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7

검색결과 5,204건 처리시간 0.029초

동시증착에 의한 Si(111)-7$\times$7 기판 위에 $TiSi_2$ 에피택셜 성장 (In situ Epitaxial Growth of the $TiSi_2$ on si(111)-7$\times$7 Substrate by Codeposition)

  • 최치규;류재연;오상식;염병렬;박형호;조경익;이정용;김건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05-413
    • /
    • 1994
  • 초고진공에서 기판 Si(111)-7$\times$7 위에 Ti:Si 또는 1:2의 조성비로 Ti와 Si을 동시증착한 후 in situ 열처리하여 TiSi2 박막을 에피택셜 성장시켰다 XRD와 XPS 분석결과 동시증착된 혼합 층에서 C49-TiSi2 박막의 성장은 핵형성에 의함을 확인하였으며 양질의 C49-TiSi2 박막은 Ti를 증착한후 Ti와 Si를 동시 증착한 (Ti+2Si)/(Ti)/Si(111)-7$\times$7구조의 시료를 초고진공에서 50$0^{\circ}C$에서 열처리하여 얻을수 있었다. 형성된 C49-TiSi2/Si(111)의 계면은 깨끗하였고 HRTEM 분석 결과 C49-TiSi2\ulcornerSi(111)의 계면은 약 10。 의 편의를 가지면서 TiSi2[211]∥Si[110] TiSi2(031)/Si(111) 의 정합성을 가졌으며 시료의 전 영 역에 에피택셜 성장되었다.

  • PDF

Si(111)-$7{\times}7$ 면에서 Ti 성장과 C54 $TiSi_2$/Si(111) 정합 성장에 관하여 (Growth of Ti on Si(111)-)-$7{\times}7$ Surface and the Formation of Epitaxial C54 $TiSi_2$ on Si(111) Substrate)

  • Kun Ho Kim;In Ho Kim;Jeoung Ju Lee;Dong Ju Seo;Chi Kyu Choi;Sung Rak Hong;Soo Jeong Yang;Hyung Ho Park;Joong Hwan Lee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2
    • /
    • 1992
  • 고에너지 반사 전자회절기(RHEED) 및 투과전자현미경(HRTEM)을 이용하여 Si(111)-7 $\times$ 7 면에서의 Ti 박막의 성장 mode와 Si(111) 면에서의 C54 TiSi2의 정합성장 을 조사하였다. 초고진공에서 Si(111)-7 $\times$ 7 표면에 상온에서 Ti를 증착하면 Ti/Si 계면에 서 비정질의 Ti-Si 중간막이 먼저 형성되고 그 위에 Ti 박막은 다결정으로 성장하였다. 160ML의 Ti를 증착한 시료를 초고진공 내에서 75$0^{\circ}C$로 10분 열처리하면 C54 TiSi2가 정합 성장하였으며 이는 HRTEM 격자상 및 TED Pattern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iSi2/Si(111) 시 료를 다시 $900^{\circ}C$로 가열하면 TiSi2위에 단결정 Si층이 [111] 방향으로 성장하였다.

  • PDF

알칼리금속이 흡착된 Si(111)$7\times7$ 계의 초기 산화 과정 연구 (Initial oxidation of the alkali metal-adsorbed Si(111) surface)

  • 황찬국;안기석;김정선;박래준;이득진;장현덕;박종윤;이순보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9-164
    • /
    • 1997
  • X-선 광전자 분광법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SPS)과 반사 고에너지 전 자 회절법(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 RHEED)을 이용하여 상온과 고온(약 300~$500^{\circ}C$)에서 알칼리금속(AM)/Si(111)7$\times$7표면에 1 monolayer(ML)의 AM을 흡착시키면 Si(111)7$\times$7표면에 비해 산소의 초기 부착 계수(initial sticking coefficient)와 산소의 포화량 은 증가하지 않았다. Si(111)7$\times$7-AM표면에 산소의 주입량을 증가시키면서 측정한 O ls 스 펙트럼으로부터 AM이 흡착된 Si(111)7$\times$7표면에 흡착되는 산소원자는 Si-O, AM-O 두 종 류의 결합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중에서 AM-O 결합의 산화과정상에서의 역할 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상온과는 달리 고온에서는, Si(111)3$\times$1-AM표면으로 구조가 변화하 면서 산소의 흡착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때 3$\times$1-AM표면을 형성시 키는 AM종류의 산화에 대한 의존성을 살펴보았다.

