등 110여 개 업체가 총 450개 부스를 설치해 다양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선보였다. 국내 주택산업의 방향과 미래 주거 문화를 엿볼 수 있는 '2007 스마트 홈네트워크쇼' 행사 탐방기

  • PDF

Car Information의 의미와 시장 전망 및 과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 박종헌;김지홍;김정호
    • 기계저널
    • /
    • 제44권5호
    • /
    • pp.34-40
    • /
    • 2004
  • 2003년 11월, 현대 기아자동차가 모젠이라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본격적인 차량정보(car information)의 시대가 열렸다. 물론 이전에 대우자동차판매의 드림넷, SK-SKT의 엔트랙-네이트 드라이브, 삼성화재의 애니넷 등이 선 보였으나 회사의 경영 환경 및 시장 여건 등으로 캐즘(chasm : 깊은 협곡)현상을 넘기지 못하고 사업을 철수하거나 현상유지에 머무르고 있는 형편이다.(중략)

  • PDF

차세대 통신 서비스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159호
    • /
    • pp.37-47
    • /
    • 2006
  • 올여름 통신 서비스시장이 그 어느때보다 뜨겁게 달아 오르고 있다. KT, SKT 등유∙무선통신사업자들이 앞다퉈 신규 서비스들을 선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지난 5월 SK텔레콤의 HSDPA 서비스인<3G 플러스>를 필두로, 와이브로, TV포털 등 차세대통신 서비스들이 잇달아 상용화에 들어갔다. 무더위와 지긋지긋한 장마로 지칠대로 지친 이번여름, 차세대통신서비스가 가져다 주는 색다른 즐거움에 빠져 더위를 식혀보자.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