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H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1초

오제스키병에 감염된 돼지의 serum amyloid A와 haptoglobin의 농도 변화 (The concentration of serum amyloid A and haptoglobin of pigs infected with Aujeszky′s disease virus)

  • 오윤택;조정곤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2
    • /
    • 2002
  • The acute phase serum protein response is a well-known general indicator of inflammation, trauma or other pathological conditions and its relevance for the monitoring of the health status of domestic animals is being increasingly realized. The changes in serum protein composition which occur after tissue damage represent a part of the systemic response of the injured animals which is mediated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6 and IL-1. These responses play a vital role in containing the tissue damage and enhancing the processes of repair and resolution. From a clinical perspective, the assay of acute phase proteins can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inflammation. In animals, the most sensitive acute phase proteins are haptoglogin, serum amyloid A and at-acid glycoprotein in response to inflammatory condi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agnostic value of the concentrations of serum amyloid A(SAA) and haptoglobin(HP) in serum of pigs infected with Aujeszky's disease virus(ADV). Fifty pigs infected with ADV and 5 normal pig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mean serum concentration of Shh of pigs infected with ADV was 96.8 $\pm$ 7.1 $\mu\textrm{g}$/㎖(range, 36.0∼187.5 $\mu\textrm{g}$/㎖) and that of normal pigs was 42.9$\pm$3.3 $\mu\textrm{g}$/㎖(range, 17.3∼127.8 $\mu\textrm{g}$/㎖). The mean serum concentration of HP of pigs infected with ADV was 1,164.4 $\pm$ 96.9 $\mu\textrm{g}$/㎖ (range, 790.2∼l,769.2 $\mu\textrm{g}$/㎖) and that of normal pigs was 675.4 $\pm$ 56.3 $\mu\textrm{g}$/㎖ (range, 650.0-690.4 $\mu\textrm{g}$/㎖). The mean concentrations of SAA and HP in serum of pigs infected with ADV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pigs showed approximately a two-fold. It was conclud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Shh and HP in serum may proved to be diagnostic marker of Aujeszky's disease.

두충(杜沖)이 수컷 노화쥐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ucomiae Cortex on the Depression of Male Aged Mice)

  • 김호현;안상현;박선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16
    • /
    • 201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ucomiae Cortex extracts on the depression caused by aging, histochemistry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performed on the hippocampus of aged rat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8 week old ICR male mice, Aging-elicited group (AE group) and Eucomiae Cortex treatment group (EC group) 50 week old male ICR mice were used. The control group and AE group did not take any treatment and did not restrict diets and negatives. In the EC group, 0.51g/kg of Eucomiae Cortex extract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once a day for 6 months. The Eucomiae Cortex extract reduced pyramidal neuronal damage in C3 hippocampus and dentate gyrus, increased DJ-1, SHH positive responses in aged mouse hippocampus, and 8-OHdG positivity was reduced, ${\beta}$-endorphin positivity was reduced in aged mouse substantia nigra. Therefo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Eucomiae Cortex extract reduces damage of pyramidal neurons in the hippocampus caused by aging, inhibits neuronal cell death, induce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in the hippocampus, reduces DNA damage-induced oxidative stress, so improves the reduction of hippocampus volume. It is also thought to improves depression due to aging through ${\beta}$-endorphin which enhances mood through the inhibition of pain.

Small Molecule-Based Strategy Promotes Nucleus Pulposus Specific Differentiation of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Hua, Jianming;Shen, Ning;Wang, Jingkai;Tao, Yiqing;Li, Fangcai;Chen, Qixin;Zhou, Xiaope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9호
    • /
    • pp.661-671
    • /
    • 2019
  •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DSCs) are promising for regenerating degenerated intervertebral discs (IVDs), but the low efficiency of nucleus pulposus (NP)-specific differentiation limits their clinical applications. The Sonic hedgehog (Shh) signaling pathway is important in NP-specific differentiation of ADSCs, and Smoothened Agonist (SAG) is a highly specific and effective agonist of Shh signaling.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differentiation strategy with the use of the small molecule SAG. The NP-specific differenti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ECM) synthesis of ADSCs were measured in vitro, and the regenerative effects of SAG pretreated ADSCs in degenerated IVDs were verified in viv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SAG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3$ ($TGF-{\beta}3$) is able to increase the ECM synthesis of ADSCs. In addition, the gene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NP-specific markers were increased by treatment with SAG and $TGF-{\beta}3$. Furthermore, SAG pretreated ADSCs can also improve the disc height, water content, ECM content, and structure of degenerated IVDs in vivo. Our new differentiation scheme has high efficiency in inducing NP-specific differentiation of ADSCs and is promising for stem cell-based treatment of degenerated IVDs.