  • PDF

High Temperature Properties of $Si_3N_4-Re$Silicon Oxynitride (Re=Y, Yb, Er, La) Ceramics

  • Park, Heon-Jin;Lee, June-Gunn;Kim, Young-Wook;Cho, Kyeong-Sik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5권3호
    • /
    • pp.211-216
    • /
    • 1999
  • Four different $\beta-Si_3N_4$ ceramics with silicon oxynitrides $[Y_10(SiO_4)_6N_2, Yb_4Si_2N_2O_7, Er_2Si_3N_4O_3, \;and La_{10}(SiO_4)_6N_2$, respectivley] as secondary phases have been fabricated by hot-pressing the $Si_3N_4-Re_4Si_2N_2O_7$ (Re=Y, Yb, Er, and La) compositions at $1820^{\circ}C$ for 2h under a pressure of 25 MPa. The high temperature strength and oxidation behavior of the hot-pressed ceramics were characteri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ceramics fabricated from $Si_3N_4-Si_2O_7$ compositions. The $Si_3N_4-Re_4Si_2N_2O_7$composition investigated herein showed comparable high temperature strength to those from $Si_3N_4-Re_2Si_2O_7$ compositions. Si3N4 ceramics from a $Si_3N_4-Y_4Si_2N_2O_7$ composition showed the highest strength of 877 MPa at $1200^{\circ}C$ among the compositions. All $Si_3N_4$ ceramics investigated herein showed a parabolic weight gain with oxidation time at $1400^{\circ}C$ and the oxidation products of the ceramics were $SiO_2$ and $Re_2Si_2O_7$. The $Si_3N_4-Re_4Si_2N_2O_7$ compositions showed inferior oxidation resistance to those from $Si_3n_4-Re_2Si_2O_7$ compositions, owing to the incompatibility of the secondary crystalline phases of those ceramics with $SiO_2$, the oxidation product of Si3N4.Si3N4 ceramics from a $Si_3N_4-Er_4Si_2N_2O_7$ composition showed the best oxidation resistance of 0.375mg/$\textrm{cm}^2$ after oxidation at $1400^{\circ}C$ for 102 h in air among the compositions.

  • PDF

SiCp/6061Al합금복합재료의 시효거동 (Age-Hardening Behavior of SiCp Reinforced 6061 Aluminum Alloy Composites)

  • 안행근;유정희;김석원;우기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0권12호
    • /
    • pp.793-798
    • /
    • 2000
  • 석출경화형 6061Al기지합금과 SiC입자크기를 0.7$\mu\textrm{m}$ 및 7.0$\mu\textrm{m}$로 변화시켜 강화한 SiCp/6061Al 합금복합재료의 시효 거동을 경도측정, DSC 시험 및 TEM관찰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7$0^{\circ}C$에서 등온시효시 6061Al기지합금에 비하여 복합화한 0.7$\mu\textrm{m}$SiCp/6061Al합금복합재료 및 7.0$\mu\textrm{m}$SiCP/6061Al합금복합재료에서 최고경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았으며, 또한 강화재의 크기가 큰 7.0$\mu\textrm{m}$SiCp/6061Al합금복합재료에서 시효촉진이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복합화 및 SiC입자크기 증가에 따른 전위 밀도 상승에 기인한다. 6061Al기지합금 및 복합재료에서 최고시효처리시의 주강화상은 봉상의 중간상 $\beta$(Mg$_2$Si)이며,$\beta$상 생성의 활성화에너지는 복합화 및 SiG입자크기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 PDF

SiC 하이브리드 모듈을 적용한 근거리용 7kW Inverter 동작 안정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operation stability of 7kW Inverter for short distance vehicle using SiC Hybrid module)

  • 전준혁;경신수;김희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99-506
    • /
    • 2019
  • 본 논문은 SiC Hybrid module를 적용한 7kW 인버터의 동작 안정성에 관한 것으로 손실 방정식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Si module과 SiC Hybrid module의 스위치 손실과 다이오드 손실을 비교하였다. 손실 방정식 계산을 통하여 SiC Hybrid module의 도통 손실은 168W, 스위칭 손실은 9.3W, 다이오드 손실은 10.5nW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Si module과 SiC Hybrid module의 시뮬레이션 결과 값 비교 결과, Si module의 총 소자 손실값은 246.2W, SiC Hybrid module의 총 소자 손실 값은 189.9W를 나타내었으며, 손실 차이 값은 56.3W로써 약 0.8W의 효율 차이를 보였다. 이로 인하여 SiC SBD의 Reverse recovery 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온 포화상태에서 SiC Hybrid module 및 Si module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 포화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Si module의 경우, 출력전력 4kW에서 동작을 멈추었고, SiC Hybrid module은 7kW까지 동작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율 그래프와 온도 그래프를 제시하였으며, Si module은 4kW까지, SiC Hybrid module은 7kW까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초청정한 Si 기판 위에서 Ti의 초기 반응 (Initial Reactions of Ti on the Atomically Clean Si Substrates)

