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UB PLANTING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일본 고베시(神戶市)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 구조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Style of Street Green Spaces on Port Island, Kobe, Japan)

  • 곽정인;한봉호;노태환;곽남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74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神戶市) 해안 매립도시인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별 도로 유형, 주변 토지이용,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녹지량이 풍부한 가로녹지 식재기법 사례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트아일랜드(총면적 826ha)는 일본 내에서도 최초의 인공섬으로 항만시설과 본격적인 도시기능시설을 겸비한 해상문화도시이다. 연구대상지내 $55{\sim}285m^2$ 면적의 조사구 11개소를 설정하여 조사 한 결과,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는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평지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지형구조가 변화하였다. 인접한 도로의 차선이 많아서 소음, 공해물질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등의 지형구조와 광폭의 다층구조 녹지대를 조성하였고, 도로차선이 적은 지역인 경우, 평지형의 지형구조와 화관목 위주의 관목을 식재하여 가로띠녹지를 조성하였다. 인접한 토지이용은 공공기관, 공동주택지, 주상복합지, 상업업무지 등이었고, 식재개념은 중로(4차선)의 경우 완충+경관기능, 소로(2차선)의 경우 경관기능이었다. 식재종은 대만풍나무, 녹나무, 조구나무, 참죽나무, 담팔수,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목련, 철쭉류, 동백나무, 꽃댕강나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재밀도는 교목층 0.02~0.08(0.04)주/$m^2$, 아교목층 0.02~0.08(0.04)주/$m^2$이었고, 녹피율은 교목층 40.0~173.7(93.0)%, 아교목층 2.1~79.8(34.9)%, 관목층 17.9~64.2(4.13)%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3{\sim}6.67(4.13)m^3/m^2$, 아교목층 $0.02{\sim}2.01(0.85)m^3/m^2$, 관목층 $0.14{\sim}0.58(0.26)m^3/m^2$이었다.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녹피율은 서울시 주요 가로녹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고, 특히 관목층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우리나라 주요 가로녹지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 매립기반 도시의 가로녹지 조성 시 지형구조, 식재구조, 식재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녹지 조성기법 사례지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사 마당 - 기술자료 - 도시시설물에서 미적(美的) 경관요소를 고려한 자연석 옹벽 (Natural Wall Systems-Esthetic View Element in a Downtown Facilities)

  • 조규영;노금두;서범석
    • 기술사
    • /
    • 제42권4호
    • /
    • pp.55-61
    • /
    • 2009
  • Retaining wall is a structure to stabilize the land slope as vertical retaining wall have constructed to make efficiency use of downtown area. Recently to commune with nature and refine a apartment and structure, natural friendly relations for retaining walls are tried to construct. The surface of the concrete walls are weave in various figures and colours, and in some places plant a shrub. Laying a landscape stone which have disclose a plane nature one means keeping up the natural slope, constructively safely set a anchor in front side and rear side wall between the natural stone, plant shrub or ground coverings to give shape into a rock. Natural stone is exposed of surface and planting the gardening, to be a type of natural friendly relations however that will be recycled. The size of blasted nature stone which is irregular become more natural type of one.

  • PDF

해안 매립도시 완충녹지 조성현황과 기능향상을 위한 식재방안 - 안산시 완충녹지를 사례로 - (Planting Plan for Improvement of Buffer Green Space Function in the Vicinity of Railroad in Seashore Reclaimed Land - A Case Study of Buffer Green Space, Ansan City -)

  • 이경재;한봉호;박현애;최진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91-7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안 매립도시인 안산시 철도변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완충녹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완충녹지의 공간기능과 식재개념에 적합한 식재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산시 철도별 완충녹지의 식재밀도는 $0.04{\sim}0.17$주/$m^2$ 이었고, 녹지용적계수는 $0.15{\sim}1.65m^3/m^2$로 녹량이 부족하여 완충기능이 미흡하였다. 마운딩 완충녹지의 토양경도는 $2.72{\sim}15kg/cm^2$로 식생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다. 완충녹지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야생조류 서식 측면의 생물서식기능, 주변 토지이용 측면의 도시공원기능, 식재수종 계절성 측면의 경관개선기능을 검토하였다. 완충녹지를 기능에 따라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경관개선기능의 완충녹지, 경관 및 도시공원기능의 완충녹지, 완충 및 생물서식기능의 완충녹지로 재설정하였다. 완충기능 식재방안에서는 곰솔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4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고, 경관개선 기능에서는 느티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교목종 0.2주/$m^2$, 관목종 0.5주/$m^2$로 식재밀도를 설정하였다. 생물서식기능에서는 상수리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 등을 주요종으로 선정하고, 적정 식재 밀도를 교목종 0.06주/$m^2$, 아교목종 0.1주/$m^2$, 관목종 0.8주/$m^2$로 식재밀도를 제시하였다.