A case of TBC1D32-related ciliopathy with novel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 Ahn, Ji Ye;Kim, Soo Yeon;Lim, Byung Chan;Kim, Ki Joong;Chae, Jong H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64-69
    • /
    • 2021
  • Primary cilium has a signal transduction function that is essential for brain development, and also determines cell polarity and acts as a mediator for important signaling systems, especially the Sonic Hedgehog (SHH) pathway. TBC1D32 is a ciliary protein, implicated in SHH signaling. Biallelic mutations in the TBC1D32 gene causes a kind of ciliopathy, heterogeneous developmental or degenerative disorders that affect multiple organs, including the brain. Here we report a boy who carried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in TBC1D32. The patient showed hypotonia, respiratory difficulty, and multiple anomalies at his birth. He was diagnosed with congenital hypopituitarism and treated with T4, hydrocortisone, and growth hormone. Despite the hormonal replacement, the patient needed long-term respiratory support with tracheostomy and nutritional support with a feeding tube. His developmental milestones were severely retarded. Hydrocephalus and strabismus developed and both required surgery, during the outpatient follow-up. Whole-exome sequencing indicated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c.2200C>T (p.Arg734*) and c.156-1G>T, in TBC1D32 gene. This is the first Korean case of TBC1D32-related ciliopathy and we reported detailed and sequential clinical features. This case demonstrated the utility of whole-exome sequencing and provided valuable clinical data on ultra-rare disease.

사람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도파민성 및 콜린성 신경세포분화 (Differentiation of Dopaminergic and Cholinergic Neurons from Mesenchymal-like Stem Cells Derived from the Adipose Tissue)

  • 홍인경;정나희;김주란;도병록;김해권;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31-39
    • /
    • 2008
  • 손상된 뇌신경조직내에서 신경줄기세포로부터 새로운 신경세포로의 분화가 상당히 제한되어 있어 이것이 손상된 뇌신경조직의 복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배양을 통해 지방조직 중간엽 줄기세포를 도파민성 신경세포와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N2배양액에 bFGF, EGF, dimethyl sulphoxide (DMSO)와 butylated hydroxyanisole (BHA)를 첨가하여 유도하였다. DMSO와 BHA에 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가 빠르게 신경세포 모양으로 분화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면역조직학적 염색에서 신경세포 특이 표지인 $\beta$-tubulin III, 별아교세포에 대한 특이 표지인 GFAP, 흰돌기아교세포에 대한 특이 표지인 Gal-C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RT-PCR 분석에서 배양 단계에 따라 신경세포에 특이적인 표지 인자인 neuro D1, $\beta$-tubulin III, GFAP, nestin 등의 발현을 통해, 중간엽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중간엽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된 이후에는 줄기세포 표지인 SCF, C-kit와 stat-3 등은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중간엽줄기세포에 bFGF, SHH와 FGF8 등을 처리하면 도파민 신경세포로 분화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에 bFGF, RA, Shh를 처리하여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시켰을 때, 신경세포 특이 표지인 $\beta$-tubulin III와 콜린성 신경 특이 표지인 ChAT에 양성반응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람 지방조직의 중간엽 줄기세포가 도파민성과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가 가능하고 이러한 잠재성을 가진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세포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인간 제대혈액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신경 및 콜린성 분화 (Neural and Cholinergic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the Human Umbilical Cord Blood)