  • 전형탁
    • 분석과학
    • /
    • 제5권3호
    • /
    • pp.303-308
    • /
    • 1992
  • Ti과 Si의 초기 반응이 Titanium Silicide의 표면 거칠기 (Surface roughness)를 고찰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형성기구는 In-situ AES와 LEED의 측정장비로 연구하였다. Ti의 하나나 두 원자층이 초고진공에서 원자적으로 깨끗한 Si 기판 위에 증착되었다. Reconstruction이 된 $7{\times}7$ Si(111) 표면이 초 고진공하에서 얻어졌으며 박막의 증착은 Quartz Crystal Oscillator로 측정되었다. In-situ 측정 결과 Ti과 Si의 초기 반응이 실온에서 일어났으며 Disorder막을 형성하였다. 낮은 온도($200^{\circ}C{\sim}300^{\circ}C$)에서 Ti과 Si의 Intermixing이 고찰되었고 $400^{\circ}C$ 근처에서 $1{\times}1$ Si(111) LEED 패턴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Disorder막이 Order막으로 변화가 생긴 것을 나타낸다. 더 높은 온도에서 $7{\times}7$ Si(111) LEED 패턴이 재관찰되었는데 이것은 3차원적인 $TiSi_2$의 형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 PDF

$Cs^+$이온 반응성 산란에 의한 Si(111)-7$\times$7 표면에서의 산소 흡착 연구

  • 김기여;강헌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0년도 제18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53-153
    • /
    • 2000
  • Si 산화는 반도체 공정상 필요한 과정으로 산업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중요하고 많이 연구되었다. 이중에서 Si(1110-7x7표면에서 초기 흡착된 산소는 준안정적 상태로 존재하며 표면온도, 산소의 노출량 그리고 진공도에 따라 그 수명이 제한된다. 이러한 준안정적 상태의 산소의 화학적 성질은 여러 표면분석장비가 동원되어 연구되었으나 아직까지 논쟁이 되고 있다. 이 경우 산소가 어떤 상태로 존재하는가는 표면화학종을 검출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저에너지 Cs+ 이온 반응성 산란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수 있는 가장 적합한 실험 방법중의 하나이다. 저에너지 Cs+ 이온 산란의 특징 중의 하나는 입사된 Cs+ 이온이 표면에 흡착된 화학종과 충돌후 탈착되면서 반응을 하여 송이 이온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 송이 이온을 관측함으로서 표면에 존재하는 화학종을 알아 낼 수 있다. 이에 산소가 흡착된 Si(111)-7x7 표면에서의 산소의 준안정적 상태가 저에너지 Cs+ 이온 산란 실험을 통하여 연구되었다. 실험은 0.2-2L(1Langmuir = 10-6 Torr x 1 sec) 산소 노출량과 -15$0^{\circ}C$ - $25^{\circ}C$의 표면온도 그리고 5eV - 20eV의 Cs+ 이온 충돌에너지에서 CsSiO+ 이온이 유일한 생산물로서 검출되었다. CsSiO+ 이온은 입사된 Cs+ 이온과 표면에 존재하는 SiO 분자가 충돌 후 반응하여 탈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낮은 산소 노출량 즉, 초기 산화 단계에서 SiO가 표면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산소 분자는 산화단계의 초기에 해리되어 표면에 흡착되고 선구물질인 SiO를 형성함을 제시한다. 최근의 이론적 계산인 density functional calculation에서도 산소분자가 Si(111)-7$\times$7 표면의 준안정적 산화상태의 선구물질일 가능성을 배제한다. 이는 본 저에너지 Cs+ 이온 반응성 산란실험을 뒷받침하는 계산 결과이다. 높은 Cs+ 이온 충돌에너지에서 CsSi+, Si+, SiO+, Si2+, Si2O+ 등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이는 CsSi 이온을 제외하고 수 keV의 충돌에너지를 사용하는 이차 이온 질량 분석법과 비슷한 결과이다.

  • PDF

고상 에피택시에 의한 초박막 $CoSi_2$ 형성과 $Si/epi-CoSi_2/Si$(111)의 이중헤테로 에피택셜 성장 (Formation of $CoSi_2$ Film and Double Heteroepitaxial Growth of $Si/epi-CoSi_2/Si$(111) by Solid Phase Epitaxy)