시각적 선호에 있어서 Green Foundation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Green Foundation on the Visual Preference)

  • 조동범;염도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107
    • /
    • 1985
  • 우리나라에서 Green Foundation의 취약시기인 3~4월 주요화목 진달래와 개나리를 재료로 하여 초종과 생태가 다른 8개 장소의 잔디밭에서 6가지 식재조합의 총 48매 슬라이드 평가 방법으로 선호점수를 구하고 조합비교 방법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평가 방법의 신뢰성을 검정하였다. 잔디상태가 다른 장소별로 선호되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슬라이드 상에서 10개의 공간점유변수 및 색채변수를 선정하여 선호식와의 단계를 구해 본 결과 4개의 주요변수 $\ulcorner$잔디밭의 색상$\lrcorner$, $\ulcorner$잔디밭의 채도$\lrcorner$, $\ulcorner$화목의 경계선길이$\lrcorner$, $\ulcorner$잔디밭의 명도$\lrcorner$가 발견되었다. 잔디밭이 녹색의 색상을 띌 때, 잔디밭이 단일의 순수한 색상일 때, 화목의 경계선 길이가 길수록, 잔디 밝기는 어두운 편이며 보다 높은 선호정도를 보였고 가장 기여도가 큰 변수는 $\ulcorner$잔디밭의 색상$\lrcorner$으로서 Green Foundation은 단일색상의 녹색을 띄는 배경일 보다 효과적이며 화목의 배치나 구성 및 일조조건에 따라 그 효과가 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류 도입에 의한 가로수 체계 선호도 분석 (Street trees system preference by birds introduction analysis)

  • 박인환;김영희;장갑수;정보광;김태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5권
    • /
    • pp.19-23
    • /
    • 2007
  • This research to streets at Daegu, and view adjective how people react when draw a bird into interior in city utilize and examine becoming direction of street trees system. Findings on survey, citizens appear by average 2.87 in management degree of street trees and average 2.76 in various of species of trees, discontent thing more or less by average 2.91 in satisfaction of the beauty, and demonstrate high shame from satisfaction for season stuff to comparative high 3.24, generally, citizens appear by there are parts to improve by do dissatisfaction about street trees system at Daegu. Also, street trees 2 lines plantings for a bird is average 3.05, shows affirmative feedback about that shrub utilization for a bird see high numerical value by average 3.4 and people draw a bird to space of city. Therefore, construct street trees friendly to the nature and be considered to need to re-establish set street trees environment in citizens preference to recover city ecosystem. As result that examine reaction which treat in street trees planting programs to draw birds into city through view adjective, Likert scales about 2 lines plantings of street trees and additional planting of shrub show affirmative feedback by average 3.4 both ordinary people and specialist group, if people want to draw birds into city by various of method, various research should be accomplished.

  • PDF

造景植栽工事 標準품셈의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Amelioration of the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 Material' in the Landscape Planting Work)

  • 손창구;김귀곤;윤근영;강태호;김익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23-37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meliorated,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 material' in the Landscape Planting Work. To achieve this goal of this study, following process was performed to reach more advanced results. First, relevant domestic & foreign references were gathered & analyzed with a viewpoint of the system & contents within, Second, most similar foreign country‘s relevant 10 forms & actual site were surveyed, Third, actual sit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7 selected landscape Planting sites Fourth, the collected data from reference study & actual site survey were analyzed and calculated. And Finally, analyzed data were reorganized & rearranged in good order with 3 principles to produce more ameliorated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 material' in the landscape Planting Work. The suggested main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1. Reorganization of current system to transplanting(includes excavation & root ball wrapping), planting(includes tree & shrub), turfing & maintenance 2. Deletion of the Range of 'account of labor' &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account of labor' with a proposed regular ratio 3. Adjustment of the range of the plant's size 4. Amelioration of the level of 'Account of labor' 5. New establishment in maintenance items as Watering, Fertilizing & spraying chemicals on turf area. 6. Readjustment & new establishment of the backfill volume. 7. Actualization, readjustment & new establishment of the transportation amount.

