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GERMINATION

검색결과 1,552건 처리시간 0.03초

Hydrogen Sulfide Alleviates Seed Germination Inhibition in Oilseed Rape (Brassica napus L.) Under Salt Stress

  • Muchlas Muchamad;Bok-Rye Lee;Sang-Hyun Park;Tae-Hwan Kim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6-61
    • /
    • 2023
  • The germination process is critical fo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nd it is larg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stress, especially salinity. Recently, hydrogen sulfide (H2S) is well known to act as a signaling molecule in a defense mechanism against stress conditions but poorly understood regulating seed germin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aHS (the H2S donor) pretreatment on various biochemical (hydrogen peroxide (H2O2) content and amylase and protease activity)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germination rate) during seed germination of oilseed rape (Brassica napus L. cv. Mosa) were examined under salt stress.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oilseed rape were inhibited by NaCl treatment but it was alleviated by NaHS pretreatment. The NaCl treatment increased H2O2 content leading to oxidative stress, but NaHS pre-treatments maintained much lower levels of H2O2 in germinating seeds under salt stress. Amylase activity, a starch degradation enzym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2-fold in control, NaHS pretreatment, and NaHS pretreatment under NaCl during seed germination compared to NaCl treatment. Protease activity was highly induced in NaHS-pretreated seeds compared to NaCl treatment,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protein cont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aHS pretreatment could improve seed germination under salt stress conditions by decreasing H2O2 accumulation and activating the degradation of protein and starch to support seedling growth.

한국산(韓國産) 가문비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구과(毬果), 종자(種子)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Cone,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arini) Carriere Populations in Korea)

  • 송정호;장경환;김두현;임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5
    • /
    • 2011
  • 우리나라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였다. 지리산과 덕유산 집단의 25개 개체목에서 구과를 채취하여 13가지 구과 및 종자특성과 3가지 발아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종자의 폭 및 무게, 종자날개지수 및 평균발아일수 특성을 제외한 9개 형질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값은 구과와 종자의 무게, 충실율, TTC, 발아율 및 발아속도 형질들에서 29.7%~57.1% 범위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형질들에서는 10% 내외의 비교적 변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형태적 특성은 지리산집단의 경우 구과 및 종자날개가 작으며 긴 경향을 보인반면 덕유산 집단이 종자가 크고 긴 형태를 나타냈다. 종자충실율과 TTC 활력은 지리산 집단이 덕유산 집단에 비해 각각 1.79배, 1.87배 정도 우수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가문비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조건의 영향을 보면 발아적온은 $20^{\circ}C$였으며, 이때의 평균발아일수는 7.5일, 발아속도는 2.9개/일로 나타났다. 지리산 집단의 경우 평균발아율이 40.7%, 발아속도가 0.90개/일로서 덕유산 집단(17.7%, 0.37개/일)보다 발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국내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은 종자활력이 한정된 분포에 따른 근친교배 및 특정 개체의 편중개화 현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소멸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Fungicides and Bioagents on Seed Mycoflora, Growth and Yield of Watermelon

  • Bharath, B.G.;Lokesh, S.;Shetty, H.S.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2호
    • /
    • pp.75-78
    • /
    • 2005
  • Fungicides and antagonists were tested for their efficacy in the management of fungal pathogens of watermelon. The fungal species in different genera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of watermelon and their vulnerability was assessed against an array of chemicals and bioagents. Among the fungal pathogens, Fusarium species were effectively controlled by Bavistin. Topsin also showed the promising effects against all the fungal pathogens, and Dithane M-45 effectively controlled Didymella bryoniae. Seed treatment with antagonists like Trichoderma harzianum and T. viride improved the seed germination, seedling vigour and reduced the incidence of seed-borne fungal pathogens. Bavistin and Topsin among chemical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eed germination and vigour index. Trichoderma harzianum showed its efficacy against all Fusarium species and even stood effective than Captan and Blitox. However, Pseudomonas fIuorescens also showed promising effect against Didymella bryoniae over fungicides. Under field condition, Topsin and Dithane M-45 showed better yield than Bioagents.