  • 최치규;강민성;문종;현동걸;김건호;이정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5-172
    • /
    • 1998
  • 초고진공에서 in situ 고상 에피택셜 방법으로 Si(111)기판 위에 에피택셜 $CoSi_2$ 초박막과 $Si/epi-CoSi_2/Si$(111) 의 이중 이종에피택셜 구조를 성장 시켰다. 2-MeV $^4He^{++}$ 이온 후방산란 분광기와 X-선 회절분석기 및 고분해능 투과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성장된 $CoSi_2$$Si/epi-CoSi_2/Si$(111)의 상, 조성, 결정성 그리고 계면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실온에서 증착된 Co 박막은 texture 구조를 갖는 Stransky-Krastanov 성장 모드를 나타내었다. 실온에서 Si(111)-$7\times{7}$ 기판 위에 Co를 $50\AA$ 증착한 후 $700^{\circ}C$로 10분간 in situ 열처리했을 때 초박막 A-type $CoSi_2$상이 성장되었고, 정합상관계는 $CoSi_2$[110]//Si[110] and $CoSi_2$(002)//Si(002)였으며, 편의각은 없었다. A-type $CoSi_2$/Si(111)계면은 평활하고 coherent 하였다. 양질의 epi-Si/epi-$CoSi_2$(A-type)/Si(111)구조는 Co/Si(111)계를 $700^{\circ}C$로 10분간 in situ로 열처리한 후 기판을 $500^{\circ}C$로 유지하면서 Si을 증착하였을 때 형성되었다.

  • PDF

수태양소장경근(手太陽小腸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硏究) (Anatomical study on The Arm Greater Yang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dividing the regional muscle group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inner part of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he others, displaying the inner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the muscle, nerve and blood vessels. 2.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a term of nerve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Meridian Muscle. 3. The inner composition of meridian muscle in human arm is as follows ; 1) Muscle ; Abd. digiti minimi muscle(SI-2, 3, 4), pisometacarpal lig.(SI-4), ext. retinaculum. ext. carpi ulnaris m. tendon.(SI-5, 6), ulnar collateral lig.(SI-5), ext. digiti minimi m. tendon(SI-6), ext. carpi ulnaris(SI-7), triceps brachii(SI-9), teres major(SI-9), deltoid(SI-10), infraspinatus(SI-10, 11), trapezius(Sl-12, 13, 14, 15), supraspinatus(SI-12, 13), lesser rhomboid(SI-14), erector spinae(SI-14, 15), levator scapular(SI-15), sternocleidomastoid(SI-16, 17), splenius capitis(SI-16), semispinalis capitis(SI-16), digasuicus(SI-17), zygomaticus major(Il-18), masseter(SI-18), auriculoris anterior(SI-19) 2) Nerve ; Dorsal branch of ulnar nerve(SI-1, 2, 3, 4, 5, 6), br. of mod. antebrachial cutaneous n.(SI-6, 7), br. of post. antebrachial cutaneous n.(SI-6,7), br. of radial n.(SI-7), ulnar n.(SI-8), br. of axillary n.(SI-9), radial n.(SI-9), subscapular n. br.(SI-9), cutaneous n. br. from C7, 8(SI-10, 14), suprascapular n.(SI-10, 11, 12, 13), intercostal n. br. from T2(SI-11), lat. supraclavicular n. br.(SI-12), intercostal n. br. from C8, T1(SI-12), accessory n. br.(SI-12, 13, 14, 15, 16, 17), intercostal n. br. from T1,2(SI-13), dorsal scapular n.(SI-14, 15), cutaneous n. br. from C6, C7(SI-15), transverse cervical n.(SI-16), lesser occipital n. & great auricular n. from cervical plexus(SI-16), cervical n. from C2,3(SI-16), fascial n. br.(SI-17), great auricular n. br.(SI-17), cervical n. br. from C2(SI-17), vagus n.(SI-17),hypoglossal n.(SI-17), glossopharyngeal n.(SI-17), sympathetic trunk(SI-17), zygomatic br. of fascial n.(SI-18), maxillary n. br.(SI-18), auriculotemporal n.(SI-19), temporal br. of fascial n.(SI-19) 3) Blood vessels ; Dorsal digital vein.(SI-1), dorsal br. of proper palmar digital artery(SI-1), br. of dorsal metacarpal a. & v.(SI-2, 3, 4), dorsal carpal br. of ulnar a.(SI-4, 5), post. interosseous a. br.(SI-6,7), post. ulnar recurrent a.(SI-8), circuirflex scapular a.(SI-9, 11) , post. circumflex humeral a. br.(SI-10), suprascapular a.(SI-10, 11, 12, 13), first intercostal a. br.(SI-12, 14), transverse cervical a. br.(SI-12,13,14,15), second intercostal a. br.(SI-13), dorsal scapular a. br.(SI-13, 14, 15), ext. jugular v.(SI-16, 17), occipital a. br.(SI-16), Ext. jugular v. br.(SI-17), post. auricular a.(SI-17), int. jugular v.(SI-17), int. carotid a.(SI-17), transverse fascial a. & v.(SI-18),maxillary a. br.(SI-18), superficial temporal a. & v.(SI-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