  • 감경윤;강지혜;도병록;김해권;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35-243
    • /
    • 2007
  • 인간 제대혈 세포는 조혈모세포, 중간엽 줄기세포와내피전구세포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인간 제대혈 속의 중간엽 줄기세포는 조혈모세포와는 달리 다능성 줄기세포이며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배양을 통해 제대혈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신경세포와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배양액에 dimethyl sulphoxide(DMSO)와 butylated hydroxyanisole(BHA)를 첨가하여 유도하였으며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retinoic acid(RA), sonic hedgehog(Shh)를 처리하여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시켰다. DMSO와 BHA에 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가 빠르게 신경세포 모양으로 분화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면역조직학적 염색에서 신경세포 특이 표지인 $\beta$-tubulin III, 별아교세포에 대한 특이 표지인 GFAP, 희돌기아교세포에 대한 특이 표지인 Gal-C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그 비율은 각각 $32.3{\pm}2.9%$, $11.0{\pm}0.9%,\;9.4{\pm}1.0%$였다. RT-PCR 분석에서 배양 단계에 따라 신경세포에 특이적인 표지 인자가 발현됨을 통해, 중간엽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간엽 줄기세포에 bFGF, RA, Shh를 처리하여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시켰을 때, 전체 중간엽 세포 중 $31.3{\pm}3.2%$가 신경세포 특이 표지인 $\beta$-tubulin III에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이들 세포 중 $70.0{\pm}7.8%$가 콜린성 신경 특이 표지인 ChAT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이것은 Woodbury 방법에 의한 신경분화의 경우보다 3배 가량 높은 비율로 콜린성 신경의 분화를 유도한 것이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인간 제대혈의 중간엽 줄기세포가 콜린성 신경세포로 분화가 가능하고 이러한 잠재성을 가진 제대혈 중간엽 줄기세포는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세포 치료제로서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두개골 및 두개봉합부 초기발육과정에서의 전사조절인자인 Msx2와 Dlx5의 역할 (THE ROLE OF TRANSCRIPTION FACTOR MSX2 AND DLX5 IN CALVARIAL BONE AND SUTURE DEVELOPMENT)

  • 송민호;박미현;남순현;김영진;류현모;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1-405
    • /
    • 2003
  • 두개봉합부의 조기융합으로 일컬어지는 craniosynostosis는 두개봉합부에서의 골아세포의 조기분화 및 석회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선천성 발육이상이다. 최근 유전학적 연구에 의하면 homeobox gene인 Msx2의 변이에 의해 Boston-type craniosynostosis가 야기되며, 또한 Dlx5 homozygote mutant mouse의 표현형에서 두개골의 골화지연을 포함한 다양한 두개안면부위의 이상을 발견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게다가 Msx2와 Dlx5 homeodomain protein의 상호작용에 의해 성숙골아세포의 표지자인 osteocalcin의 전사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들은 Msx2 Dlx5 및 osteocalcin 유전자들이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두개골의 성장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시 이러한 유전자들의 기능을 알아보기위해 mouse의 태생기 (E15-E18) 동안 osteocalcin, Msx2, 및 Dlx5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Osteocalcin은 E15부터 두정골의 골막에서 관찰되었으며, 발생시기가 후기일수록 강한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Msx2는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과 osteogenic front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경막과 hair follicle에서도 관찰되었다. Dlx5는 osteogenic front를 포함한 두정골의 골막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시상봉합부의 미분화간엽조직 에서는 발현되지 않아, Msx2와는 발현양상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발육과정에서의 Msx2와 Dlx5의 기능을 좀더 심도깊게 분석하기위해, 여러 가지 signaling molecule들의 protein을 사용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Msx2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인 $TGF{\beta}1$, GDF-6, -7 bead들 주위로는 Msx2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FGF, Shh protein 역시 bead주위로 Msx2의 발현을 유도하지않았다. 흥미롭게도 BMP-2, -4 protein의 overexpression은 bead 주위로 Dlx5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나, 다른 $TGF{\beta}$ superfamily, FGF, Shh bead주위로는 Dlx5를 관찰할 수 없어, Msx2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Msx2와 Dlx5 유전자는 두개골과 두개봉합부의 성장발육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BMP signaling은 이 두 전사조절인자들을 조절하므로써 두개골의 골화과정과 두개봉합부의 형태발생 및 유지에 관여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특히 BMP signaling에 specific downstream gene인 Msx2 및 Dlx5의 발현양상의 차이는 골아세포의 분화시 이들 유전자가 각각의 독특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 PDF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건물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인 탐색 (Detecting the Climate Factors related to Dry Matter Yield of Whole Crop Maize)