Several factors affecting on seed germination of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 Chang, Young-Deug;Lee, Cheol-Hee;Song, Jeong-Seob;Hwang, Ju-Kwa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6-241
    • /
    • 2009
  •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Labiatae) is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used as valuable materials for ornamentals, honey production, and pharmaceutics. Since seed germination of this species was quite difficult, present studie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by subjecting the seeds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and light) and treatments (scarification, priming and seed coating). Optimum temperature for adequate germination was 20$^{\circ}C$ though it ranged from 15$^{\circ}C$ to 25$^{\circ}C$,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improved germination rate. Light was required for higher germination rate in this species. The scarification of seeds resulted in much higher germination, especially by the physical treatment with sandpaper or chemical treatment with sulfuric acid for 30 seconds. Various prime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treated on the seeds and it was demonstrated that low temperature enhanced germination rate, regardless of kinds and concentrations of the primers. Three treatment combinations of the primers, 0.5 mM $GA_{3}$ treated for 48 hours, 0.5 mM IAA for 24 hours, and 1.0 mM IAA for 24 hours, increased the seed germination rate profoundly. Soaking treatment of inorganic salts, $KNO_{3}$ and $KH_{3}PO_{4}$, promoted germination when seeds were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Water soluble primers such as sucrose at 0.5 and 3% concentration and solid primer talc powder were effective in enhancing germination rate.

저장 및 발아 온도조건에 따른 황기 종자의 발아 특성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 by Storage and Germination Temperature in Astragalus membranaceus)

  • 최재후;이재근;성은수;유지혜;김철중;이기혜;안영섭;박충범;임정대;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61-465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germination rate of Astragalus membranaceus B. in Korea a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germination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f se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obtained from condition of $25^{\circ}C$ in germination temperature. Seeds were stored at $-20^{\circ}C$ and $5^{\circ}C$ for 8 weeks has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one at room temperatures. The germination rat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y harvested year of 2010, 2011 and 2012. The seed of A. membranaceus in harvested year of 2011 and 2012 had germinated well. On the other hand, seeds in harvested year of 2010 were not nearly germinated. Consequently, the longer storage period after seed harvest lower germination rate and seed vigor as well.

가침박달의 열매, 종자 및 발아특성 변이 (The Variation of Fruit,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Exochorda serratifolia)

  • 송정호;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19-625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분포하는 가침박달 집단의 열매, 종자 및 발아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였다. 5개 자연집단의 96개 개체목에서 열매를 채취하여 5가지 열매특성, 7가지 종자특성 및 3가지 발아특성을 분석하였다. 평균발아 일수를 제외한 14가지 특성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열매와 종자 특성은 대체적으로 전체 분산 가운데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계수 값을 보면 열매특성은 열매무게 27.0%, 종자특성은 종자길이/두께 28.1%, 발아특성은 발아속도 52.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가침박달 집단의 평균 발아특성은 발아율 62.9%, 평균발아일수 64.0일, 발아속도 0.40개/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결과 평균발아일수는 종자두께와 발아속도는 모수의 수고 및 위도와 각각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위도가 높을수록 열매가 무겁게 나타나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군집분석결과 집단의 분포에 따른 지리적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주성분분석 결과 제1주성분의 기여도가 전체변이의 63%를 설명하였으며, 고유값(Eigenvalue)이 1 이상인 제3주성분까지의 기여도는 97%로 가침박달 열매, 종자 및 발아특성 분류에 중요한 정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몇가지 종자처리에 따른 초롱꽃과 약용작물의 발아율 2. $GA_{3}$와 광질에 따른 발아률의 변화 및 만삼의 발아율 저조원인 (Effect of Several Seed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Campanulaceae Seed 2. Germination of Campanulaceae Seed as Affected by $GA_{3}$ and Light Quality, and Cause of Poor Germination of Codonopsis pilosula Seed)

  • 강진호;박진서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5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52-53
    • /
    • 1995
  • PDF

녹화용 벼과식물 종자의 채종시기 및 온도별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by Temperature and Production Time to Poaceae Plant Seed)

  • 강희경;이자연;조용현;송홍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81
    • /
    • 2016
  • This text was experimented and investigated the optimum production tim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 that collect in Korean Chungnam, in order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s for slope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using Poaceae plant. Optimum time of seed production was mid-late October of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early November to late October of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and M. sacchariflorus, and mid November of Phragmites communis. Epiphytic amount of seed full ripe was the most times in mid October of M. sinensis, P. alopecuroides and M. sacchariflorus, early November of T. triandra var. japonica, and mid November of P. communis. Seed rate of maturity was the highest times in early November of M. sinensis, P. alopecuroides and M. sacchariflorus, and mid November of T. triandra var. japonica and P. communis. Germination rate by seed collection time was the highest times in early October of M. sacchariflorus, mid October of T. triandra var. japonica, early November of M. sinensis and mid November of P. communis. Germination days by seed production time was the shortest times in early November of M. sinensis and M. sacchariflorus, mid November of T. triandra var. japonica and P. communis. Optimum temperature of germination was $20{\sim}25^{\circ}C$ in M. sinensis and P. alopecuroides, $25^{\circ}C$ in T. triandra var. japonica, and $25{\sim}30^{\circ}C$ in P. communis.