  • PDF

도시지역 녹화공간의 배식기법 : 공동주택단지 완충녹지의 배식 (Planting Design in Green Open Space, Urban Area : Planting Evaluation of Buffer Green Space in Housing Complex)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8-90
    • /
    • 1998
  •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금정산성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방안 (Restoration Pla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231-245
    • /
    • 2010
  •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hytosociological changes in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for fifteen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Of the 8 quadrates, site of the North Gate 2 was having a highest in the number of extinct trees, 15 kinds. This is probably due to trampling effect caused by climbers' steps. Site of the West Gate 1 and South gate 1 each had 8 kinds of extinct tre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newly appeared trees was highest at site of the North Gate 1, (8 kinds) followed by the sites of South gate 1 and South gate 2, respectively (5 kinds). The highest decrease in number of tree species was observed in North Gate 1, therefore,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diversity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 available spaces. In order to revitalize the unstabl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Robinia pseudo-acacia has to be well maintained in the shrub tree layer, and vines, such as Smilax china, Humulus japonicus, and Pueraria thungergiana, should be remov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dead leaf layer should be protected, and more shrub trees need to be planted. In the understory and shrub tree layer, multi layer tree planting is highly recommend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and increase tree diversity. In order to improve bad soil condition caused by trampling effect of recreational users, special treatments to the soil structure are required, such as mulching and raking soil. Also, depending on its soil damage from users trampling, the areas in the park should be divided into usable areas and user limited areas by the sabbatical year system. To improve the soil acidity due to acidic rain, soil buffer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by activating microorganisms in the soil by using lime and organic material.

경주국립공원 소금강지구 산불피해지의 식생변화 분석 (Analysis on Vegetation Change of Forest Fire Damaged Area in Sogeumg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6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hange of vegetation of forest fire damaged area in Sogeumgang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The covergae ratio, a number of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changed overall in forest fire damaged area. The final result of the change is as follows. In case of coverage ratio in the shrub layer, Site 1 was 30%, 40% in Site 2, 50% in Site 3, 60% in Site 4 and 30% in Site 5. In the herb layer, Site 1 was 90%, 80% in Site 2, 90% in Site 3, 60% in Site 4 and 20% in Site 5. In case of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shrub layer, Site 1 was 11 species, 8 species in Site 2, 6 species in Site 3, 10 species in Site 4, 7 species in Site 5, and in the herb layer, Site 1 was 22 species, 25 species in Site 2, 12 species in Site 3 and Site 4 each and 11 species in Site 5. In the dominant species, the shrub layer was Lespedeza maritima(Site 1, 2), Quercus serrata(Site 3), Quercus serrata and Lespedeza bicolor(Site 4) and Styrax japonicus(Site 5), the herb layer was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Site 1, 3),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nd Carex humilis var. nana(Site 2), Quercus serrata(Site 4) and Carex humilis var. nana andS tyrax japonicus(Site 5).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was summarized as 91 taxa including 35 families, 69 genera, 78 species, 2 subspecies, 10 varieties and 1 form.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 Eco-bridge 식재계획 (Eco-Bridge Planting Plan in Chingogae of Odaesan National Park)

  • 이경재;최송현;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1-231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로 인해 고립된 생태계를 잇는 Eco-bridge의 식재계획을 제시하는데 있다. Eco-bridge는 생물의 이동을 위해 생태계를 연결하는 통로로써 양쪽의 식생을 연결하기 위해 진고개길 양쪽으로 6개 조사지를 선정하고 16개 조사구(각 조사구는 100m$^{2}$)를 조사하였다. Eco-bridge 식재계획을 위한 조사, 분석결과 진고개지역식생은 신갈나무에서 서어나무, 까치박달, 물푸레나무, 피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유사도 분석에서는 인접한 조사지간의 유사도가 높아 식생연속성이 뚜렷하였다. 종수 및 개체수분석에서 식재계획 최종단계 목표는 교목층 100m$^{2}$당 목본 약 15종내외로 교목층 10~12주, 아교목층 17~18주, 관목층 100여주의 밀도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식재수종은 주변 출현수종을 중심으로 까치박달, 층층나무, 신갈나무 등 교목 12종, 개회나무, 딱총나무, 당단풍 등 아교목 및 관목 12종을 선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