  • 팽경룬;김문주;김영주;조무환;자릴 가세미 네자드;이배훈;지도현;김지융;오승민;김병완;김경대;소민정;박형수;성경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1-269
    • /
    • 2015
  • 본 연구는 탐색적 자료분석을 이용하여 사일리지용 옥수수(whole crop maize, WCM) 연도별 건물수량 변동의 유의성과 이와 관련 있는 기후요인의 유의성을 확인 하는데 목적이 있다. WCM의 원자료는 30년간의 농협중앙회 수입적응시험 심의결과(7개도 124품종 1,027점)였으며, 이 중 미비하거나 중복된 자료는 삭제 또는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7개 도에서 124품종 993점을 이용하였다. WCM의 상대숙도와 출사일수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조생종(25품종 200점), 중생종(40품종 409점), 만생종(27품종 234점)및 기타(32품종 150점)였다.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기후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6개의 기상변수를 생성하였다. 건물수량 및 기후요인을 탐색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량 및 정규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였다. 연도별 평균 건물수량을 상위와 하위집단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상위와 하위집단 간에는 건물수량의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p<0.05). 두 집단간 차이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기후관련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파종수확적산생육온도일수(파종~수확 생육온도일수의 합), 파종수확일조시간(파종일부터 수확일까지의 일조시간의 합) 및 파종수확강수량(파종일부터 수확일까지 일강수량의 합)에서 집단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p<0.05). 반면 파종수확강수일수(파종에서 수확까지 강수일수)는 건물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여러 기상변수 중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적산온도, 일조시간 및 강수량이 WCM의 건물수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세 변수 간의 기여도($R^2$)는 비교할 수가 없어 추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WCM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각 변수의 기여도 및 건물수량 예측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헛개나무 분획물에 의한 HDF세포의 초기 노화관련 sm22 단백질 조절 (The Regulation of Early Senescence-related SM22 Protei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by Hovenia dulcis Thunberg Fractions)

  • 심보람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80-68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Hovenia dulcis Thunberg (헛개나무)의 80% 메탄올 분획물의 항산화 및 세포 노화 억제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헛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DPPH라이칼 소거능에서 가장 높은 활성 저해를 보였고 (RC50 = 3.6±0.8 ㎍/ml), 총 페놀(417.2±5.3 mg GAE/ml) 및 총플라보노이드(260.6±27.5 mg QE/ml) 측정에서도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HDF 세포에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sm22의 발현이 증가되었고(p<0.001), β-갈락토시다아제의 염색양이 증가(p<0.001)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sm22의 증가는 세포 노화가 진행된 세포일수록 증가폭이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초기노화에서 발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헛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시 HDF세포의 EGF (p<0.01), PDGF-BB (p<0.01), SHH (p<0.05)의 사이토카인이 유의적으로 증가를 보이며, 노화 시 발생된 sm22의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헛개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초기 세포 노화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Reduces the Metachronous Recurrence of Gastric Neoplasms by Attenuating the Precancerous Process

  • Jung, Da Hyun;Kim, Jie-Hyun;Lee, Yong Chan;Lee, Sang Kil;Shin, Sung Kwan;Park, Jun Chul;Chung, Hyun Soo;Kim, Hyunki;Kim, Hoguen;Kim, Yong Hoon;Park, Jae Jun;Youn, Young Hoon;Park, Hyoji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4호
    • /
    • pp.246-255
    • /
    • 2015
  • Purpose: The importance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fter endoscopic resection (ER) of gastric neoplasms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clarified the importance of H. pylori eradication for metachronous lesions after 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882 patients with gastric neoplasms who underwent ER. We included patients infected with H. pylori who received eradication therapy. Among them, 34 patients with metachronous lesions after ER and 102 age- and sex-matched patients (nonmetachronous group) were enrolled. Background mucosal pathologies such as atrophy and intestinal metaplasia (IM) were evaluated endoscopically. The expression levels of CDX1, CDX2, Sonic hedgehog (SHH), and SOX2 were evaluated based on H. pylori erad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metachronous lesions. Results: The eradication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metachronous group than in the nonmetachronous group (P=0.036). Open-type atrophy (P=0.003) and moderate-to-severe IM (P=0.001)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metachronous group. In patients with an initial diagnosis of dysplasia, the eradication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metachronous group than in the nonmetachronous group (P=0.002). In addition, open-type atrophy was more frequent in the metachronous group (P=0.047). In patients with an initial diagnosis of carcinoma, moderate-to-severe IM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metachronous group (P=0.003); however, the eradication failure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HH and SOX2 expression was increased, and CDX2 expression was decreased in the nonmetachronous group after eradication (P<0.05). Conclusions: Open-type atrophy, moderate-to-severe IM, and H. pylori eradication fail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tachronous lesions. However, eradication fail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ysplasia, but not carcinoma, in the metachronous group. Thus, H. pylori eradic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metachronous lesions after ER for precancerous lesions before carcinomatous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