피복재료 및 종자의 크기가 겉뿌림 목초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Material and Seed Size Effec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7-76
    • /
    • 2000
  • 본 시험은 1997년 연암축산원예대학 부속실험목 장에서 석회, zeolite 및 rock phosphate의 조합비율과 피복 종자의 크기를 달리 하였을 때 목초의 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복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의 발아세 및 발아율은 피복하지 않은 종자에 비하여 낮았다. Tall fescue 피복종자의 발아율은 석 회 70 %와 rock phosphate 15%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피복종자의 크기는 소형 (직경 2 mm 이하)이 중형 (직경 2~3 mm)과 대형 (직경 3 mm 이상)에 비하여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발아율에 서는 석회 55%와 rock phosphate 30% 처리구가 다른 피복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한편 피복종자의 크기는 소형이 대형과 중형보다는 발아울이 높았다 (p<0.05). 피복한 alfalfa 및 bridsfoot trefoil 종자의 말아세 및 발아율은 피복하지 않은 종자에 비하여 낮았다 Alfalfa의 피복종자 중에서는 석회 70%와 rock phosphate 15% 및 석회 45%와 rock phosphate 55% 처리구가 다른 피복 종자보다 발아율이 높았다. 피복종자의 크기간에는 중형이 소형과 대형보 다 발아율이 높았다 (p<0.05). 한편 birdsfoot trefoil의 피복종자 중에서는 석회 45%와 rock phosphate 40% 처리구가 다른 피복종자에 비하여 발아세와 발아율이 높았다. 피복한 tall fescue 및 orchard grass의 정착률과 초기생 육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피복처리구 중에서는 두 초종 모두 석회 45%와 rock phosphate 40%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p<0.05). Alfalfa의 경우도 정착률과 초기생 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피복처리구 중에서는 석회 75%와 rock phosphate 10% 처리구의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6.4% 및 $72.6\;g/\textrm{m}^2$으로 가장 높았다(p<0.05). Birdsfoot trefoil은 피복 처리구 중에서는 석회 55%와 rock phosphate 30% 처리구의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6.4% 및 $44.6\;g/\textrm{m}^2$으로 가장 높았다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복종자의 발아율은 초종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rock phosphate를 증가 시키고 석회를 감소시킬 때 증가하며, 종자의 크기는 alfalfa를 제외하고는 소형종자 (직경 2 mm 이하)가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정착률과 초기생육은 화본과 목초에서는 rock p phosphate를 중가 시키고 석회를 감소시킬 때 증가 할수 있다.

  • PDF

PEG로 프라이밍 된 보리(Hordeum vulgare L.)종자의 발아특성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EG Priming Seed in Barley (Hordeum vulgare L.))

  • 이성춘;박문수;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25
    • /
    • 2002
  • 노동력의 절약은 물론 농기계의 효율을 증진시키고 생산비를 절약하여 취약한 보리재배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일환으로 보리종자에 종자처리를 하여 발아시기와 유묘생장을 조정함으로서 벼·보리수확 동시파종재배를 실용화하기 위하여 보리종자에 프라이밍 처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발아율은 대조구보다 PEG 처리구에서 더 높았는데 처 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2. 평균발아율은 PEG 처리한 다음 수세하여 PEG를 제거한 종자가 수세하지 않은 종자에 비해, PEG처리 후 재건조 종자의 발아율은 건조하지 않은 종자보다 저조하였다. 3. 발아소요시간은 PEG 처리에 의해 크게 단축되었는데 처리기간이 길면 길수록 길었다. 4. 포장 출아율은 PEG 처리 종자가 대조구에 비해 훨씬 높았는데 처리기간이 지 연될수록,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조하였다. 6. 출아소요시간은 PEG처리한 다음 수세 하여 PEG를 제거한 종자가 수세하지 않은 종자에 비해 단축되었으며, PEG 처리 후 재건조 종자는 재 건조하지 않은 종자보다 지연되었다. 7. PEG 처리 종자의 포장 출아율은 모든 토양수분 함량에서 대조구 보다 훨씬 높았으며, 포장 용수량의 50%에서 70과 90%보다 높았다. 8. 토양수분함량별 출아소요시 간은 포장용수량의 50%토양수분함량에서 가장 단축되었으며, 이보다 높으면 지연되었다 9. PEG 처 종자의 유묘장은 D.W 프라이밍 종자가 대조구보다 컸으며, PEG처리 종자는 오히려 대조구보다 작았다. 유근장도 이와 비슷하였다.